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4:52:33

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


파일:스노우브레이크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DD8EC><colcolor=#7687AE> 스토리 스토리등장인물
인게임 계시자무기지원 소대
기타 평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83243,#010101> 파일:스노우브레이크 아이콘3.png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
尘白禁区 | 塵白禁區
スノウブレイク:禁域降臨
Snowbreak: Containment Zone
}}}
파일:snowbreak-containment-zone-676qh.png
<colbgcolor=#283243,#010101><colcolor=#fff,#ddd> 개발 Dragon Li Studios[1]
유통 파일:어메이징시선게임즈로고.jpg[2]
플랫폼 iOS | Android | Windows
ESD App Store | Google Play | 에픽게임즈 스토어 | 원스토어 | Steam
장르 3D SF 슈팅 RPG[3]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3년 7월 20일
스팀 2023년 12월 25일
엔진 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svg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지원 언어 음성
일본어 | 영어 | 중국어
시스템
중국어(간체/번체) | 일본어 | 영어 | 한국어 | 인도네시아어 | 태국어 | 독일어 | 프랑스어 | 스페인어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12세 이상.jpg 만 12세 이상 (App Store)
해외 등급 파일:IARC 7+ 로고.svg IARC 7+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게임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모바일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원스토어 아이콘.svg
PC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콘텐츠
3.1. 전투3.2. 공명3.3. 숙소
4. 버전 업데이트5. 등장인물6. 등장 적7. OST8. 평가9. 흥행
9.1. 중국에서의 역주행
10. 사건 사고11. 기타12.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킹소프트 산하 어메이징 시선 게임즈[4][5] 산하의 드래곤 리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게임.

서브컬쳐 3D 수집형 가챠 분재게임에선 사실상 처음 시도된 TPS 기반 게임으로, 원신, 퍼니싱을 위시한 실시간액션[6]에 슈팅게임 장르를 섞은 게임이다. 슈팅게임이긴 하나 에임 의존도는 많이 완화되어있으며, 초기의 방향성 부재로 인한 부진을 딛고 확실한 남성향 캐릭터 스타일을 밀고가며 타겟유저층을 굳혔다.
==# 발매 전 정보 #==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사전예약.jpg
  • 2023년 3월 30일부터 4월 8일까지 선행 베타 테스트를 진행했다.
  • 5월 30일부터 6월 14일까지 클로즈 베타를 진행하였다.
파일: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 그랜드_오픈.jpg

==# 트레일러 #==
트레일러
PV 트레일러
캐릭터 PV - 하임델 부대 어셈블
애니메이션 PV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000000,#dddddd><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파일:iOS 로고.svg파일:iOS 로고 화이트.svg
운영체제 미정 iOS 14.0
프로세서 미정 A13 바이오닉
기종 아이폰 8 아이폰 11
저장 공간 10GB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블랙.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화이트.svg
운영체제 미정[7] 안드로이드 11 이상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662, 기린 955,
삼성 엑시노스 8890[8]
스냅드래곤 855[9], 기린 995,
메모리 3GB 3GB[10]
저장 공간 6GB[11]
파일:Windows 로고 블랙.svg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운영체제 윈도우 10 / 11 64bit[12]
프로세서 미정[13] 인텔 i5-8XXX 또는 동급[14]
메모리 8GB[15]
그래픽 카드 PC : GTX 650 PC : GTX 970[16]
라데온 RX 580
노트북 : GTX 650M 노트북 : GTX 970M
API 미정 DirectX 11
저장 공간 20GB 이상[17]

3. 콘텐츠

3.1. 전투

  • 메인 스토리
  • 개인 스토리
    보유한 부대원들의 개인사를 들여다 볼 수 있으며 매일 행동력을 소모하여 보유한 캐릭터의 조각을 얻을 수 있다. 이를 '계시작' 혹은 '조각작' 이라 부르며, 캐릭터의 계시(돌파) 를 시간만 지나면 무료로 가능케 하는 핵심이다.
  • 일반 전투
    각종 캐릭터 육성 재료나 재화를 획득하는 던전이다. 원래 속전[18]이 없었으나 최근 패치에서 속전 기능이 추가되어 상당히 게임 진행에 많이 편해지게 되었다. 각 컨텐츠 공략의 캐릭터 편성 시 참고용이며 다양한 공략 방법이 있을 수 있다.
    • 풍요로운 주전자 : 통용 화폐 획득 컨텐츠
      격리 구역 중 엄폐물 없이 탁트린 광장지역으로 다량의 파괴 가능하고 공격 능력은 없지만 불규칙한 이동 패턴에 속도가 빠른 드론들이 등장한다. 시작 지점 기준 좌우에 파괴하면 적을 끌어당기는 기물이 2개가 존재한다. 산탄총 캐릭터를 사용하거나 수성(옵저버)가 있는 경우 시작 시 앞에 터렛을 연달아 깔아두면 편리하다.
    • 암시장 : 캐릭터 경험치 소재 획득 컨텐츠
      격리 구역 중 엄폐물이 중간중간 배치된 광장 지역으로 새신성회 돌격병과 지원 사격병이 몇회에 걸쳐 소환되어 등장한다.수성(옵저버)가 있는 경우 시작 시 앞에 터렛을 깔아두면 유용하다.
    • 피스 메이커 : 무기 경험치 소재 획득 컨텐츠
      격리 장벽 맵 기준 ㄱ자가 좌우로 뒤집힌 형태 맵 모양을 가지고있다. 코요테 소속의 적들이 주로 등장하며. 맵 주변에 파괴 시 주변 지역에 상태 이상을 부여하는 기물이 많이 있기 때문에 적이 등장할 때마다 적절하게 터뜨려주면 쉽게 완료가 가능하다.
    • 재련의 화염 : 무기 돌파 소재 획득 컨텐츠
      지하터널에 컨테이너가 배치된 맵으로 새신성회 근접, 원거리, 방패병 등이 몇번에 걸쳐 등장한다. 저격총 캐릭터보다는 다른 무기가 좀 더 진행에 수월하다. 수성(옵저버)가 있는 경우 시작 시 앞에 컨테이너 주변으로 터렛을 깔아두면 편리하게 클리어 가능
    • 프로즌 엠파이어 : 만트라 신경 획득 컨텐츠
      도심지에 타이탄과 잡졸로 구성된 미션으로 산탄총 캐릭터로 빠르게 접근하여 타이탄을 속히 제거하고 잡몹을 정리하면 된다.
    • 레이닝 파이어 : 지원 소대 획득 컨텐츠
      긴 도로 맵 구성으로 다량의 코요테 투척병과 미사일 투척 로봇이 등장한다. 저격 소총의 우월한 사거리를 내세워 조작한다면 피해 없이 완료가 가능하다.
    • 실전 훈련 : 튜토리얼 체험형 컨텐츠. 각 임무당 클리어 시 1회에 한하여 디지털 코인을 지급한다.
      스킬 사용, 부위 파괴, 성지, 도탄 등등 인게임 전투에서 유용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전투 관련 정보는 따로 정리해서 표시해 주는 컨텐츠가 없기 때문에 잘 숙지해두면 좋다. 특성상 감지(행동력) 소모가 없으며, 반복클리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일퀘스트를 깨는 용도로 사용해도 좋다[19].
  • 특수 파견
    • 지하 클리닝
      구역을 돌면서 적들을 처치하고 완료한 단계에 따라 보상을 지급 해주는 던전으로 왠만한 게임들에 대부분 있는 타워 콘텐츠다.
      • 폐기 구역
        1~14단계. 미리 정해진 난이도의 적을 상대하며 리셋되지 않는 1회성 컨텐츠.
      • 요튼 터널
        15~18단계. 자신이 선택한 오염 강도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지며 2주일에 한번 리셋된다.
    • 가상 시뮬레이션
      보스를 상대로 점수를 내는 도전형 컨텐츠. 매주 교체되는 두명의 보스를 상대로 점수를 내고 순위를 겨뤄 보상을 받는 유일한 경쟁 컨텐츠. 각 보스 별로 캐릭터 셋을 한번 정해두면 교체가 불가능하니 신중히 선택해야 된다.
    • 전술 테스트
      정해진 스테이지 효과 하에서 전투하고 보수를 받는 1회성 컨텐츠. 도합 12단계로 되어있으며 각 단계는 10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총 120개의 스테이지가 존재한다. 난이도 역시 계단식으로 상승해 1단계 1스테이지의 적 레벨은 25지만 12단계 10스테이지에선 89레벨까지 올라간다.
  • 하이퍼 링크
    • 구역 진압
      상시 오픈되어있는 멀티 컨텐츠. 최대 3인의 플레이어가 복수의 잡몹으로 구성된 웨이브를 클리어해가며 랜덤으로 등장하는 버프를 모아 보스를 격파해 클리어하는 로그라이크 구성으로 되어 있다.
    • 용자의 게임
      기간한정 멀티 컨텐츠. 잡몹은 없이 보스 셋을 연속으로 상대한다.
  • 역설적 미로
    싱글 플레이 로그라이크 컨텐츠. 각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며 랜덤으로 등장하거나 구입하는 버프를 모아 강화해가며 진행한다.

3.2. 공명

가챠. 5성 캐릭터와 무기는 대부분 이것으로 획득한다. 각각 기간제로 진행되는 공명 이벤트(픽업 가챠)와 영구 공명(상시 가챠)으로 나뉜다. 가챠 방식에 따라서 확정가챠와 반천장가챠로 다시 나뉜다. [짧은요약]

[ 5성 캐릭터, 무기 특성 ]
  • 캐릭터의 경우는 중복획득시 해당 캐릭터의 추출물60개를 획득한다. 5계시(돌파)가 종결스펙이며[21], 개인스토리에서 얻는 추출물로 시간이 지나면 무료로 돌파가 가능하다. [22]. 또한 이미 풀계시라 의미가 없는 추출물은 분해하여 이미 획득한 적이 있는 5성캐릭터의 추출물로 바꿀 수 있다[23].
  • 무기의 경우는 중복 획득시, 이를 합쳐 '개조'를 진행해 무기스킬의 효율을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다. 개조는 1번만 하면 종결[24]이다[25]. 또한 5성무기 3개를 분해시 얻는 재화로 이미 얻은 적이 있는 5성무기를 획득하는게 가능하다.

[ 각 가챠의 공통특성 ]
  • 모든 뽑기권의 가격은 160디지털코인이다. 패키지에 포함된 경우는 대부분 좀 더 저렴하다.
  • 같은 종류의 가챠는 픽업기간이 지나더라도 스택이 이월된다. 반천장가챠의 확정천장또한 이월된다.
  • 픽업대상이 여러 종류인 경우, 도중에 픽업 대상을 바꿀 수 있고, 어떠한 패널티도 존재하지 않는다.
  • 천장횟수 초반엔 5성획득 확률이 낮으며[26], 특정 구간을 지나면서 급격한 확률보정이 걸린다. [27]
  • 5성은 획득시 25개, 4성은 5개의 '보상 식별코드' 아이템을 추가로 준다. 이는 교환상점에서 뽑기권, 상시5성무기 등으로 교환가능하다.
  • 3성획득시 25개의 '배급 식별코드' 아이템을 추가로 준다. 교환상점에서 뽑기권, 각종 육성재화로 교환할 수 있다.

[ 가챠의 종류 ]
  • 상시 가챠
    • 비기닝 어셈블
      초보자용 뽑기로써, 50뽑 이내에 확정적으로 5성 상시캐릭터중 하나를 랜덤으로 얻게된다. [28] 획득 후에는 어떠한 보정도없으므로 더이상 투자하지 않는것을 권한다. 또한, 상시가챠권이 아닌 디지털코인(유료재화)를 투자하는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 영원한 결의
      상시캐릭터 반천장가챠로써 천장은 80회. [29] 5성획득시 천장횟수는 초기화되며, 이 때 픽업대상을 얻지 못한 경우 다음 5성은 100% 픽업대상이 나온다. 1.8버전 기점으로는 상시뽑기권을 제외한 재화투자는 삼가는게 좋다. 상시무기가챠도 마찬가지.
    • 미드가르드 코어
      상시무기 반천장가챠로써 천장은 60회이다.
  • 픽업 가챠
    • 시즌 공명
      기간제한 픽업 반천장가챠이다. 캐릭터, 무기의 천장은 각각 80회[30], 60회이며, 5성획득시 천장횟수는 초기화되며, 이 때 픽업대상을 얻지 못한 경우 다음 5성은 100% 픽업대상이 나온다.
    • 스페셜 시즌 공명[31]
      기간제한 픽업 확정가챠이다. 캐릭터, 무기의 천장은 각각 100회, 80회이며, 확률보정 이전의 획득획률은 매우 낮은 대신, 반천장가챠와 픽업캐릭터 획득 기댓값은 거의 같다. 즉, 픽뚫로 인한 편차가 없는 가챠이다. 상시 5성이 나오지 않는 대신, 일종의 마일리지 방식으로 캐릭터는 165회, 무기는 130회마다 상시 5성을 랜덤으로 획득가능하다.

3.3. 숙소

파일:스노우브레이크숙소.png
획득한 캐릭터를 입주시킬 수 있는 숙소. 매주 생성되는 정보 파편을 모아 획득한 재화(오프 상품권)로 각 캐릭터의 방을 꾸밀 수 있는 가구를 구입할 수 있다. 전투 및 가구 선물로 캐릭터의 호감도가 상승하면 해당 캐릭터의 최종공격력이 증가하며[32] 별도의 스토리 열람이 가능해진다.

자유롭게 꾸미는 하우징 방식이 아닌 대신, 계시자(캐릭터) 별로 방의 가구, 벽지, 인테리어 등이 전부 다르고[33], 정교한 모션을 곁들인 상호작용등을 감상할 수 있다. 상기한 특성상 시간만 지나면 전부 무료로 얻을 수 있는 게 특징.

800오프상품권 짜리 가구는 분석가와 같이 상호작용을 하는 가구이며, 300상품권짜리의 비슷한 특정 가구를 대체하는 방식이다. 둘 다 구매 및 선물이 가능하지만 배치는 하나만 할 수 있으니 구매시 참고하자.

4. 버전 업데이트

· Ver1.1 등불 의식 (펼치기·접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tablebordercolor=#744f00>
||
등불 의식-콘셉트 PV
등불 의식-캐릭터 PV
이벤트 기간: 23년 8월 7일(월) ~ 23년 9월 21일(목)
* 신규 계시자로 전반기 픽업으로 기간한정 픽업 5성 수성(미스트)와 4성 상시 및 이벤트 배포로 세리스(골드피쉬)가 추가됐다. 후반기 픽업으로는 상시 5성인 리브(와일드 헌터)가 진행됐다.
* 리브(와일드 헌터)의 한정스킨이 판매됐다.
* 점검 시간 공지23년 08월 07일(월) 14:00~20:00 점검 시간 이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 등불 의식 : 스토리 임무. 이벤트 재화 '복첨' 및 '길어 화폐' 획득 가능
    수성에 의한, 수성을 위한, 수성의 이벤트로 최종 전투를 제외하면 모두 체험 캐릭터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 등불 의식 스토리 던전을 진행하다보면 수성(옵저버) 단독 임무가 많이 있으며 몇몇 임무는 니타(포암즈)야오(케어 관리사)가 전투원으로 참여 하기도 한다.
이벤트 스토리 (펼치기·접기)
처음에는 특정 물건을 보호해달라는 의뢰를 받아 수성이 따로 움직이지만 여러 사건에 휘말리고 미지의 단체에 의한 테러가 벌어지면서 민간인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분서주 하게 된다. 그러던 중 미지의 타이탄 악령을 만나게 되고 수성은 홀로 타이탄과 교전을 벌이다가 힘에 부치게 된다. 자신의 어머니가 미스트 복장으로 시험에 도전하여 자신의 가치를 증명했다는 사실을 기억해내고 수성(미스트)로 각성하여 미지의 타이탄과 전투를 벌여 가까스로 승리한다. 한 소녀가 거대한 타이탄과 벌였던 전투 장면이 실시간 방송을 통해 지역 내 모두에게 전달되고 이어 분석가와 하임달 부대원들과 함께 합류하여 평화를 되찾은 장소에서 가장 시야가 좋은 자리에서 불꽃 놀이를 함께 즐기면서 스토리를 마친다. 에필로그로 프티야가 타이탄의 잔해를 분석하지만 알수 없는 타이탄이 추가되었다는 검사 결과를 분석가에게 남기면서 미지의 타이탄 악령의 메인 스토리의 등장 가능성을 열어둔다.
  • 자정부터 : 도전 임무 이벤트 재화 '길어 화폐' 획득 가능
    육성 캐릭터 참여 임무로 맵을 전진하면서 적들을 처지하는 임무가 많다. 최소 30~65레벨 까지 있으며 이벤트 코인인 '길어 화폐'를 지급한다.
  • 스카이 타워 분쟁 : 도전 임무, 이벤트 재화 '복첨' 획득 가능
    육성 캐릭터 참여 임무로 정해진 맵에서 웨이브에 따라 적들이 계속 증원된다. 한번 선택한 파티는 중간에 변경할 수 없으며 개별 적을 처치 할 때마다 자원을 확보하고 각 3 웨이브가 끝날때마다 전투 자원을 소모해 맵의 보급 아이템/폭발물 등을 다시 리필할 것인지, 마감 시간을 증가시킬 것인지, 이미 사망한 대원을 부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총 42라운드 까지 있는 것으로 추정.
    전체적인 맵의 구조상 오브젝트는 많고 Z축으로 층구간이 많아 저격수로 다리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면 저격수가 활약하기 어렵다.
  • 등불의 계시 : 8월 14일 부터 오픈 되는 컨텐츠
  • 야밤의 순찰 : 8월 21일 부터 오픈 되는 컨텐츠
  • 복주머니 : 이벤트 상점 '복첨'과 '길어 화폐'를 소모하여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 Ver1.2 안개의 꿈 (펼치기·접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tablebordercolor=#744f00>
||
안개의 꿈-콘셉트 PV
메인스토리 11챕터와 함께 업데이트 된 기간한정 이벤트. 최초로 오픈월드 컨텐츠와 멀티 디펜스 컨텐츠를 선보였다. 다만 평가는 별로 좋지 못한데 오픈월드 컨텐츠는 완성도가 어설퍼서 엉성하고 재미없는 노가다 컨텐츠로 평가받고 있으며, 멀티 디펜스는 보스 스테이지없이 피돼지 잡몹들만 몰려나오는데다 플레이타임도 쓸데없이 길어 지루하다는 평가가 많다. 심지어 후반기 픽업은 최악의 5성으로 평가받는 프티야(사일런트)라서 매출도 처참하게 망했다. 이 당시에 유저들이 엄청나게 떨어져나가서 후술한 찬란한 휴가는 반년 뒤에 나올 예정이던 이벤트를 땡겨쓴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받고있다. 그래도 줄곧 혹평받았던 스토리면에서는 호평이 많았다.
  • 전반기 픽업은 신규 계시자인 기간한정 픽업 5성 하루(히든블레이드)가 진행됐다. 후반기 픽업은 프티야(사일런트)가 진행됐다.

· Ver1.3 찬란한 휴가 (펼치기·접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tablebordercolor=#744f00>
||
찬란한 휴가-콘셉트 PV
「가자! 해변으로!」-테마곡 PV
여름피서 컨셉으로 업데이트 된 기간한정 이벤트. 다수의 비키니 스킨들도 함께 공개됐는데 하나같이 노출도가 굉장해서 검열을 어떻게 통과한건지 신기하다는 반응이다.[34] 더불어 안개의 꿈에서 재미없다고 욕먹었던 오픈월드 컨텐츠를 보수해서 새롭게 선보여 나름대로 많이 발전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 전반기 픽업은 신규 5성 계시자인 기간한정 픽업 캣 시에라(트레이스)가 진행되었다.
  • 후반기 픽업은 오픈 한정 5성 계시자인 아카시아(반딧불) 복각이 진행되었다.
  • 최초로 비트코인 누적소모 보상이 도입됐다. 야오(동지)의 비키니 스킨, 5성 상시 계시자 선택권, 특수 테두리 등을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 Ver1.4 위험한 눈길 (펼치기·접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tablebordercolor=#744f00>
||
「위험한 눈길」 버전 PV
스페셜 챕터와 함께 업데이트 된 기간한정 이벤트. 안개의 꿈에서 욕 먹었던 멀티 디펜스가 개선돼서 나왔다. 스테이지 숫자를 10개로 줄여 지루했던 플레이 타임을 줄였고 마지막에는 보스 몬스터가 등장하도록 바뀌었다. 나름대로 평가는 좋은 편. 픽업 캐릭터는 고성능 서포터 신규 캐릭터인 테스-코트킨(매지션)[35], 후반기 픽업은 무난한 고성능 딜러로 평가받는 수성(미스트)라서 반응이 좋다.
  • 신규 계시자 '테스(매지션)'
  • 신규 무기 '익센트릭 조커'
  • 후반기 계시자 복각 '수성(미스트) '
  • 후반기 무기 복각 '주서단사 '
  • 신규 스킨 '테스-유배의 희열', '페니:크라운-슬로프 디바', '리브:와일드 헌터-서릿빛 축제', '야오:동지-스노우 슬레딩',

· Ver1.5 혼돈의 무곡 (펼치기·접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tablebordercolor=#744f00>
||
「혼돈의 무곡」 버전 PV
메인스토리 12챕터 전편과 함께 업데이트 된 기간한정 이벤트. 전반적으로 이벤트 컨텐츠 평가는 무난하지만 디펜스에서 하등 쓸모없는 기관포탑을 배치해서 이게 도대체 왜 있는건가 하는 의견이 많았다.
신규 상시 컨텐츠로 로그라이크 형식으로 진행되는 역설적 미로가 등장했다.
픽업 캐릭터인 캐시아(푸른 빛)은 등장 당시 뛰어난 성능의 딜러로 등장해서 화제를 모았다. 이후 여기서 추가적으로 성능을 개편해서 신규 상위권 딜러로서 입지를 굳혔다. 후반기 픽업은 뛰어난 광역기를 가진 하루(히든블레이드)가 픽업되었는데 신규 컨텐츠인 미로를 저격한 픽업으로 보인다.
  • 신규 계시자 픽업 '캐시아(푸른 빛)'[36]
  • 신규 무기 무기종 '석궁'
  • 신규 무기 픽업 '해왕성'
  • 후반기 계시자 복각 '하루(히든블레이드)'
  • 신규 상시 컨텐츠 '역설적 미로'
  • 신규 스킨 '캐시아-솔로댄스', '프티야:사일런트-광란의 곡조', '아카시아-연꽃의 매혹', '하루:히든 블레이드-바람의 첩자', '페니-불멸의 자태'

· Ver1.6 불타는 하늘의 장막 (펼치기·접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tablebordercolor=#744f00>
||
「불타는 하늘의 장막」 버전 PV
메인스토리 12챕터 후편과 함께 업데이트 된 기간한정 이벤트. 멀티 디펜스에서 파밍타임이 새로 추가되었고 이를 통해 이전 버전에서 잉여자원이나 다름 없었던 기관포탑을 강력하게 개조시키는 기능이 추가되어 실전성을 부여했다. 이외의 컨텐츠는 대부분 이전 이벤트 컨텐츠를 재탕한거라 딱히 좋은 평가는 받지 못했다.
역설적 미로의 최대 레벨이 증가하고 등장하는 적들의 종류가 추가되었다.
픽업 캐릭터인 이첼(아기 표범)은 등장 당시에 성능이 심각하게 좋지 않았던데다 원래 4성 계시자를 억지로 5성으로 올렸다는 의혹까지 있어서 평가가 매우 좋지 못했다. 결국 모든 계수가 상향된 후에 무난한 딜링과 뛰어난 지속력을 갖춘 서브딜러 겸 메인 힐러가 되었다. 후반기 픽업은 단일딜링 전용 서포터인 캣 시에라(트레이스)
  • 신규 계시자 픽업 '이첼(아기 표범)'
  • 신규 무기 픽업 '레이저 타이거(샷건)'
  • 후반기 계시자 복각 '캣 시에라(트레이스)'
  • 신규 스킨 '이첼:아기 표범-플라워 버드', '페니:크라운-슈가 퀸', '리브:와일드 헌터-스트릿 코드'

· Ver1.7 그림자의 흔적
「그림자의 흔적」 버전 PV
메인스토리 13챕터와 함께 업데이트 된 기간한정 이벤트. 기간한정 컨텐츠로 새롭게 일명 눈켓몬이라고 불리는 필드에서 용병을 포획해 활용하는 오픈월드 컨텐츠가 등장했다. 이외에도 역설적 미로의 기간한정 이벤트가 개최됐는데 상시버전의 단점들을 많이 개선하고 등장해서 평가가 좋다. 다만 문제점으로 이벤트 미로는 난이도가 하나 뿐인데 이미 미로 버프 노드가 찍혀있는 기존 유저들에게는 쉬운 난이도지만 뉴비들 입장에서는 클리어가 너무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픽업 캐릭터인 체르노(에니그마)는 강력한 성능에 스킬 딜러라는 아이덴티티와 공들인 모션까지 받아서 평가가 좋다. 또한 신규 5성 서포터인 엔야(엑수비아)는 캐릭터와 더불어 지원소대[37]까지 출석으로 배포하기까지 했다. 후반기 픽업인 테스(매지션)은 이미 성능이 입증된 서포터라서 역대급으로 호화 픽업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 신규 계시자 픽업 '체르노(에니그마)', '엔야(엑수비아)'
  • 신규 무기 픽업 '백야의 이별(기관단총)', '심연의 빛(피스톨)'
  • 후반기 계시자 복각 '테스(매지션)'
  • 신규 스킨 '체르노:에니그마-견습 메이드', '엔야:엑수비아-키스 테라피', '테스:매지션-시크릿 데이트'

5. 등장인물

파일:스노우브레이크로고.png
계시자 목록
{{{#!wiki style="margin: 0 -0px -6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속성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91919>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화염
[[프티야(사일런트)|
파일:사일런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야오(동지)|
파일:동지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프티야(리틀썬)|
파일:리틀썬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엔야(누님)|
파일:누님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얼음
[[캐시아(푸른 빛)|
파일:케시아_푸른빛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석궁.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아카시아(반딧불)|
파일:반딧불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리브(와일드 헌터)|
파일:와일드헌터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야오(케어 관리사)|
파일:케어관리사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캣 시에라(냥이)|
파일:냥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KP
[[이첼(아기 표범)|
파일:이첼_아기표범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하루(히든 블레이드)|
파일:하루_히든블레이드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마리안(스위프트)|
파일:스위프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세리스(골드피시)|
파일:세리스_기본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페니(라이언 하트)|
파일:라이언하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하루(X에이스)|
파일:X에이스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니타(포암즈)|
파일:포암즈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번개
[[테스(매지션)|
파일:테스_매지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수성(미스트)|
파일:Sb미스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페니(크라운)|
파일:크라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리브(웬스데이)|
파일:웬스데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수성(옵저버)|
파일:옵저버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혼돈
[[체르노(에니그마)|
파일:체르노_에니그마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캣 시에라(트레이스)|
파일:캣시에라_트레이스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마리안(미스 머미)|
파일:미스머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체르노(페이스 시프터)|
파일:페이스시프터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아카시아(디스플레이 없음)|
파일:아카시아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
}}}}}}}}}}}}
[ 총기류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f0f0f><tablebordercolor=#b39e4f><color=#1A1F23><width=900>
파일:스브기관단총백.png 기관단총
||
[[체르노(에니그마)|
파일:체르노_에니그마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캣 시에라(트레이스)|
파일:캣시에라_트레이스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리브(와일드 헌터)|
파일:와일드헌터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캣 시에라(냥이)|
파일:냥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리브(웬스데이)|
파일:웬스데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체르노(페이스 시프터)|
파일:페이스시프터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기관단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브저격총백.png 저격총
[[테스(매지션)|
파일:테스_매지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야오(동지)|
파일:동지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마리안(스위프트)|
파일:스위프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야오(케어 관리사)|
파일:케어관리사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마리안(미스 머미)|
파일:미스머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저격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브산탄총백.png 산탄총
[[이첼(아기 표범)|
파일:이첼_아기표범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페니(크라운)|
파일:크라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세리스(골드피시)|
파일:세리스_기본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페니(라이언 하트)|
파일:라이언하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니타(포암즈)|
파일:포암즈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산탄총신.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브피스톨백.png 피스톨
[[하루(히든 블레이드)|
파일:하루_히든블레이드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아카시아(반딧불)|
파일:반딧불이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엔야(누님)|
파일:누님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하루(X에이스)|
파일:X에이스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KP.png
{{{#!wiki style=" display:block"
]][[아카시아(디스플레이 없음)|
파일:아카시아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피스톨.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혼돈.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브돌격소총백.png 돌격 소총
[[수성(미스트)|
파일:Sb미스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프티야(사일런트)|
파일:사일런트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프티야(리틀썬)|
파일:리틀썬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화염.png
{{{#!wiki style=" display:block"
]][[수성(옵저버)|
파일:옵저버얼굴.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돌격소총.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번개.png
{{{#!wiki style=" display:block"
]]
파일:스브석궁백.png 석궁
[[캐시아(푸른 빛)|
파일:케시아_푸른빛_플레이어블_사진.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석궁.png
파일:스노우브레이크얼음.png
{{{#!wiki style=" display:block"
]]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등장 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등장 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설정 #==
  • 용어백과001 - 성인병
    만성 비질환성 질환으로 첫 사례는 40년 전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고 명명 되었다. 주로 미성년자(14세~19세)한테 해당 질환이 나타나고, 대다수 환자에게서 환시와 환청이 나타났다. 후에는 내장도 영향을 받아 쇠약해지고, 마지막에는 뇌까지 영향을 받아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기까지 했다. 이에 '바델 억제제'는 성인병을 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약물이 된다.
  • 기밀문서001 - 성인병 폭발
    특효약이 개발되지 않은 시대에 성인병의 사망률은 70% 이상까지 치솟았고, 초기에 각국에서 성급하게 대응했으나 명확하지 않은 병리로 정확하게 질환을 검진하고 치료할 수 없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미성년자의 생존율을 대폭 저하시켰고, 각국에 사회적 불안을 야기했다.
  • 기밀문서002 - 바델 억제제
    2030년대, 미성년자의 낮은 생존율로 적령기의 노동력이 해마다 감소했고, AI와 로봇 기술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며 공업계에 널리 적용되기 시작했다. AI 기술 호황으로 힘을 입은 월드트리는 성인병 특효약인 바델 억제제를 개발했지만, 아직은 소규모 실험 단계에 있어 대중들에게 개방하지는 않았다.
  • 기밀문서003 - 월드트리 회사의 굴기
    2040년대, 바델 억제제 기술이 점점 무르익음에 따라 생산능력이 대폭 상승했다. 바델 억제제로 인한 막대한 수익과 AI 분야의 지속적인 인수 합병으로 인해 월드트리 회사는 세계 최대 시가총액 상장사와 역사상 최대 총자산 기업집단이 됐다.
  • 기밀문서004 - 첫 강림 사건
    포스트 성인병 시대, 소녀들은 자연스레 각계각층의 관심을 받는 스타가 되었다. 이로 인해 소녀들끼리 서로 맞서 싸우는 퍼포먼스 성향의 가상 시뮬레이션 '발키리 게임'은 가장 주목받는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았다. 발키리 게임 제8회 결승전 현장에서 첫 강림 사건이 발생하고, 타이탄이 경기장에 나타나 수많은 관중과 선수에게 상처와 인명 피해를 입혔다. 사건 발생지인 도시 전체에 비상사태가 선포되고, 주민들은 긴급히 대피하기 시작했으며, 군부 등의 세력은 영향받은 지역에 진입하게 된다.
  • 용어백과002 - 강림 사건
    3년 전 타이탄이 발키리 게임 연례 결승전 경기장에 나타나면서, 사람들은 이를 '첫 강림'사건으로 불렀으며, 이를 계기로 전 세계 곳곳에서도 지속적으로 타이탄이 출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람들은 이를 '강림 사건'으로 불렀다.
  • 용어백과003 - 타이탄
    '발키리 게임' 제8회 연례 결승전에 처음 등장한 거대한 휴머노이드. 경기장을 파괴하고 많은 사상자를 내더니 갑자기 사라졌다. 대량의 외골격으로 둘러싸여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고, 룬과 유사한 문신 패턴을 갖고 있으며, 인간이 알 수 없는 능력과 무지막지한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이후, 형태는 비슷하지만 체형이 적은 타이탄은 여러 차례 나타났다. 나타나는 장소와 시간이 불규칙해 사람이 밀집한 지역에 나타날 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었다.
  • 기밀문서005 - 제로 구역 완공
    갑자기 강림했던 타이탄은 실종되고, 타이탄 물질과 타이탄 오염은 빠르게 확산되었다. 월드트리 회사는 주민들의 철수를 돕고, 타이탄 물질의 확산과 또다시 불현듯 나타날 수 있는 타이탄에 대항하기 위해 격리 장벽을 쌓을 거라고 발표했다. 몇 차례 타이탄의 기습에도 불구하고, 모든 격리 장벽의 공사가 완성되며 제로 구역의 정식 완공을 선포했다.
  • 기밀문서006 - 제로 구역 구조
    제로 구역은 특별히 월드트리 회사가 첫 강림사건의 지점을 중심으로 만든 격리 구역을 지칭한다. 이는 세계 최초의 격리 구역이다. 제로 구역은 안쪽에서 바깥쪽까지 가든 구역, 심수 구역, 오염 구역, 버퍼 구역 등 총 4개의 구조로 나뉘어져 있으며, 타이탄이 나타나는 빈도 수와 타이탄 물질의 오염 정도는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그중 버퍼 구역은 아직 타이탄이 등장한 적이 없고, 타이탄 오염도 없어 유일하게 대량의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 기밀문서007 - 하임델 부대 성립
    만트라 계시 현상은 '강림'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점차 나타나기 시작했다. 첫 계시자는 전 발키리 출신의 웬스데이였다. 월드트리 회사의 고위층들은 세계 각지의 계시자들을 모집해 하임델 부대를 조직하여 타이탄에 대항했다. 이후 강림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하임델 부대가 소탕 작전에서 세계적인 이목을 끌게 되자 월드트리 회사는 이에 맞춰 전담 지원과 예비역 부서를 조직했다. 이어서 스폰서 접수를 하는 등 여러 계획을 내놓기 시작했다.
  • 용어백과004 - 타이탄 물질
    격리 구역에서 나타난 결정체 형상의 타이탄 물질은 타이탄의 신체 조직과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방사능 오염을 발산해 불완전한 만트라 계시를 유발할 수 있어 격리 구역 내의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다.
  • 용어백과005 - 만트라 계시
    만트라 계시는 하기 세 가지 방법으로 촉발된다 :
    ①.강림 사건 발생 당시 직접적, 혹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타이탄 본체와 접촉(일반적인 접촉은 제외)
    ②.발키리 게임(혹은 기타 경로)의 선발을 통해 데이터 합격 인증을 받은 후, 인위적으로 바델 억제제를 주입한 후 촉발.
    ③.성인병을 앓고 바델 억제제를 주입한 후에 완치(기타 치료 방법은 제외)
    상기 세 가지 경로를 통해 확률적으로 만트라 계시를 유발하고 계시자가 될 수 있다.
    계시자의 특징 :
    ①.자신을 어떤 신화의 신이라 여기고, 신화시대부터 지금까지 잠들어 있다가 타이탄의 계시를 받고 각성한 것이라 생각한다.
    ②.신체적 능력 및 정신적 능력이 대폭 상승하고, 그중에서도 강력한 자는 타이탄의 힘을 빌려 싸울 수 있다.
  • 용어백과006 - 만트라 신경
    계시자의 뇌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생리학적 구조인 만트라 신경은 여러 개의 신경중추와 확장된 시냅스로 원래의 뇌신경을 기반으로 독립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또 다른 신경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나노바늘로 특정 신경 중추에 바델 억제제를 주입할 시, 해당 신경을 자극하고 시냅스의 발육을 가속시켜, 궁극적으로는 계시자의 만트라 신경에 해당하는 다양한 신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기밀문서008 - 향후 미래는 어디로…
    바델 억제제 생산이 정체되며 재고가 점점 고갈됐고, 일부 지역은 공급 중단으로 인해 분쟁이 발생했다. 타이탄 구원론을 전파하고 다니는 미스터리 조직인 새신성회는 성인병에 유효한 약물을 배포하고 버퍼 구역에서 빠른 속도로 확장하며 영향력을 키웠다. 격리 구역에서 월드트리 회사의 압박을 받은 피난민들은 저항의 신념을 확고히 하며 코요테 조직을 성립했다. 각 세력은 활개치고 있고, 위험도 점점 다가오고 있다. 향후의 미래는 과연 어떻게 흘러갈 것인가…
  • 스폰서001 - 오크 에코
    오크 에코는 성인병 폭발 후에 창립된 회사로 주로 환경 보호를 주장하는 종합형 기업이다. 재활용이 가능한 최첨단 과학 기술 소재를 연구생산하고, 마이크로 생태계 유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힘쓰고 있다. 또한 소형 로봇과 고도화 전술 슈트 개발에 힘스고 있으며, 극한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일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 스폰서002 - 람세스
    람세스 그룹은 한때 호텔과 여관 등의 숙박업을 주 영업으로 하고 있었고, 전 세계에 수많은 사업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러다 수면 연구 관련 분야에 천천히 관여를 하기 시작했고, 수면 데이터를 수집해 뇌 과학 연구를 이끌어 나갔다. 타이탄 사건이 일어난 후, 타이탄 과학 기술에 눈독을 들이며 월드트리 지원부에 대량의 인원 및 과학 기술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 스폰서003 - 매직로터스 테크윈
    매직로터스 테크윈은 디지털 애완동물의 개발 판매를 주업으로 하는 과학 기술 회사다. 해당 회사의 디지털 애완동물은 모두 친화력을 보이는 동물 형태로 전시돼 있다. 최근에 매직로터스 테크윈은 특수한 휴대용 기기를 새로 개발했으며 해당 기기로 디지털 애완동물을 현실 세계로 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기능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 스폰서004 - 아크로폴리스 아카데미
    아크로폴리스 아카데미는 연구형 사립 아카데미다. 아카데미는 오랫동안 월드트리의 후원을 받았고, 대다수 학생들은 아카데미 추천으로 졸업 후 월드트리의 각 부서에 들어간다. 3년 전, 타이탄 강림의 기원과 목적은 많은 학자들에게 골머리를 가져다 주어, 이에 아카데미는 격리 구역에 여러 학자들과 학생들을 보내 연구시키고, 동시에 관련 데이터와 연구 성과를 월드트리에 보고한다.
  • 코러스 시스템
    분석가를 위해 특수 제작한 신체 기능 모니터링 의체로, 분석가 혈액 속에 있는 '특유 글로불린' 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작중에서는 리브와 페니도 모르는 신 시스템이라 언급되며 타이탄 출현을 예지하는 기능이 있다고 나온다.

7. OST

8.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흥행

9.1. 중국에서의 역주행

스노우 브레이크는 1.3버전 전까지만 해도 본섭, 글섭 모두 상대적으로 부진하고 있었고, 극단적으로 유저들 사이 서비스 종료 이야기도 심심찮게 나오는 여러모로 암울한 침체기를 보내고 있었으나 1.3버전, 즉 늦가을에 하는 여름 이벤트부터 남성향 노선을 본격적으로 타기 시작하더니, 1.4버전부터 캐릭터성 및 스킨 면에서 여러 기믹을 추가하면서 매출, 유저수 모두 서서히 반등시키며 우상향 곡선을 조금씩 그려나가는 중이었다.

그러다가 2024년 4월, 중국 서브컬처 게임계는 젠더갈등으로 갑론을박이 많아지는 혼란을 겪게 된다.[38] 그러던 중 1~2달 전에 있었던 제작자 인터뷰에서 남성향 게임이라고 대대적인 공표를 한 것이 발굴이 된 것.[39] 이후 기존 공개되었던 남성 지원 캐릭터 일러스트들을 모두 여성 일러스트로 교체할 것을 선언하였고, 1.7버전 공개와 함께 반 페미니스트의 선봉장 격으로 인식되면서 스노우브레이크는 이전까지는 유례없던 엄청난 역주행을 하게 되며, 이는 2024년 4월 말 현재에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40][41]

다만 한국 서버나 글로벌 서버쪽은 아직 관련 이슈 자체가 전해지지 않아 비교적 잠잠한 편이며, 입소문을 통해서 복귀 및 유입이 이뤄지는 수준으로 천천히 반등하고 있는 상황이다.

10. 사건 사고

  • 오픈 직후 서버가 터지고 이후 며칠 간 무수히 많은 버그들과 개선해야할 사항으로 인하여 단기간 내에 많은 무중단 패치가 이루어졌다.
  • 2023년 7월 22일 오후 약 10~11시부터 7월 23일 2시까지 재접속 시 접속이 안되는 버그가 일어났다. 해당 버그는 제어판으로 밀어버린 후 재설치를 하면 1번만 접속되고 또 접속할려면 재설치를 해야되는 버그이다. 해당 버그가 일어나게된 이유는 7월 23일 새벽 기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채팅 규정 위반 계정 정지
    12월 15일 게임에서 지원하는 채팅으로 시진핑 혹은 영어로 XIJINPING만 타이핑했는데 경고없이 바로 계정이 영구정지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 #2 계정 정지가 해제되는 기간은 2077년까지지만 사실상 영구정지로 보아야 하며 왜 하필 54년 정지인지 의문이 제기되었다. 2077이라는 숫자 때문에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사이버펑크 2077 드립이 나왔다. 계정 정지 사유는 '시사 및 정치 관련 발언'으로 인한 게임 규정 위반이며, 초범에 한해서 개발사에게 규정 위반에 대한 사과 및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내용의 메일을 보내자 해지해준 사례가 있다.#

10.1. 오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오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CBT 한국판 번역은 중국판이 기본이 된 것으로 보이는데, 발키리가 발키리 게임이란 고유명사를 제외하면 중국어로 발키리를 나타내는 여무신(女武神)으로 나온다. 정식 출시되면서 수정되었다.

11. 기타

  • 음성 더빙은 24년 3월 기준 일본어와 중국어, 영어를 지원하며, 셋 다 한꺼번에 다운로드가 된다.[42]
  • 유료 상품 중 배틀 패스가 존재하며 각 버전 업데이트 별로 이름이 바뀐다.
    • 오픈~1.1 등불 의식 - 선발 패스
    • 1.2 안개의 꿈 - 여명 패스
    • 1.3 찬란한 휴가 - 성해 패스
    • 1.4 위험한 눈길 - 서리 패스
    • 1.5 혼돈의 무곡 - 음색 패스
    • 1.6 불타는 하늘의 장막 - 화염 패스
    • 1.7 그림자의 흔적 - 심야 패스
파일:랑이.jpg
  • CBT 당시에는 '랑이'라는 유일한 남자 캐릭터가 있었으며 스킬과 궁극기 모두 있었으나 이야기가 많았는지 정식 출시 버전에서는 해당 캐릭터가 삭제되었다.
파일:스노우 브레이크 포비든 존 로고.jpg
CBT 당시 앱 아이콘
  • CBT 당시 에는 리브의 얼굴을 아이콘으로 사용했으나, 이후 7월 16일에 이미르 아이콘으로 변경되었다.
  • 사용자 계정 컨트롤에서 CBT 클라이언트 명이 간체자로 뜨고 설치 시 "계속 까?"라고 나오는 발번역이 일부 있었다. 정식 출시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에서는 영어 이름으로 나오지만 라데온 그래픽 드라이버에서는 여전히 간체자로 나온다.
  • Windows 버전에서 '창 모드', '테두리 없는 전체화면' 밖에 지원하지 않는다. 즉 대다수의 게임들이 지원하는 전체화면을 아직 지원하고 있지 않다는 뜻.
  • 엔비디아 익스피리언스의 캡쳐 기능을 사용하면 'Game.exe-날짜' 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된다.
  • 스토리를 보던중 잠수를 타면 오류가 생긴다. CBT에서는 없었던 버그이다.
  • 멀티 플레이에서 기묘한 자세로 얼어붙고 이동은 되는데 스킬과 공격은 안되는 버그가 있다. [43]
  • 2024년 현재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진은 조작 가능 캐릭은 물론이고 NPC도 우호세력의 네임드는 최대한 여성으로 만드는 중이라고 한다. 예전에 남자로 공개되었다가 흐지부지된 캐릭도 여성으로 다시 설정중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12. 외부 링크


[1] 狸花猫工作室(이화묘공작실), 유통사인 SEASUN 산하의 회사[2] 소녀가배창, 걸카페건 개발사.[3] 공식 표기 장르. TPS 방식으로 진행된다.[4] 이 회사에서 만든 게임들의 문서들을 열람해보면, 죄다 이름이 혼용되어있는데 어메이징 시선 게임즈시선 게임즈 둘 다 올바른 것으로 보인다.[5] 또한 이 회사가 개발한 작품만 다 서비스 종료를 하였다는 비운의 경력이 있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이번 작은 배급만 한 것으로 보인다.[6] 3명의 캐릭터를 사용하는 덱빌딩 요소를 갖고있다.[7] 2023년 7월 21일 기준 타겟 API 레벨이 31(안드로이드12)이고, 최소 API 레벨이 21(5.x)이기 때문에 성능만 따라준다면 2014년 이후에 출시한 왠만한 기기에선 다 돌아간다. 즉 갤럭시 S4에서도 일단 실행은 된다는 말.[8] 갤럭시 S7[9] 갤럭시 A90 5G[10] 사실상 4~6GB이상, 권장사양이상의 스마트폰은 대부분 4GB이상의 램을 장착한다.[11] 2023년 7월 21일 기준, 전체 리소스 다운로드시 약 7.61GB를 사용한다.[12] RAM/주소할당 문제참고.[13] 샌디브릿지 i7도 그래픽만 뒷받쳐주면 가능하다.[14] AMD 기준 R5 1600 이상[15] 16기가 이하에서 간헐적인 프레임 드랍이 있다는 의견이 있으므로, 16기가 이상을 추천한다.[16] RTX 3070,RX 6800 XT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한다면 QHD 풀옵에서 144fps 방어가 가능하다.[17] 2023년 7월 21기준 게임 리소스 자체는 약 11.1GB를 사용한다.[18] 한 번 클리어 한 스테이지는 원터치로 클리어하는 기능.[19] 이 경우 '도탄' 스테이지를 추천한다.[짧은요약] 중국 모바일 게임에 흔한 구조, 가격의 반천장 가챠와, 픽업캐릭터 획득기댓값이 같은 확정가챠가 둘 다 있으며, 스노우브레이크 특유의 계시(돌파)작 시스템상 시간이 지나면 무료로 돌파가 가능해 대부분의 유저는 명함만 가져가는 가챠전략을 택하게 된다. 5성무기의 경우는 2개만 얻으면 종결스펙에 달하게 된다.[21] 고계시일 수록 요구하는 추출물의 수량이 많아진다.1계시=60, 2계시=60, 3계시=90, 4계시=120, 5계시=150개.[22] 이를 계시작이라 하며, 이벤트를 제외하면 하루에 2캐릭터씩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27일이 경과하면 1계시, 이후 30일이 지나면 2계시에 달하며, 약 8개월 투자시 풀계시가 가능하다. 대부분의 딜러캐릭터는 고계시 효율이 나쁘게 설계되어 있어 고계시유저는 소수이다.[23] 즉, 상시캐릭터 풀계시를 달성시, 약간이나마 픽업캐릭터 계시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긴다.[24] 즉 2자루만 얻으면 종결스펙이다.[25] 4성은 4번개조해야한다. 즉, 5자루가 필요[26] 반천장가챠 기준 0.7%[27] 비기닝 어셈블은 확인되지 않음.[28] 메인스토리 4-12클리어시 상시 5성을 선택해서 얻을 수 있다. 상시5성 2개는 초기에 획득이 가능한 셈.[29] 확률상 5성획득 평균기댓값은 53회이다.픽업대상 획득 평균 기댓값은 80회이다.[30] 확률상 5성 획득 평균기댓값은 53회, 픽업대상 획득 평균 기댓값은 80회이다.[31] 1.8버전에 추가됨[32] 최대5%.[33] 일부 중복 오브젝트는 존재하며, 상호작용 가능한 가구나 특징적 가구는 전부 다르다.[34] 특히 엔야의 경우 4성 스킨이라 그만큼 더 아쉽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35] 등장 당시엔 매직션이었으나 이후 패치로 바뀌었다.[36] 하루의 이벤트 스토리인 안개의 꿈에서 출현했던 적이 있다.[37] 공,싱 옵션 중옵을 가진 유효옵 지원소대다.[38] 어느 정도냐 하면, 2023년 12월 한국 서브컬처계에서 스튜디오 뿌리 남성혐오 논란이 발생했을 시기를 생각하면 된다.[39] 이때 나온 발언이 "훠궈는 매운맛이 맞다"이다.[40] 한국에서 소울워커가 역주행 한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 보면 이해하기 쉽다.[41] 비리비리 모바일 게임 인기 순위를 보면 그 원신, 붕괴: 스타레일이랑 맞먹는 수준으로 올라온것을 보면 정말 이전과 달리 격세지감이 느껴질 정도...[42] 아마 처음 접속했을 때 받는 리소스 다운로드 때 같이 다운받는 것으로 보인다.[43] 휠체어를 탄 자세나 다리를 벌리고 뒤집어진 자세나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 등으로 자세가 꽤 다양한 편 그냥 코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