#!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데이비드 보위의 앨범}}}에 대한 내용은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데이비드 보위의 싱글}}}에 대한 내용은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노래)]]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노래)#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노래)#|]]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데이비드 보위의 앨범: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데이비드 보위의 싱글: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노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노래)#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노래)#|]]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30000> | 스틸 볼 런 등장 스탠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 스틸 볼 런 레이스 | |
참가자 | ||
<rowcolor=#525151,#000> | ||
개최 측 | ||
<rowcolor=#525151,#000> | ||
레이스 외 인물 | ||
암살자 | ||
<rowcolor=#525151,#000> | ||
대통령 측근 | ||
<rowcolor=#525151,#000> | ||
기타 | ||
<rowcolor=#525151,#000> | }}}}}}}}} |
| |||||
스케어리 몬스터즈 スケアリー モンスターズ|Scary Monster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름 | 스케어리 몬스터즈 | |||
스탠드 유저 | 퍼디난드 박사 ↓ 디에고 브란도 | ||||
명칭 유래 | 데이비드 보위의 앨범이자 앨범에 수록된 3번곡 Scary Monsters (And Super Creeps) | ||||
북미판 명칭 | Frightening Monsters | ||||
타입 | 일체화형 현상형 공유형 | ||||
기합성 | [ruby(ウシャアアアア───ッ!, ruby=우샤아아아앗!)] | ||||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스탯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 ||||
스케어리 몬스터즈 | |||||
파괴력 - B | 스피드 - B | 사정거리 - D | |||
지속력 - A | 정밀동작성 - C | 성장성 - B |
}}}}}}}}} ||
"갸아아아아스"
"ギャアアアア───ス"
"ギャアアアア───ス"
"우샤아아아앗"[1]
"ウシャアアアア───ッ"
"ウシャアアアア───ッ"
1. 개요
<nopad> | <nopad> | <nopad> |
원작 | EoH & ASBR | EoH & ASBR[2] |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 7부 스틸 볼 런의 등장인물 퍼디난드 박사와 디에고 브란도의 스탠드.
원래 퍼디난드 박사의 스탠드였지만 이 스탠드 능력에 당해 공룡화한 디에고가 박사의 사망 후 얻은 성인의 유해 중 왼쪽 안구를 착용하여 스탠드 능력을 흡수, 퍼디난드 박사가 죽기 직전에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작중에서는 유체의 힘으로 능력을 빼앗아간 것으로 묘사한다.
2. 외형 및 특징
이 문단의 내용은 본체인 퍼디난드와 디에고의 공통점을 토대로 서술합니다. |
움직이는 물체는 잘 알아보지만 정지한 물체는 알아보지 못하며, 디에고에게로 옮겨간 이후에도 이 약점만은 극복하지 못해 자이로에게 철구로 한 방 먹은 바 있다.[3]
1부 팬텀 블러드의 돌가면의 흡혈귀처럼 전염을 시키는 숙주가 있으며 시생인처럼 전염된 개체로 인하여 1차, 2차 전염이 된다는 점이 비슷하다. 마침 퍼디난드 이후의 본체 역시 시생인을 제일 많이 만들던 디오 브란도를 오마주한 디에고이다.[4][5]
3. 능력
3.1. 스탯
- 스피드 B?
파괴력의 경우엔 펀치 같이 힘으로 공격하는게 아니라 손톱으로 가르는 식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A가 아니여도 납득이 가지만 작중에서 디에고는 스피드 A인 D4C의 펀치를 가볍게 피했다. 나중에는 밸런타인이 쪽수로 밀어붙이기 위해 여러명의 밸런타인들을 데리고 왔을 때도 그들의 공격을 전부 피했다.[6] 디에고 본인도 스피드는 본인이 D4C보다 우위라고 할 정도. 작중에서도 공룡은 최강의 생물이라 묘사되는데 그런 것 치곤 표기된 스탯은 낮다. 다만 이것이 단순히 이동할 때 혹은 능력으로 인한 공룡화의 속도를 말하는 것이라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혹은 성장했거나)
- 성장성 B
퍼디난드 박사가 죽고 유해의 힘으로 능력이 디에고로 옮겨가면서 스탠드가 성장했다.[7]
3.2. 퍼디난드 박사 ver.
|
퍼디난드의 스케어리 몬스터즈 |
최초로 만든 공룡은 통칭 '리더 공룡'으로, 이 리더가 상처낸 생명체 또한 공룡이 된다. 리더 공룡의 머리에는 볏이 달려 있다.
공룡화가 되는 생물체의 경우, 이미 죽은 사체라도 공룡화되어 되살아나며, 공룡의 종류는 벨로키랍토르다.[8]
작중에서는 디에고 브란도가 처음 감염되어 리더 공룡이 된다. 공룡이 됨으로서 상당한 운동능력을 갖게 되는 것은 물론 시각, 청각, 후각까지도 비정상적으로 발달한다.
기묘한 점은, 디에고가 처음 감염되어 유체의 안구를 얻기 전까진 페이지 상단의 EoH 모델링대로 랩터의 형상이었는데[9] 안구를 얻은 뒤에는(정확히는 6권이 끝나고 7권이 시작되는 화) 어째 공룡같은 모습의 수인이 되었다. 이는 유해의 작용으로 인한 공룡화 억제가 뒤섞인 것일 수도.
본체의 전투력 부재라면 퍼디난드가 공룡 입 안에 들어가 숨은 장면에서 볼 수 있듯이 충분히 극복할 수 있고, 실제로 이러한 대책이 자이로에게 파훼된 것도 유해의 스캔 능력 때문이다.
3.3. 디에고 ver.
|
디에고의 스케어리 몬스터즈 |
이러한 약점으로 패한 퍼디난드 박사의 사후, Dio가 성인의 왼쪽 눈을 얻음과 동시에 스케어리 몬스터즈의 능력을 이어받아 스탠드 유저가 되었고, 스탠드 능력 자체가 사용자의 정신을 반영하기에 박사가 쓰던 것과는 효과가 약간 달라졌다. Dio의 말 실버 불릿이 공룡으로 변하는 것을 보면 다른 생물을 공룡화시킬 때는 상처를 입히는 등의 조건이 없고 자유자재로 공룡화를 발동, 해제할 수 있는 듯 하지만, 쥐나 벼룩 등을 공룡화 시켰을 때만 자유자재로 부리고 상대하는 인간을 공룡으로 변화시키는 방식은 쓰지 않았다.[10]
Dio가 쓰게 된 이후로는 벨로키랍토르뿐만 아니라 익룡이나 공처럼 생긴 공룡, 원반처럼 납작한 머리의 공룡, 벼룩 사이즈의 공룡, 심지어 스탠딩 랜턴 모양의 공룡까지 나온다.[11][12] 아무래도 공룡화가 되는 매개체의 크기에 따라 공룡의 사이즈나 종류가 바뀌는 듯.
무엇보다도 제일 큰 차이로 본체 자신이 공룡화가 가능하기에 육탄전이 가능해졌다.[13][14] 신체 능력이 급상승해서 강화된 손톱으로 베면 단번에 사람을 즉사시킬 수 있고, 꼬리도 자유자재로 휘둘러 공격에 사용할 수 있는데다가 멀리 떨어진 대통령의 위치를 판단할 정도로 감각이 뛰어나다 보니 근거리 파워형 스탠드인 D4C와 대등하게 싸우기도 했다.[15]
4. 기타
감염되면 성격이 이상해지는 것 같다[16]
- 퍼디난드 박사의 스케어리 몬스터즈는 스탠드체가 있었으나 디에고의 스케어리 몬스터즈는 없다. 주인의 정신상태를 반영하는 존재인 스탠드의 특성상 퍼디난드와 디에고의 정신세계가 다르다 보니 능력이 변한 것처럼 이런 부분도 달라진 듯.
- 퍼디난드 박사는 산속의 퓨마들에 의해 먹히는 결말을 맞이하는데 넘사벽 맹수들로 묘사되는 공룡을 다루는 사람치고는 꽤나 아이러니하다. 쟈이로도 이를 보고 예나 지금이나 약육강식이라며 반쯤 비꼬는 독백을 한다.
- 스틸 볼 런의 배경인 1890년에는 '공룡'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긴 지도 반 세기밖에 안 된 시점인지라 '디오가 공룡이 됐다'는 자이로의 말에 죠니가 '공룡이 뭔데?!'라고 반응하기도 했다.[17]
[1] EoH의 DHA와 ASBR의 GHA 끝자락에서 디에고가 외친다.[2] 작중에서 디에고가 스케어리 몬스터즈로 만들어낸 별개의 소형 공룡들.[3] 쥬라기 공원에서 티라노사우루스는 양서류와 뇌가 비슷해서 정지한 물체는 보지 못한다고 한 데서 유래한 듯하지만 낭설로, 쥬라기 공원 2편에서도 그렇게 티라노사우루스를 피하려던 등장인물이 먹혀버린다. 스탠드 능력은 정신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보니 공룡이라는 개념이 생긴 지도 반 세기 정도밖에 지나지 않은 시대적 한계로 인해 주인들이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있었고 사용자의 정신을 반영하는 스탠드의 특성상 그러한 생각이 스탠드에게 반영되었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공룡덕후가 이 스탠드를 가지면 실제 닭 사이즈의 벨로키랍토르가 나오지만, 공룡을 아주 강한 사기캐로만 알고 있는 일반인이 쓰면 괴수물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드립도 있다.[4] 2부에서는 돌가면의 제작자들인 기둥 속 사내들이 나오면서 흡혈귀도 잡몹으로 격하되었기 때문에 그보다도 격이 떨어지는 시생인은 나오지조차 않았고, 3부 이후에 나오는 시생인은 바닐라 아이스와 얼치기 둘뿐인데 이들도 디오 브란도와 동일인인 DIO가 만들었다.[5] 실제로 이 스탠드로 만든 공룡을 시생룡 시생인으로 감염시키면 그 스펙을 추가로 강화할 수 있고, 역으로 생명체에 저장해두는 것이 가능한 파문의 특성상 파문전사가 공룡에게 파문을 넣어두고 활용할 수도 있다.[6] 이때 세 명의 D4C가 공격했으나 다 피하는 모습을 보여줬다.[7] 퍼디난드 박사는 본인이 직접 공룡화를 할 수가 없었다는 약점이 있었으나 그 약점이 보완되었다.[8] 감염되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작중에서 곰이 감염되자 티라노사우루스로 변하면서 잠깐 동안 주인공들을 당황시키는 연출이 있었다.[9] 막 랩터의 형상이 되었을 때가 아닌 그 다음 화에서부터 묘사된 모습.[10] 경비병 두 명의 시체를 스탠딩 랜턴 모양의 공룡으로 만들었으니 불가능하진 않지만, 죠니나 자이로와 싸울 때는 성인의 유체를 의식해 쓰지 않았다고 쳐도 가능했다면 충분히 쓸만했을 상황이 많은데, 뭔가 조건이 생긴 것인지는 불명.[11] 이 때 생성되는 공룡들에게는 공룡화한 디에고의 꼬리와 동일하게 'dio'가 적혀 있다.[12] Dio가 스케어리 몬스터즈를 얻었을 당시 성인의 왼쪽 안구를 소유한 상태였으므로 유체의 힘으로 스탠드가 강화된 것일수도 있다. 죠니의 터스크도 원래는 손톱을 회전시키는 것뿐이었지만, 성인의 왼쪽 팔을 얻고 나서 스탠드체가 발현되고 발사가 가능하게 되는 등 업그레이드되었기 때문.[13] 아마 본체 자신이 리더 공룡이었던 경험 덕에 이러한 부분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14] 이 때문에 퍼디난드 박사와는 운용법이 판이하게 다른데, 박사의 경우 자신은 숨어있고 마치 좀비물처럼 주변의 생물들을 차례로 공룡화시켜 적을 압박했지만 Dio는 소형 공룡을 여러 마리 만들어서 보조나 주변 정찰을 하다가 전투시엔 직접 공룡화하는 식으로 싸웠다.[15] 여기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D4C의 스탯이 스타 플래티나와 동일하니, 사정거리 빼고 죄다 A인 스탠드와 호각을 이룬다는 것이다. 물론 스탠드의 스테이터스 자체는 랭크가 같아도 어느 정도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스피드 A 파괴력 A의 근접 파워형 스탠드는 대체로 손날치기만으로 사람을 갈라 버릴 수 있는 수준이다.[16] 디에고는 감염되기 전만 해도 누구에게나 차가운 태도를 보였으나 감염되기 시작하자 죠니와 자이로와 농담을 주고받았다. 이는 마을에서 쉬었다 가자고 유인하려는 목적이었긴 하나 아예 성격이 바뀌었던 수준.[17] 이에 자이로가 영국의 오웬이란 사람이 붙인 코끼리보다 훨씬 큰 생물이라고 설명해주었으나 당장 작중에서 나왔던 공룡들만 해도 크기가 작았으니 자이로 역시 지식이 적었던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