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21:43:54

서울시립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출신 인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출신 인물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출신 인물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출신인물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출신 인물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
{{{#004094,#b9d9e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학교 정보
역사 학부 대학원
캠퍼스 학풍 학사제도
출신 인물 중앙도서관
기타
역동전 }}}}}}}}}}}}}}}}}}


1. 개요2. 상세3. 목록
3.1. 경제/산업/재계3.2. 정치/공공/관계3.3. 사회/교육/학계3.4. 문학/예술3.5. 방송/연예/언론3.6. 스포츠3.7. 전문직

1. 개요

서울시립대학교 출신 인물 명단.

2. 상세

주력 학과가 대부분 1970~1980년도에 신설되었고, 그 당시 졸업생이 200명도 안 되었다고 한다.시대별 정원 학교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동문들 수가 적은 편임에도 요직마다 동문이 좀 있다. 현재도 서울 지역 대학중에서 서강대와 함께 재학생이 1만명 미만인 학교로 분류되는 중소 규모의 학교다. 주요 동문 소식은 여기에서도 볼 수 있다. 흔지 않으나대학가요제 대상 수상자미인대회 우승자도 있다. 참고로 평균 졸업생 200명 수준의 70~80년대 졸업생 중 민/관 고위직을 역임한 인원이 존재하며, 아래 지면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이미 민/관의 주요 직책에 90년대(평균 졸업생 600명 수준)와 그 이후 졸업생들이 상당히 포진해 있다.

운동선수의 경우에는 과거 서울특별시청 체육 팀 선수들이 시립대 소속 선수들이었다. 대표적으로 남자배구 선수들과 남자축구 선수들이 그러했다. 즉, 팀명과 달리 실제로는 대학팀이었다.참조 그래서 남자배구에 경우에는 실업리그에서 진짜 실업팀들의 승점자판기었다 카더라.

3. 목록

  • 주: 나무위키 등재기준을 충족하는 서울시립대 출신만 기록되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학사/석사/박사 등 정규과정에 재학한 사실이 있는 자」 한정으로 출신(出身) 인물에 기재할 수 있다. 단, 졸업·수료·자퇴·제적 등 학적변동 여부를 명시한다.

3.1. 경제/산업/재계

  • 강종현(회계83) - 前롯데슈퍼 대표
  • 권숙형 - 前 SK건설 PJT E&C 서비스부문장(부사장)
  • 기노선(무역83)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부사장
  • 김경록(행정87) - 농협중앙회 강원본부장
  • 김근식(철학06) - 라이징팝스(서울플래닝) 대표
  • 김남희(경제92) - 롯데캐피탈 재무책임(CFO)
  • 김성권(화공87)-롯데케미컬 상무
  • 김영식(국문88)-한화생명 홍보실장(상무)
  • 김영훈(경제89) - 하나은행 자산관리그룹장(부행장)
  • 김인호(건축78) - 前한미글로벌 사장/국방부 기조실장
  • 김정훈(행정78) -前 IBK기업은행 사외이사(6년), 한국금융연수원 감사실장
  • 김창호(경제83) -前 IBK 신용정보(주) 대표, IBK기업은행 부행장
  • 김형열(무역79) - 前 NH투자증권 부사장, NH농협은행 부행장
  • 김홍진(경영82) - 前 HDC영창 대표이사
  • 나성대(행정) -前 산업은행 부행장/한국선박해양 사장
  • 문갑인(경제89) - SKT 수도권 CP담당(임원)
  • 문왕현(경제88) - 금호건설 주택본부장
  • 성주영(회계81) -LK그룹 부회장/前산업은행 수석부행장
  • 양선길(건축82) - 前 쌍방울그룹 회장
  • 유윤상(세무95) - 미래새한감정평가법인 대표
  • 이명근(건축75) - 前 신성건설 대표
  • 이병천(경영) - 맥스피드해운항공 대표
    • 이성남(경영89)-농협금융지부 감사부장 / 前여주지부장
  • 이승재(경제) - 삼성생명 부사장
  • 이용우(경영) - 새마을금고중앙회 사회공헌금융부문장
  • 이재형(화공) -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 이종호(전전컴) - 삼성전자 부사장
  • 임종성(경영) - IBK기업은행 사내이사, 前 서울지방조달청장, 헌법재판소 기획조정실장
  • 조광재(통계) - JC에셋자산운용 대표
  • 조청래(경제87)농협 경남본부장
  • 최창수(경영) - KB부코핀은행장
  • 함용일(회계) - 금융감독원 부원장
  • 현몽주(경영) - 前 SK렌터카 대표
  • 홍순영(경제) - 한국수출입은행 경협사업본부장
  • 정상균(경영 04) -빗썸 신임 CFO(경영지원총괄)
  • 김경택(전자전기공학 00) -삼성전자 상무
  • 정성훈(전자전기컴퓨터공학 00) -삼성전자 상무

3.2. 정치/공공/관계

3.3. 사회/교육/학계

3.4. 문학/예술

3.5. 방송/연예/언론

3.6. 스포츠

3.7. 전문직

  • 김정욱(로스쿨1기/변시 2회)-53대 변호사협 회장
  • 김창균(건축91)-유타건축 대표/건축사
  • 임재철(세무01)-가감세무법인 대표/前 10대 경기도의원
  • 신미정(회계92)-회계사
  • 장보원(세무93)-한국세무사고시회 27대 회장

[1] 고졸 상태로 의무소방 생활을 끝내고 2010년도에 서울 광진소방서 소속으로 소방관이 되었으며, 소방관으로 재직 중 소방방재과에 입학하여 2016년에 졸업. 소방방재과는 서울특별시 소방방재분야 직무자 대상 계약학과이다.[2] 본교가 위치하고 있는 동대문구 을을 지역구로 두고 있다.[3] 서울시립대학교 전신인 경성공립농업학교 출신으로 중퇴후 일본 조치대학으로 유학[4] 배우 김민서와는 동명이인. 더 벙커에 출연했던 그 경매사 맞다.[5] 학교에서도 대대적으로 추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