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100a, #3b160e 10%, #542014 50%, #542014 60%, #3b160e 90%, #2a100a);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542014,#542014><colcolor=#ffffff,#ffffff> 설립자 | <colbgcolor=#fff,#1f2023><colcolor=#181818,#e5e5e5>아시시의 프란치스코 | |
정보 | 특징 · 한국의 프란치스코회 | ||
구성 | <colbgcolor=#542014,#542014><colcolor=#ffffff,#ffffff> 1회 | 작은형제회 ·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 · 카푸친 작은형제회 | |
2회 | 성 클라라 수도회 | ||
3회 | 재속프란치스코회 · 성 프란치스코의 율수 3회 | ||
성당 | 국제성당 · 산타 키아라 대성당 ·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대성당 · 성묘교회 ·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 카푸친 교회 | ||
교육 기관 | 교황청립 성 안토니오 대학교 · 교황청립 성 보나벤투라 신학부 | ||
기타 | 성지보호 관구 · 십자군 전쟁 | ||
카푸친 교회 안장자 · 프란치스코회 수도자 · 재속프란치스코회 소속 |
Pontificia Università Antonianum 교황청립 성 안토니오 대학교 {{{#a7a7a7 'Pontificia Universitas Antonianum'}}} | |||
| |||
학교 정보 | |||
<colbgcolor=#832732,#832732><colcolor=#fff> 이명 | 안토니아눔 (Antonianum) | ||
종교 | |||
국가 |
| ||
소재지 | 로마 바티칸령 권외 소유지 (본교) | ||
예루살렘 (분교) | |||
소속 | 교황청 작은형제회 | ||
분류 | 교황청립대학 | ||
약력 | 1890년 11월 20일 개교 ([age(1890-11-20)]주년) | ||
1933년 5월 17일 아테나이움 승격[1] | |||
2005년 1월 11일 교황청립 대학 승격[2] | |||
설립자 | 베르나르도 달 바고 다 포르토그루아로 O.F.M. (Bernardino Dal Vago da Portogruaro) | ||
총장[3] | 마시모 푸사렐리 O.F.M. (Massimo Fusarelli) | ||
최고학장[4] | 아구스틴 에르난데스 비달레스 O.F.M. (Agustín Hernández Vidales) | ||
링크 | |||
교표 | |||
<nopad> | |||
지도 | |||
<nopad> |
1. 개요
이탈리아 로마의 바티칸 시국령 권외 소유지에 위치한 교황청립 대학이자 프란치스코회 대학이다. 교명은 작은형제회 소속의 포르투갈 수도자였던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안토니아눔(Antonianum)'이라는 공식 약칭으로 익히 알려져 있다.
2. 상세
1883년 당시 작은형제회의 총봉사자[5]였던 베르나르도 달 바고 다 포르토그루아로(Bernardino Dal Vago da Portogruaro)가 프란치스코회의 이념을 기반으로 한 고등교육기관의 설립을 계획했다. 이듬해 1884년 해당 교육 시설의 착공이 이루어졌으며, 시간이 흘러 1890년 11월 20일 로마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학교(Collegium S. Antonii Patavini in Urbe)라는 교명으로 개교했다. 이후 1930년 5월 17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교황청 산하의 정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인정을 받음으로써 아테나이움[6]으로 승격되었고, 2005년 1월 11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교황청립 대학으로 공인되었다.3. 관련 문서
[1] 교황 비오 11세 공인.[2]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공인.[3] 교황청립 대학의 총장(Cancelliere/Chancellor)은 명목상 대학의 수장이지만, 바티칸 성직자 및 고위 공직자 등에게 주어지는 명예직으로, 대학 행정실무의 최고 지도자는 학장(Rettore/Rector)이 수행한다. 본교의 경우 총장직은 작은형제회의 총봉사자가 겸한다.[4] 교황청립 대학의 학장(Rettore/Rector)은 해외 대학의 부총장에 해당하며, 한국 대학의 총장에 준한다. 본교의 경우 해당 직책을 최고학장(Rettore Magnifico)이라고 칭하고, 이는 작은형제회 소속 수도자만이 맡는다.[5] 프란치스코회 계열 수도회를 관할하는 총책임자의 명칭이다.[6] Athenaeum. 본래는 중세 시대 유럽의 고등교육기관 형태 중 하나지만, 현재 가톨릭 내에서는 교황청으로부터 공인된 고등교육기관 중 하나이지만 교황청립 대학(Pontificia Universitas)보다는 한 단계 아래인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