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10:55:24

블라디슬라브스 구트코브스키스


1 이창근
C
파일:부상 아이콘.svg · 2 박규현 파일:부상 아이콘.svg · 3 하창래 · 5 임종은 · 6 강윤성 · 7 마사 · 8 밥신 파일:부상 아이콘.svg · 9 구텍
10 주민규 · 12 김승대 파일:부상 아이콘.svg · 14 김준범
VC
· 16 이명재 · 17 최건주 · 19 서진수 · 20 정진우
22 오재석 · 25 이준서 · 26 김민덕 · 27 정재희 · 29 유강현 · 30 김봉수 · 31 김민수
33 김문환 · 35 조현우 · 39 임은수 · 40 이경태 · 44 이순민
VC
· 66 김한서 · 70 김현욱 · 72 김진야
73 이준규 · 76 에르난데스 · 77 주앙 빅토르 · 88 여승원 · 89 정산 · 90 김현오 · 98 안톤
VC
파일:UEFA KOR.png 황선홍 {{{#fff {{{#!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25시즌 9. 구텍.png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대전 하나 시티즌 No. 9
블라디슬라브스 구트코브스키스
Vladislavs Gutkovskis
[1][2]
K리그 등록명 구텍
출생 1995년 4월 2일 ([age(1995-04-02)]세)
리가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라트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라트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7cm / 체중 87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선수 JFK 올림프스 (2011~2013)
스콘토 리가 (2013~2015)
브루크베트 테르말리차 니에치에차 (2016~2020)
라쿠프 쳉스토호바 (2020~2023)
대전 하나 시티즌 (2023~ )
국가대표 50경기 11골 (라트비아 / 2016~ ) [3]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서명
파일:블라디슬라브스 구트코브스키스 서명.svg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라트비아 국적의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2. 클럽 경력

2.1. 라트비아 비르스리가

자국 리그 JFK 올림프스에서 데뷔했고 데뷔 시즌임에도 불구하고 13경기에나 출전하며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다음 해인 2012년 당시 라트비아 최강이었던 스콘토 리가가 그를 재빠르게 영입했고, 2012년 2군 팀에서 23경기 10골을 넣으며 하부리그에서는 일단 통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2013 시즌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스콘토 1군에 합류한 그는 7경기 1골을 기록했고, 2014 시즌 그야말로 대폭발하며 스콘토의 핵심 선수가 되었다.

리그 34경기 28골로 일약 리그 득점왕에 올랐고, 다음 시즌인 2015 시즌에도 22경기 10골을 기록, 라트비아 비르스리가에서 통산 76경기 39골을 기록하며 자신의 가치를 입증했다.

2.2. 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

이후 여름이적시장에서 상위 리그인 폴란드 리그의 브루크베트 테르말리차 니에치에차로 이적했으며, 갓 엑스트라클라사로 승격한 약체팀이었지만 2016-17 시즌 리그 8골을 기록하는 등 분전했다.

하지만 팀은 2017-18 시즌 팀은 강등되었고, 그 또한 20경기 3골로 많이 부진했다.

그 탓에 그는 팀이 강등되었어도 다른 1부리그 팀들의 오퍼를 받지 못한채 강등된 팀에 잔류, 2018-19 시즌 2부리그에서 9골을 기록했으며, 이듬해인 2019-20 시즌 25경기 12골을 기록하며 다시금 감을 잡아갔다.

파일:Ins1968727197_2e4c63f54bde4f3d948f454798845a82_283532678_1094297337817218_9180155144747491359_n.jpg

이후 갓 승격하여 자리를 잡고있던 라쿠프 쳉스토호바에 입단하며 다시 폴란드 1부리그 무대로 복귀했다.

쳉스트호바에서 그는 폴란드 리그에 완벽 적응하며 다시금 결정력을 뽐냈는데, 승격 시즌 10위에 불과했던 팀이 일약 리그 준우승까지 일궈냈고, 구텍 또한 리그 7골에 컵대회 5골로 시즌 10골을 돌파하며 한 몫 했다.

또한 컵 대회에선 크라코비아와의 준결승 극장골 등 5골을 넣고 대회 득점왕에도 올라 팀의 사상 첫 컵 대회 우승을 일궜다.

활약에 물꼬가 튼 구텍은 2021-22 시즌에도 리그 9골, 컵대회 3골, 컨퍼런스리그 1골 등 시즌 10골을 다시 넘겼고, 2022-23 시즌에는 32경기 8골을 리그에서 기록하며 자신의 폴란드 진출 이후 리그 최다출장을 기록한 것은 물론 쳉스트호바의 리그 첫 우승도 이끌어내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이로써 엑스트라클라사에서는 통산 148경기 35골의 기록을 남겼다.

2.3. 대전 하나 시티즌

2023년 7월 11일 K리그1대전 하나 시티즌으로 이적이 공식발표되었다.# 이적료는 80만 유로 [4]

2023 시즌 전반기 동안 32득점을 기록한 울산 현대, FC 서울에 이어 K리그1 팀 득점 3위를 기록하고 있는 대전은 구트코프스키스의 합류로 기존의 티아고, 레안드로 등 외국인 선수들과 더불어 한 층 더 파괴력있는 공격진을 구축하게 되었다.

본래 대전 이외에도 강원 FC도 구텍을 원했다고 알려졌으나 구텍은 강등권에 있는 강원 대신 대전을 선택했다는 후일담이 있다.#

등번호는 99번을 배정받았다.

2.3.1. 2023 시즌

23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FC 원정에서 첫 선발 데뷔전을 가졌으며, 연이은 대구 FC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8월 17일 구텍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십자인대 파열 사실을 공개하며 사실상 시즌 아웃되었음을 알렸고, 8월 29일 구텍이 잠시 대전 구단을 떠나게 되었다고 공지하면서 2023시즌은 리그 3경기 출장으로 마무리했다.#

2.3.2. 2024 시즌

2023 시즌이 끝나고 팀의 동료였던 브라질 공격수 티아고전북으로 이적하면서 2024 시즌 새로운 골잡이로서의 역할이 막중해졌다.

등번호는 99번에서 9번으로 변경하였다.

파일:1000020988.jpg

1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경기에서 전반 11분 좌측 풀백 박진성의 크로스와 하프스페이스로 침투중이던 김준범의 헤더를 거쳐 정태욱, 홍정호 앞에 서있던 구텍이 볼을 감각적으로 받은 후 간결한 발리슛을 쏴 오랜 공백 끝에 복귀하자마자 구단의 시즌 첫 골, 본인의 K리그1 데뷔골을 성공시켰고, 경기 MOM 및 1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아쉽게도 팀은 후반 동점골을 허용하며 1:1로 비겼다.

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상대 수비수와 헤딩경합 도중 땅에 착지를 잘못하여 발목 부상을 입었는데 이게 장기부상으로 연결되며 시즌 중반부까지 경기에 소화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팀에 음라파라는 걸출할 스트라이커가 있지만 오랫동안 경기를 뛰지 못하였기에 경기 감각이 돌아올려면 꽤나 긴시간이 필요하고 김승대공민현 등 공격수들도 골문앞에서 결정을 지어줄 수 있는 정통 9번 스트라이커가 아니기에 구텍의 부상에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복귀 시점은 7월중으로 예상되는데 당시 대전의 사정과 위치가 좋지못한 관계로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유리몸 기질을 보이며 많은 팬들에게 실망감을 안기게 되었고, 거기다가 5월에는 구텍을 영입하였던 이민성 감독이 자진사임하며 여름 이적시장에서 구텍의 운명은 불확실해졌다.

하지만 황선홍 감독 부임 이후 라트비아에서 한국으로 입국하여 선수단과 동행 하며 몸을 만들어 8월 중 복귀를 목표로 준비 중이라고 알려졌다.

27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교체투입 되며 거의 반년만에 복귀전을 치렀고, 후반전 90+5분에 김민우의 프리킥을 상대 골키퍼가 쳐내려다 수비수와 충돌했고 이때 튀어나온 공을 침착하게 골대안으로 밀어넣으며 극장 역전골을 만들어내며 팀의 2:1 역전승에 기여했고 대전은 인천을 4157일 만에 이겼다. 또한 K리그 개막전과 부상 복귀전에서 모두 득점하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덤으로 대전은 10위자리를 재탈환하기도 하였고, 구텍은 27라운드 베스트11에 선정되었다.

네이션스컵으로 인해 라트비아 국가대표팀에서 경기를 소화하고 한국으로 귀국했지만 경미한 부상으로 30라운드 서울전에는 명단제외되었고 31라운드 전북전에는 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31라운드 전북 현대와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박진섭과의 공중볼 헤딩경합 상황에서 팔꿈치로 박진섭의 머리를 가격하며 판정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지만 결국 퇴장당하게 되었다.[5]

설상가상으로 파이널 라운드를 앞두고 대표팀 경기에서 또다시 부상을 당하면서 잔여 시즌 출전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설상가상으로 여름이적시장에서 영입한 천성훈도 부상으로 나오지 못하는 바람에 마사김준범이 투톱으로 포변(...)하여 팀의 공격을 캐리하는 중이다.

37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교체멤버로 선발되었으니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38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후반 59분 교체투입되어 상대 선수와의 공중볼 경합에서 모두 승리하는 압도적인 제공권을 보여주었다.
구텍 2024시즌 K리그 성적
출전시간 경기(선발) 득점 도움 슈팅(유효) 키패스 경고(퇴장)
453 10(4) 2 0 12(4) 2 0(1)

24시즌 10경기 2골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출전한 경기에서는 나름 좋은 활약을 했지만, 올해 역시 부상으로 인해 시즌 대부분을 날려먹었기 때문에 점점 평이 나빠지는 중이다.

2.3.3. 2025 시즌

25시즌도 일단 대전에 잔류하였다.

하지만 시즌을 앞두고는 대전이 주민규라는 거물급 톱 자원 선수를 영입함에 따라 정말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내지 못하면 입지가 위험해질 수 있다.

1라운드 포항 스틸러스 원정 경기에서 후반 90분 주민규와 교체되며 출전하였고, 짧은 시간임에도 적극적인 압박과 찬스메이킹으로 조커로써의 역할을 수행했다.

2라운드 울산 HD FC 홈 경기에서 후반 83분 최건주를 대신하여 교체투입 되어 주민규와 투톱으로 경기를 소화하였지만 이렇다 할 큰 활약은 보이지 못한채 팀은 2:0으로 패배하였다. 그래도 공중 볼은 거의 다 따내는 모습을 보여주어 투입 효과는 있었다고 호평을 받기도 했다.

3라운드 수원 FC 홈 경기에서는 부인의 첫째 출산으로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6]

4라운드 대구 FC 원정 경기에서는 박규현의 이른 퇴장으로 팀전술이 수비적으로 변하였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팀은 2:1로 승리했다.

울산의 클럽 월드컵 일정으로 인하여 치뤄진 울산 HD FC와의 18라운드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공격 포인트는 기록하지 못했지만 전방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주며 팀의 3대2 승리를 이끌었다.

5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12분 신상은과 교체되어 투입되었다. 전방에서 활발하게 부딪히며 대부분의 공중볼 경합상황에서 우위를 점했지만 번번히 상대편에게 공이 연결되어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8라운드 FC 서울 원정 경기에서 전반에만 페널티킥 골을 포함한 멀티골을 성공시켰다. 43분 김진수의 핸드볼로 얻은 PK를 좌측 하단으로 정확히 차넣으며 성공시켰고, 45분 김현욱의 크로스가 야잔 맞고 흐른 것을 깔끔한 왼발 마무리로 추가골을 성공시켰다. 아쉽게도 후반 62분 주민규와 교체되며 해트트릭은 무산되었고, 팀은 두 골을 실점하며 2:2로 비겼다. 8라운드 베스트11에 선정됐다.

코리아컵 3라운드 강릉시민축구단과의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였다. 전반 14분 김기수의 자책골을 유도하였다. 강릉 수비수의 압박을 유도해서 빈공간으로 패스를 찔러주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20라운드 광주 FC 원정 경기에서 오랜만에 선발 출전하여 후반 68분과 78분 멀티골을 뽑아내는 기염을 토해내었고 경기 MOM 및 20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이날 활약으로 리그 후반기 부진하고 있는 주민규와의 주전 경쟁이 예고되었다.

21라운드 제주 SK FC 홈 경기에서 선발 출장했으나, 전반 27분이라는 이른 시간에 송주훈의 얼굴을 팔꿈치로 가격하여 다이렉트 퇴장을 당했다.

이후 24라운드 FC 서울전 후반에 교체 출전한 것을 마지막으로는 전역 복귀한 유강현에게 밀렸는지 명단 제외되고 있다.

30라운드 대구 FC전 후반 주민규를 대신해 교체로 출전했으나, 경기감각이 떨어진 탓인지 공격 찬스에서 미스가 많이 나왔다. 팀은 3:2승리

3. 국가대표 경력

2016년 10월 7일에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데뷔한 이래 현재까지도 계속 국대 주전으로 활약중이며 43경기에 출전해 11골을 기록했다. 특히 22/23시즌에는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 5골로 D조 최다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7]

이런 활약상 덕분에 라트비아 올해의 선수상을 2021년과 2022년 연이어 수상했다. 현 자국 축구의 최고 스타라고 해도 과언은 아닌 것. 하지만 상술한 장기 부상을 당하게 되면서 유로 2024 예선 라트비아 대표팀 전력에서도 이탈했다.

2024년 10월 네이션스리그를 앞두고 모처럼 다시 대표팀에 승선했으나 북마케도니아전에서 부상을 당하며 교체 아웃되며 라트비아 대표팀 전력에서 또다시 이탈하게 되었다.

2025년 9월 6일 세르비아를 상대로 한 네이션스리그에서는 무려 주장 완장을 달고 선발 출전하게 되었다.

2025년 9월 10일 알바니아전에서 61분 교체 출전해 두 차례의 슈팅을 기록했다.

4. 플레이 스타일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간판 스트라이커답게 187㎝ 87㎏의 건장한 신체 조건을 바탕으로 상대 수비수와의 경합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뛰어난 공중볼 경합과 헤더 능력으로 버텨주고 골까지 연결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대전에서의 커리어에서 알 수 있듯, 장기 부상이 잦은 유리몸이다. 실제로 2023시즌 중반부터 2024년까지 1년 반동안 대전에서 소화한 경기보다 부상으로 뛰지 못한 경기가 훨씬 많다.

아무리 경기를 잘해도 결국은 선수가 경기에 뛸 몸상태가 나빠서 경기에 뛰지 못한다면, 그건 아무 의미도 없는 일이기 때문에 이는 구텍의 심각한 결함이라 봐도 무방하다.

5. 여담

파일:Ins1968727197_8dbbbefb5f5946abb7deb43e866d5e48_359744854_1075244893358767_8049655058310454558_n.jpg

파일:파트라셰크 구트코브스키스.png
파일:6d4c94a455054e8fa87d9f741c81dcc0.jpg
  • 2024년 11월 10일 인천 유나이티드전에서 승리해 1부 리그 잔류를 확정 짓고 잔류를 자축하는 의미에서 황선홍 감독에게 물을 뿌렸다.
  • 폴란드 리그 시절부터 K리그에서까지 등록명 구텍으로 활동하고 있다. 라트비아식 이름은 같은 유럽에서조차 긴 걸로 유명하기 때문에 폴란드 리그 시절엔 성씨의 앞부분을 축약, 폴란드 식으로 고친 GUTKA라는 등록명을 사용했는데,[8] 국내 보도처럼 엑스트라클라사 때와 K리그 등록명이 똑같다기엔 발음 자체는 상이한 편.[9]
  • K리그에 23년 만에 등장한 두 번째 라트비아 국적의 선수다. 1999년 입단해 2000년까지 안양 LG에 소속되어 있던 에릭스 펠시스가 K리그 최초의 라트비아 선수였다.

6. 둘러보기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 20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전 하나 시티즌 2025 시즌 스쿼드
파일:25시즌 1. 이창근.png
파일:25시즌 2. 박규현.png
파일:25시즌 3. 하창래.png
파일:25시즌 5. 임종은.png
파일:25시즌 6. 강윤성.png
1 (C) 2 3 5 6
이창근
Lee Chang-g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3.08.30
186cm | 80kg
박규현
Park Kyu-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1.04.14
183cm | 78kg
하창래
Ha Chang-r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4.02.16
188cm | 82kg
임종은
Lim Jong-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0.06.18
192cm | 88kg
강윤성
Kang Yoon-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7.07.01
172cm | 65kg
파일:25시즌 7. 마사.png
파일:25시즌 8. 밥신.png
파일:25시즌 9. 구텍.png
파일:25시즌 10. 주민규.png
파일:25시즌 12. 김승대.png
7 8 9 10 12
마사
Ishida Masatoshi

파일:일본 국기.svg | FW
1995.05.06
180cm | 68kg
밥신
Victor Bobsin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0.01.12
184cm | 74kg
구텍
Vladislavs Gutkovskis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FW
1995.04.02
187cm | 87kg
주민규
Joo Min-k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0.04.13
183cm | 88kg
김승대
Kim Seung-d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1.04.01
175cm | 64kg
파일:25시즌 14. 김준범.png
파일:25시즌 16. 이명재.jpg
파일:25시즌 17. 최건주.png
파일:25시즌 19. 서진수.jpg
파일:25시즌 20. 정진우.png
14 (VC) 16 17 19 20
김준범
Kim Jun-be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8.01.14
176cm | 74kg
이명재
Lee Myung-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11.04
181cm | 75kg
최건주
Choi Geon-j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9.06.26
176cm | 65kg
서진수
Seo Jin-s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0.10.18
184cm | 73kg
정진우
Jung Ji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4.09.24
190cm | 80kg
파일:25시즌 22. 오재석.png
파일:25시즌 25. 이준서.png
파일:25시즌 26. 김민덕.jpg
파일:25시즌 27. 정재희.png
파일:25시즌 29. 유강현.jpg
22 25 26 27 29
오재석
Oh Jae-s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0.01.04
178cm | 76kg
이준서
Lee Jun-se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8.03.07
186cm | 83kg
김민덕
Kim Min-d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6.07.08
183cm | 78kg
정재희
Jung Jae-h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4.04.28
174cm | 70kg
유강현
Yu Ka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6.04.27
186cm | 78kg
파일:김봉수 대전 2025시즌.png
파일:김민수 25.jpg
파일:25시즌 33. 김문환.png
파일:조현우 25.jpg
파일:이경태 25.jpg
30 31 33 35 40
김봉수
Kim Bong-s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9.12.26
181cm | 74kg
김민수
Kim Min-s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5.06.08
190cm | 86kg
김문환
Kim Moon-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5.08.01
173cm | 64kg
조현우
Cho Hyeo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5.01.01
188cm | 78kg
이경태
Lee Kyung-t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5.03.02
191cm | 81kg
파일:25시즌 44. 이순민.png
파일:25시즌 66. 김한서.png
파일:25시즌 70. 김현욱.png
파일:IDWGrW.jpg
파일:25시즌 73. 이준규.png
44 (VC) 66 70 72 73
이순민
Lee Soon-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5.22
178cm | 73kg
김한서
Kim Han-se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3.02.14
174cm | 67kg
김현욱
Kim Hyeon-u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5.06.22
160cm | 61kg
김진야
Kim Jin-y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8.06.30
177cm | 63kg
이준규
Lee Jun-g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3.08.04
171cm | 63kg
파일:25시즌 76. 에르난데스.png
파일:2025 주앙 빅토르.77.jpg
파일:여승원 대전 25시즌.png
파일:25시즌 89. 정산.png
파일:김현오 25.jpg
76 77 88 89 90
에르난데스
Hernandes Rodrigues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9.09.02
183cm | 75kg
주앙 빅토르
João Victor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9.02.25
176cm | 75kg
여승원
Yeo Seung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0.05.05
179cm | 72kg
정산
Jung S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89.02.10
191cm | 86kg
김현오
Kim Hyeon-o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7.09.12
183cm | 76kg
파일:25시즌 98. 안톤.pn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98 (VC) - - - -
안톤
Anton Krivotsyuk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 DF
1998.08.20
186cm | 76kg
- - - -
<colbgcolor=#008675> 구단 정보
구단주: 함영주 / 이사장: 정태희 / 단장: 김원택 / 감독: 황선홍
홈구장: 대전월드컵경기장
출처: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7월 25일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91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출장 득점 소속 클럽 비고
GK 23 리하르츠 마트레빅스 Rihards Matrevics 1999년 3월 18일 13 0 파일:체코 국기.svg FK 두클라
프라하
- 프렝크스 다비츠 오롤스 Frenks Dāvids
Orols
2000년 6월 28일 0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1 크리자니스 즈비드리스 Krišjāanis Zviedris 1997년 1월 25일 3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DF 2 다니엘스 발로디스 Daniels Balodis 1998년 6월 10일 19 1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1. FC 타트란
프레쇼우
5 안토니스 체르노모디스 Antonijs Černomordijs 1996년 9월 26일 41 2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14 안드레이스 치그닉스 Andrejs Cigaņiks 1997년 4월 12일 63 4 파일:스위스 국기.svg FC 루체른
3 비탈리 야고딘스키 Vitālijs Jagodinskis 1992년 2월 28일 37 0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비사카 FC
13 라이비스 유르코프스키스 Raivis Andris Jurkovskis 1996년 12월 9일 52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20 데니스 멜닉스 Deniss Meļņiks 2002년 9월 7일 6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아우다
11 로베르트 사발니엑스 Roberts Savaļnieks 1993년 4월 2일 67 2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RFS
21 막심스 토니셰브스 Maksims Tonisevs 2000년 5월 12일 5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 로베르츠 베입스 Roberts Veips 2000년 2월 22일 0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RFS
MF 7 에두아르츠 다슈케비치 Eduards Dašķevičs 2002년 7월 12일 19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 크리스탑스 그라보우스키스 Kristaps Grabovskis 2005년 6월 14일 0 0 파일:덴마크 국기.svg 볼클루벤
AF 1893
16 알비스 야운젬스 Alvis Jaunzems 1999년 6월 16일 45 0 파일:폴란드 국기.svg 레히아
그단스크
- 크리스테르스 펭케비츠 Kristers Penkevics 2003년 1월 28일 1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옐가바
22 알렉세이스 사벨리에브스 Aleksejs Saveļjevs 1999년 1월 30일 29 1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리예파야
15 루카스 바프네 Lūkass Vapne 2003년 8월 31일 10 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송달 포트발
- 레나르스 바르슬라반스 Renārs Varslavāns 2001년 8월 23일 16 1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15 드미트리스 젤렌코브스 Dmitrijs Zelenkovs 2000년 5월 15일 16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RFS
FW 9 블라디슬라브스 구트코브스키스 Vladislavs Gutkovskis 1995년 4월 2일 53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전
하나 시티즌
10 야니스 이카우니엑스 Jānis Ikaunieks 1995년 2월 16일 67 12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RFS
- 브루노 멜니스 Bruno Melnis 2004년 1월 21일 1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FK 리예파야
- 마르코 레그자 Marko Regža 1999년 1월 20일 12 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 FC
18 다리오 시츠 Dario Šits 2004년 2월 4일 5 2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6일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친선 2025년 9월 9일 원정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출처 : 라트비아 축구협회 | 마지막 수정일자 : 2025년 9월 1일
}}}}}}}}}}}}}}} ||

[1] 러시아식 이름은 블라디슬라프 구트콥스키(Владисла́в Гутко́вский). 라트비아어에서 모든 남성의 이름 뒤에는 일부 예외 사례를 제외하면 반드시 남성형 어미 's'를 붙인다.[2] 라트비아어에서는 v+자음 일때 v에서 '우'소리가 나기에 실제 발음은 '블라디슬라우스 구트코우스키스'에 가깝다.[3] 2025년 3월 25일 기준[4] https://www.transfermarkt.co.kr/rakow/transfers/verein/9644/saison_id/2023[5] 팀은 0:0 무승부를 기록하였다.[6] 황선홍 감독은 선수 시절인 1994년 첫 아이 출산 때 같이 있지 못했고 한참 있다가 아이 얼굴을 봤다고 하며, 둘째 때도 바로 병원에 못 갔었다고 한다. 그러한 과거의 경험이 안타깝다는 것을 본인 스스로 느끼고 공감했는지 선수의 가족 일을 배려해주었다고 밝혔다.#[7] 라트비아 국대가 기록한 12골 중 5골을 기록하며 라트비아의 차기 시즌 리그 C 승격을 이끌었다.[8] 비슷한 예시로 울산 현대의 조지아 출신 선수 발레리 카자이슈빌리(등록명 바코)가 있다.[9] 폴란드어 특유의 이중 합자만 고려하자면 구트카, 구카. '알파벳 ą' 혼용을 고려하더라도 구통, 굿텐 정도에 가까운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