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100a, #3b160e 10%, #542014 50%, #542014 60%, #3b160e 90%, #2a100a);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542014,#542014><colcolor=#ffffff,#ffffff> 설립자 | <colbgcolor=#fff,#1f2023><colcolor=#181818,#e5e5e5>아시시의 프란치스코 | |
정보 | 특징 · 한국의 프란치스코회 | ||
구성 | <colbgcolor=#542014,#542014><colcolor=#ffffff,#ffffff> 1회 | 작은형제회 ·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 · 카푸친 작은형제회 | |
2회 | 성 클라라 수도회 | ||
3회 | 재속프란치스코회 · 성 프란치스코의 율수 3회 | ||
성당 | 국제성당 · 산타 키아라 대성당 ·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대성당 · 성묘교회 ·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 카푸친 교회 | ||
교육 기관 | 교황청립 성 안토니오 대학교 · 교황청립 성 보나벤투라 신학부 | ||
기타 | 성지보호 관구 · 십자군 전쟁 | ||
카푸친 교회 안장자 · 프란치스코회 수도자 · 재속프란치스코회 소속 |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대성당 Basilica di Santa Maria degli Angeli Basilica of Saint Mary of the Angels | ||
<nopad> 파일:산타마리아델리안젤리.jpg | ||
<colbgcolor=#e3b869,#e3b869><colcolor=#800000,#800000> 기본 정보 | ||
국가 |
| |
소재지 |
아시시(Piazza Porziuncola, 1, 06081 Assisi PG, IT) | |
<nopad> | ||
종교 | 가톨릭 | |
교구 | 아시시노체라 움브라구아르도 타디노교구 | |
소속 | 작은형제회 | |
건축 정보 | ||
설립 | <colbgcolor=#e3b869,#e3b869><colcolor=#800000,#800000> 착공 | 1569년 |
완공 | 1679년 ([age(1679-01-01)]주년) | |
재건 | 착공 | 1836년 |
완공 | 1840년 | |
설립자 | 교황 비오 5세 | |
설계자 | 갈레아초 알레시 (Galeazzo Alessi) 자코모 바로치 다 비뇰라 (Giacomo Barozzi da Vignola) 루이지 폴레티 (Luigi Poletti) 체사레 바차니 (Cesare Bazzani) | |
종류 | 성당 | |
지위 | 교황청 준대성전 | |
양식 | 매너리즘, 바로크 | |
축성 | 1679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 | |
건축 내역 | ||
전체 길이 | 126m | |
전체 너비 | 65m | |
돔 외부 높이 | 75m | |
링크 | ||
홈페이지 | 공식 홈페이지 |
|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당과 프란치스코회 유적 Assisi, the Basilica of San Francesco and Other Franciscan Site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000" {{{#!folding [ 세부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이름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한국어 | <colbgcolor=#fff,#1f2023>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당과 프란치스코회 유적 | ||
영어 | Assisi, the Basilica of San Francesco and Other Franciscan Sites | ||||
프랑스어 | Assise, la Basilique de San Francesco et autres sites franciscains | ||||
소재지 |
아시시 |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
등재연도 | 2000년 | ||||
등재기준 | (i)[1], (ii)[2], (iii)[3], (iv)[4], (vi)[5] | ||||
지정번호 | 990 | }}}}}}}}} |
1. 개요
이탈리아 아시시에 위치한 성당.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당과 프란치스코회 유적의 일부다.2. 역사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대성당은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가 생전에 자주 머물렀던 포르치운콜라 경당[6]에 찾아오는 순례자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으로써 더 이상 이들을 수용할 수 없게 되자, 이 사실을 알게 되어 거대한 성당 건설의 필요성을 느낀 교황 비오 5세의 지시로 지어지게 되었다. 당시 경당 주변에 세워져 있던 건물들이 철거되었고, 경당을 감싸는 구조로 1569년에 건립되기 시작해 1679년에 완공되었다. 설계는 당시 유명한 건축가들이었던 갈레아초 알레시(Galeazzo Alessi)와 자코모 바로치 다 비뇰라(Giacomo Barozzi da Vignola)가 주도했으며, 축성은 교황 인노첸시오 11세가 진행했다.1832년 3월 15일 당시 이탈리아에 발생한 거대 지진으로 인해 대성당의 중심부가 붕괴되는 사태가 일어났다.[7] 이에 1836년 신고전주의 양식 설계로 저명했던 건축가 루이지 폴레티(Luigi Poletti)가 재건 계획을 담당했고, 1840년에 공사를 마쳤다. 건축물은 건축가의 성향에 따라 신고전주의의 형태로 다시 지어졌다. 시간이 흘러 1924년 공공 건축물 설계로 이름을 알렸던 건축가 체사레 바차니(Cesare Bazzani)가 대성당을 본래 양식인 매너리즘 및 바로크로 되돌리는 복원 공사를 주도했으며, 1930년에 완공되었다.
3. 포르치운콜라
<nopad> |
▲ 포르치운콜라 경당 |
포르치운콜라라는 명칭은 '작은 몫'이라는 뜻인데, 당시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소유했던 땅의 일부를 차지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수도원이 해당 토지의 소유권을 포기하자 아무도 찾지 않게 된 포르치운콜라는 숲속에 버려졌다. 그러나 산 다미아노 수도원에서 기도하던 중에 십자고상에 있는 예수의 계시를 듣게 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가 직접 해당 건축물을 복원했고, 시간이 흘러 자신이 창설한 가톨릭 수도회인 작은형제회의 본당으로 삼았다.
4. 관련 문서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3]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4]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5]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6] Porziuncola. 작은 몫이라는 뜻을 지닌 이탈리아어식 명칭. 라틴어 및 영어식 명칭인 ‘포르치운쿨라’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7] 돔은 기적적으로 무너지지 않았지만, 금이 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