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3:38:31

소론바이 젠베코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70000 0%, #e8112d 20%, #e8112d 80%, #a70000); color: #fff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스카르 아카예프 쿠르만베크 바키예프 로자 오툰바예바 알마즈베크 아탐바예프
<rowcolor=#ffff00> 제5대 제6대
소론바이 젠베코프 사디르 자파로프 }}}}}}}}}}}}
키르기즈 공화국 제5대 대통령
소론바이 젠베코프
Сооронбай Жээнбеков | Sooronbay Jeenbekov
파일:СооронбайЖээнбеков987272667483767.jpg
<colbgcolor=#E8112D><colcolor=#ffff00> 본명 소론바이 샤립 울루 젠베코프
Сооронбай Шарип уулу Жээнбеков[1]
출생 1956년 11월 16일 ([age(1956-11-16)]세)
소비에트 연방 키르기스 SSR 비므르자
재임 제5대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2017년 11월 24일 ~ 2020년 10월 15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키르기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키르기스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정치인
정당 키르기스스탄 사회민주당
종교 이슬람교 (수니파)

1. 개요2. 생애
2.1. 정계 입문2.2. 대통령 재임2.3. 사임

1. 개요

키르기스스탄의 정치인, 전 대통령.

2. 생애

2.1. 정계 입문

1956년 키르기스스탄 남부 오시주의 카라쿨자 군에서 집단 농장 지도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83년 키르기스 농업연구소에서 축산학을 전공한 이후 오시주의 주립 농장에서 축산 기술자로 일했다. 젠베코프는 1988년 공산당에 가입한 이후 집단농장에서 위원회 서기 및 이사회 의장 등의 직책을 맡다가, 1995년 총선에서 최고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어 2000년과 2005년 재선되었다.

젠베코프는 1998년 사회민주당에 가입했으며, 튤립 혁명 이후 2007년 농림수산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튤립혁명에 참여했던 바키예프 정부와 야권 간 불화가 심화되며 젠베코프는 장관직에서 해임되었고, 잠시 정치에서 은퇴했다가 2010년 복귀해 오시주 주지사를 지냈다. 2016년에는 아탐바예프 대통령 아래에서 키르기스스탄 총리로 선출되었다.

2.2. 대통령 재임

2017년 대선에서 젠베코프는 54.8%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전임자 아탐바예프가 북부 지방이 정치 기반이었다면 젠베코프는 남부 지방에서 많은 지지를 받았다.

대통령 취임 후 젠베코프와 그의 후원자였던 아탐바예프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2018년 2월 젠베코프는 법 집행 기관이 부패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고 비판했고, 이후 아탐바예프와 가까웠던 정치인들이 체포되어 부패 혐의로 기소되었다. 가령 사파르 이사코프 총리는 2018년 4월 해임된 이후 비슈케크 화력 발전소를 둘러싼 부패 혐의로 체포되었다#. 아탐바예프는 젠베코프가 동생 아슬벡 젠베코프(Асылбек Жээнбеков)를 비롯한 일가친족들을 요직에 임명하는 것을 거론하며 바키예프의 길을 따라가고 있다고 비판했지만#, 아탐바예프 본인도 2019년 7월 면책 특권이 박탈되었고, 결국 8월 9일 키르기스 당국은 아탐바예프를 부패 혐의로 체포했다#.

2020년에는 이사코프 총리가 해임된 이후 총리직에 취임한 아블가지예프가 부패 혐의로 사임하였고, # 보로노프가 차기 총리가 되었다. 아블가지예프 총리는 라디오 주파수 판매와 관련된 비리 외에 COVID-19 유행에 따른 마스크·보호복 구매 관련 비리 혐의도 받았는데, 후자는 대통령의 동생 아슬벡도 연루되어 있어서 논란이 되었다#.

2.3. 사임

2020년 치러진 키르기스스탄 총선에선 대통령의 동생 아슬벡이 소속된 비림딕(Биримдик)이 120석 중 46석을 획득해 제1당이 되었고, 여러 부패 혐의를 받는 마트라이모프 관세청장의 지원을 받는 메케님 키르기스스탄 등을 포함하면 여권이 120석 중 107석을 차지하는 압승을 거두었다. 이 선거는 곧바로 대규모 불복 시위로 이어졌고, 결국 선관위는 투표 과정 및 선거운동 기간에 대규모 위반 사례가 있었음을 시인하며 선거를 무효화했다#. 젠베코프 대통령은 10월 15일 자진 사임을 발표했고#, 시위 과정에서 석방된 사디르 자파로프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다.

젠베코프는 2021년 자파로프의 취임식에 참석했다#. 이후 젠베코프는 전직 대통령으로 대우받고 있으며, 최고회의에서 몇 번 젠베코프의 면책 특권을 박탈하고자 하는 제안이 있었으나 실현되진 않았다#.
[1] 러시아식 이름은 소론바이 샤리포비치 젠베코프(Сооронбай Шарипович Жээнбеков).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제옌베코프'란 표기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