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대학의 단과대학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인문 인문대학(문과대학/문리과대학) | 신학대학 | 사회 상과대학(경영대학) | 법과대학 | 사회과학대학(정경대학) |
자연 자연과학대학(이과대학/문리과대학) | 농과대학 | 수산대학(해양대학) | 생활과학대학 | 공학 공과대학(이공대학/과학기술대학) | 정보대학 | 건축대학 | |
의약 의과대학 | 치과대학 | 한의과대학 | 수의과대학 | 약학대학 | 간호대학 | 보건과학대학 | ||
예체능 예술대학 | 미술대학(조형대학) | 음악대학 | 체육대학 | 교육 사범대학 | 교육대학 | |
교양 교양대학 | ||
1. 개요
College of Computer Science / College of Computing소프트웨어융합대학은 컴퓨터과학 등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 중심으로 구성된 단과대학이다. '인공지능(AI)융합대학'이라는 명칭도 혼용되고 있다.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 분야 및 전기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등 하드웨어 분야를 모두 포괄하는 정보기술대학과는 차이가 있다.
2. 상세
정보기술(IT) 및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의 중요성과 사회의 요구가 부각됨에 따라 과거 공과대학 또는 IT대학 등에서 컴퓨터과학 등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들이 별도로 분리되어 설립되고 있다.원래는 공과대학 소속이었다가 2000년대 이후 전기전자공학과 등과 함께 공과대학에서 IT대학 등의 단과대학으로 분리되었다가 이후에 다시 하드웨어 부분을 제외한 소프트웨어 부분만 분리되어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설립된 경우가 많다. 역사가 오래된 학교의 경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설립된 경우가 많다.
컴퓨터과학과 / 컴퓨터공학과 / 소프트웨어학과를 중심으로 2010년대 이후 인공지능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정보보안학과 등이 합쳐져서 설립된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2010년대 후반 정부의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으로 기존 공과대학이나 IT대학에서 소프트웨어 분야만 분리 독립하여 설립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2020년대 이후에는 인공지능(AI) 분야의 급속한 발달로 인공지능(AI)융합대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2025년 현재 대부분의 서울 상위권 사립 대학교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인공지능융합대학)이 존재한다. 다만 서울대, 서울시립대 등 국공립대학의 경우 아직도 공과대학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College of Computing, School of Computer Science 등이 소프트웨어융합대학에 해당한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도 카네기 멜론, 조지아텍 등 몇몇 대형 공과대학교를 제외하면 소프트웨어 학과가 별도의 단과대학으로 분리된 경우는 많지 않으며, 종합대학교의 경우 대체로 공과대학 소속의 학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 분야 전세계 최고의 대학 중 하나로 꼽히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경우에도 공과대학에 포함되어 있다. 별도의 단과대학으로 분리된 경우가 흔치는 않지만 그런 경우 주로 통계학과 계열의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와 합쳐서 설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3. 학과
4. 설치 대학
4.1. 수도권
- 경희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광운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2]
-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경기대학교 소프트웨어경영대학
- 단국대학교 SW융합대학
- 동국대학교 AI융합대학
- 동덕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
- 서강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세종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
-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연세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인공지능대학
- 인하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3]
- 한국공학대학교 SW대학
- 한국외국어대학교 AI융합대학
- 한국항공대학교 AI융합대학
- 한신대학교 AI·SW대학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소프트웨어대학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소프트웨어융합대학
4.2. 호서권
- 대전대학교 SW융합대학
- 선문대학교 SW융합대학
- 순천향대학교 SW융합대학
- 우송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남서울대학교 SW∙AI융합대학
- 건양대학교 AI∙SW융합대학
- 배재대학교 AI·SW창의융합대학[4]
- 호서대학교 AI융합대학
- 나사렛대학교 IT인공지능학부 (단과대)
- 한남대학교 스마트융합대학
4.3. 영남권
4.4. 호남권
5. 해외대학
국내와는 단과대학의 개념의 차이가 있다. 해외에서는 몇몇 공대를 제외하면 대체로 종합대학에서는 공과대학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다수다.5.1. 미국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Schwarzman College of Computing 홈페이지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캠퍼스 Siebel School of Computing and Data Science 홈페이지
- 조지아 공과대학교 College of Computing 홈페이지
- 카네기 멜런 대학교 School of Computer Science (SCS) 홈페이지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Computing + Mathematical Sciences (CMS) Department 홈페이지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Donald Bren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puter Sciences 홈페이지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School of Information 홈페이지
- 피츠버그 대학교 School of Computing and Information 홈페이지
[1] 사실상 정보대학의 전신이자 존재 이유이기 때문에 없어서는 안 될 학과다.[2] 2024년부로 '소프트웨어융합대학'에서 '인공지능융합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2018년에 소프트웨어학부가 창의ICT공과대학에서 분리되어 소프트웨어대학으로 신설되었다.[4] 공과대학의 범위에도 들어간다[5] 동아대학교 홈페이에 타 단과대학과 동등하게 리스트되어 있다. 영문명도 College of Computer and AI Engineering이다. 학과는 컴퓨터공학과과 AI학과 2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6] SW 관련 학과만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