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서울서부지방법원|{{{#!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법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법원 | |
법원행정처 · 사법연수원 · 사법정책연구원 · 법원공무원교육원 · 법원도서관 · 양형위원회 | ||
서울고등법원 | ||
서울중앙지방법원 · 서울동부지방법원 · 서울남부지방법원 · 서울북부지방법원 · 서울서부지방법원 · 서울가정법원 · 서울행정법원 · 서울회생법원 ·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 남양주지원) | ||
인천원외재판부※ | <colbgcolor=#fff,#1c1d1f>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 | |
춘천원외재판부 |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 속초지원 · 원주지원 · 영월지원) | |
대구고등법원 | ||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 안동지원 · 경주지원 · 영덕지원 · 상주지원 · 의성지원 · 포항지원 · 김천지원) · 대구가정법원 (경주지원 · 김천지원 · 상주지원 · 안동지원 · 영덕지원 · 의성지원 · 포항지원) · | ||
광주고등법원 | ||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 장흥지원 · 순천지원 · 해남지원) · 광주가정법원 (목포지원 · 순천지원 · 장흥지원 · 해남지원) · | ||
전주원외재판부 |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 정읍지원 · 남원지원) | |
제주원외재판부 | 제주지방법원 | |
부산고등법원 | ||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 서부지원) · 부산가정법원 · 부산회생법원 | ||
울산원외재판부 | 울산지방법원 · 울산가정법원 | |
창원원외재판부 |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 진주지원 · 밀양지원 · 통영지원 · 거창지원) · | |
대전고등법원 | ||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 공주지원 · 논산지원 · 서산지원 · 천안지원) · 대전가정법원 (논산지원 · 서산지원 · 천안지원 · 홍성지원) · | ||
청주원외재판부 |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영동지원 · 제천지원) | |
수원고등법원 | ||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 안양지원 · 안산지원 · 평택지원 · 여주지원) · 수원가정법원 (성남지원 · 안산지원 · 안양지원 · 여주지원 · 평택지원) · 수원회생법원 | ||
| ||
특허법원 | ||
국방부 관할 | ||
군사법원 | 중앙지역군사법원 · 제1지역군사법원 · 제2지역군사법원 · 제3지역군사법원 · 제4지역군사법원 | |
대한민국 검찰청 관련 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서울서부지방법원 서울西部地方法院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 }}} | ||
<colbgcolor=#005496><colcolor=#fff> 설립일 | 1989년 9월 1일 서울지방법원 서부지원[1] 2004년 2월 1일 서울서부지방법원[2] | ||||
법원장 | 15대 김태업 (사법연수원 25기) | ||||
수석부장판사 | 전보성 (사법연수원 29기) | ||||
소재지 | 서울서부지방법원청사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74 (공덕동) | ||||
법원 보관금 취급 은행 | 신한은행 | ||||
웹사이트 | |
1. 개요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에 있는 지방법원이다. 서울고등법원 산하에 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용산구, 서대문구, 은평구 4개 구를 관할하고 있는 법원이다.
강서구로 이전한 경서중학교의 옛 부지에 들어서 있다. 더 이전에는 안양교도소의 전신인 마포형무소가 있었다.#
5호선 공덕역과 애오개역 사이에 있다.
2. 역사
3. 역대 법원장
서울서부지방법원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오세립 | 제2대 이광렬 | 제3대 박일환 | 제4대 유원규 | 제5대 최은수 | |
제6대 정장오 | 제7대 안영률 | 제8대 강영호 | 제9대 이기택 | 제10대 이태종 | |
제11대 김기정 | 제12대 배광국 | 제13대 최성배 | 제14대 정계선 | 제15대 김태업 |
<rowcolor=#fff> 대법원장 | 대수 | 이름 | 임기 |
최종영 | 초대 | 오세립 (李光烈) | 2004년 2월 11일~2005년 2월 13일 |
2대 | 이광렬 (李光烈) | 2005년 2월 14일~2005년 11월 3일 | |
이용훈 | 3대 | 박일환 (朴一煥) | 2005년 11월 4일~2006년 6월 |
4대 | 유원규 (柳元奎) | 2006년 8월 24일~2009년 2월 8일 | |
5대 | 최은수 (崔恩洙) | 2009년 2월 9일~2010년 2월 10일 | |
6대 | 정장오 (鄭長吾) | 2010년 2월 11일 ~ 2011년 2월 16일 | |
7대 | 안영률 (安泳律) | 2011년 2월 17일 ~ 2012년 2월 16일 | |
양승태 | 8대 | 강영호 (姜永虎) | 2012년 2월 16일 ~ 2014년 2월 13일 |
9대 | 이기택 (李起宅) | 2014년 2월 13일 ~ 2015년 8월 12일 | |
10대 | 이태종 (李太鍾) | 2015년 8월 12일 ~ 2018년 2월 13일 | |
김명수 | 11대 | 김기정 (金基正) | 2018년 2월 13일 ~ 2020년 2월 13일 |
12대 | 배광국 (裵珖局) | 2020년 2월 13일 ~ 2022년 2월 21일 | |
13대 | 최성배 (崔誠倍) | 2022년 2월 21일 ~ 2024년 2월 5일 | |
조희대 | 14대 | 정계선 (鄭桂先) | 2024년 2월 5일 ~ 2024년 12월 31일 |
15대 | 김태업 (金泰業) | 2025년 1월 31일 ~ 현재 |
4. 관할 구역
5. 주요 판결
- 서울서부지방법원 2004. 12. 2. 선고 2004고합??? 판결 - 이학만 경찰 살해 사건의 범인 이학만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 서울서부지방법원 2013.4.10 선고 2013고합??? - 고영욱 미성년자 성범죄 사건의 범인 고영욱에게 징역 5년을 선고했다. #
- 서울서부지방법원 2011. 9. 15. 선고 2011고합79 판결 - 만삭 의사부인 사망사건의 가해자에게 징역 20년을 선고했다.
- 서울서부지방법원 2016. 1. 27. 선고 2015고합252 판결 - 구파발 검문소 총기사건의 가해자 박 모 씨에게 검찰이 적용한 살인죄 대신 중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해 징역 6년을 선고했다.
- 2021.12.21 선고 2021고합151 판결 - 마포 오피스텔 감금 살인 사건의 주범 2명에게 각각 징역 30년을 선고했다.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2. 1. 6. 선고 2021고합233 판결 - 마포 오피스텔 상해치사 사건의 가해자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다.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2. 6. 16. 선고 2022고합21 판결 - 서울 어린이스포츠센터 직원 막대기 살인사건의 가해자에게 징역 25년을 선고했다.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4. 9. 30. 선고 2023고합25, 2024고합22 판결 - 이태원 참사 당일 부실 대응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임재 전 서울 용산경찰서장에게 금고 3년, 송병주 전 용산서 112상황실장에게는 금고 2년, 김광호 전 서울경찰청장에게 무죄 등을 선고했다.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4. 1. 12. 선고 2022가합37946 판결 - 윤석열 대통령의 2022년 미국 방문 당시 불거진 MBC의 '바이든, 날리면' 자막 논란과 관련해 MBC 측에 정정보도를 하라고 선고했다.
6. 사건 사고
6.1.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5년 1월 19일 늦은 새벽, 윤석열 대통령 구속 사건으로 인해 분노한 극성 지지자 수백 명의 폭동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aeef>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