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국의 대상경주}}}에 대한 내용은 [[브리더스컵 루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리더스컵 루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리더스컵 루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국의 대상경주: }}}[[브리더스컵 루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리더스컵 루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리더스컵 루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Breeders' Cup World Championship 브리더스컵 월드 챔피언십 <nopad> 2025년 브리더스컵 클래식 우승마 포에버 영 <colbgcolor=#6A0888><colcolor=#fff> 개최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창설일 1984년 11월 3일 주최 전미 서러브레드 경마협회 (NTRA) 경마장 매년 다른 경마장 개최 거리 클래식: 더트 10f (약 2011m) 좌회전[ 기타 대회 더 보기 ] 터프: 잔디 12f (약 2414m) 디스태프: 더트 9f (약 1811m) 마일: 잔디 8f (약 1609m) 스프린트: 더트 6f(약 1207m) 필리 & 메어 터프: 잔디 9.5f (약 1911m)~11f (약 2213m) 더트 마일: 더트 8f (약 1609m) 터프 스프린트: 잔디 5f (약 1006m)~5.5f (약 1106m) 필리 & 메어 스프린트: 더트 7f (약 1408m) 주버나일 터프: 잔디 8f (약 1609m) 주버나일: 더트 8.5f (약 1710m)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잔디 8f (약 1609m) 주버나일 필리스: 더트 8.5f (약 1710m)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잔디 5f (약 1006m)~5.5f (약 1106m) 등급 14경기 전부 GI 출주 조건 클래식: 서러브레드 3세 이상[ 기타 대회 더 보기 ] 터프: 서러브레드 3세 이상 디스태프: 서러브레드 3세 이상 암말 마일: 서러브레드 3세 이상 스프린트: 서러브레드 3세 이상 필리 & 메어 터프: 서러브레드 3세 이상 암말 더트 마일: 서러브레드 3세 이상 터프 스프린트: 서러브레드 3세 이상 필리 & 메어 스프린트: 서러브레드 3세 이상 암말 주버나일 터프: 서러브레드 2세 수말 및 거세마 주버나일: 서러브레드 2세 수말 및 거세마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서러브레드 2세 암말 주버나일 필리스: 서러브레드 2세 암말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서러브레드 2세 부담중량 클래식: 정량 (남반구 3세 118lb (약 53.5kg), 북반구 3세 122lb(약 55.3kg), 4세 이상 126lb(약 57.2kg) , 암말 3lb(약 1.4kg) 감소)[ 기타 대회 더 보기 ] 터프: 정량 (남반구 3세 118lb (약 53.5kg), 북반구 3세 122lb (약 55.3kg), 4세 이상 126lb (약 57.2kg), 암말 3lb (약 1.4kg) 감소) 디스태프: 정량 (남반구 3세 118lb (약 53.5kg), 북반구 3세 121lb (약 54.9kg), 4세 이상 124lb (약 56.2kg)) 마일: 정량 (남반구 3세 120lb (약 54.4kg), 북반구 3세 123lb (약 55.8kg), 4세 이상 126lb (약 57.2kg), 암말 3lb (약 1.4kg) 감소) 스프린트: 정량 (남반구 3세 122lb (약 55.3kg), 북반구 3세 124lb (약 56.2kg), 4세 이상 126lb (약 57.2kg), 암말 3lb (약 1.4kg) 감소) 필리 & 메어 터프: 정량 (남반구 3세 118lb (약 53.5kg), 북반구 3세 120lb (약 54.4kg), 4세 이상 124lb (약 56.2kg)) 더트 마일: 정량 (남반구 3세 120lb (약 54.4kg), 북반구 3세 123lb (약 55.8kg), 4세 이상 126lb (약 57.2kg), 암말 3lb (약 1.4kg) 감소) 터프 스프린트: 정량 (남반구 3세 122lb (약 55.3kg), 북반구 3세 124lb (약 56.2kg), 4세 이상 126lb (약 57.2kg), 암말 3lb (약 1.4kg) 감소) 필리 & 메어 스프린트: 정량 (남반구 3세 120lb (약 54.4kg), 북반구 3세 122lb (약 55.3kg), 4세 이상 124lb (약 56.2kg)) 주버나일 터프: 정량 (122lb (약 55.3kg)) 주버나일: 정량 (122lb (약 55.3kg))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정량 (122lb (약 55.3kg)) 주버나일 필리스: 정량 (122lb (약 55.3kg))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정량 (수말 및 거세마 122lb (약 55kg), 암말 119lb (약 kg)) 상금 클래식: 1착 364만 달러, 총상금 700만 달러[ 기타 대회 더 보기 ] 터프: 1착 260만 달러, 총상금 500만 달러 디스태프: 1착 104만 달러, 총상금 200만 달러 마일: 1착 104만 달러, 총상금 200만 달러 스프린트: 1착 104만 달러, 총상금 200만 달러 필리 & 메어 터프: 1착 104만 달러, 총상금 200만 달러 더트 마일: 1착 52만 달러, 총상금 100만 달러 터프 스프린트: 1착 52만 달러, 총상금 100만 달러 필리 & 메어 스프린트: 1착 52만 달러, 총상금 100만 달러 주버나일 터프: 1착 52만 달러, 총상금 100만 달러 주버나일: 1착 104만 달러, 총상금 200만 달러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1착 52만 달러, 총상금 100만 달러 주버나일 필리스: 1착 104만 달러, 총상금 200만 달러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1착 52만 달러, 총상금 100만 달러 스폰서 클래식: Longines [ 기타 대회 더 보기 ] 터프: 론진 디스태프: 론진 마일: FANDUEL 스프린트: Cygames 필리 & 메어 터프: Maker's Mark 더트 마일: - 터프 스프린트: Prevagen 필리 & 메어 스프린트: PNC Bank 주버나일 터프: - 주버나일: FANDUEL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Deere & Company 주버나일 필리스: NetJets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 출처 : How it works about Breeders Cup
1 . 개요2 . 역사3 . 주요 특징4 . 구성5 . 슈메이커상6 . 역대 개최 경마장7 . 일본 조교마의 도전사7.1 . 브리더스컵에 출주한 일본 경주마 목록8 . 한국과 브리더스컵9 . 역대 우승마10 . 기타
THE BEST IS YET TO COME 최고는 아직 오지 않았다
브리더스컵이 진행 중인 캠페인이자 모토1984년부터 전미 서러브레드 경마협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경마 대회. 미국 뿐만 아니라 경마의 더트 대회들중 최고의 대회로 손꼽히며 더트 말고도 잔디(터프)와 여러 G1 대회들도 열리는 경마의 대제전이다. 일명 경마 올림픽. 주로 11월 첫째주 금요일, 토요일에 열린다. 줄여서 BC라고 부른다. 원년부터 NBC 가 중계를 맡는다. 1970년대 후반부터 북미의 경마 인기가 하락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미국 경마 서클 내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켄터키주 게인스웨이 팜의 존 게인스가 하루에 많은 G1 경주를 벌이는 경마의 제전이라는 취지로 1984년 창설하였다. 명칭은 창설 당시 우승 상금이 브리더(생산자)의 자본으로부터 유래해서 명칭이 부여됐다. 예전부터 미국에서는 지역별 (동부, 동해안, 서해안)의 유력마가 각 거점으로 하고 있는 지역의 G1 경주에 출주 하고 있었으나 매년마다 경마장의 위치를 달리하는 브리더스컵 창설로 미국 전역에서 유력마를 모으는 레이스를 펼치는데 성공하였고 60~70년대 전성기 시절 유력마가 모였었던 워싱턴 DC 인터내셔널(Washington DC International Stakes)은 브리더스컵으로 인해 밀려진 바람에 1995년 폐지, 이후 겨우 부활해 현재는 경기장과 거리도 변경되어 G3급으로 근근히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그 역할은 사실상 브리더스컵 터프로 대체되었다. 1996년에는 캐나다의 우드바인 경마장에서 미국이 아닌 나라에서 첫 개최되었다. 2002년부터 NTRA의 대표 팀 스미스의 제안에 따라 '세계 최고 수준의 경마 개최'라는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명칭이 '브리더스컵 월드 챔피언쉽(Breeders' Cup World Championship)'으로 변경되었다. 두바이 월드컵 미팅 창설 이후 멀어졌던 '세계 최고 상금 대회'라는 지위도 2007년부터 다시 이어받았다 창설 초창기에는 고마 중거리 노선의 '클래식', 3세 이상 암말의 '디스태프', 2세 주니어 숫말의 '주버나일' 암말의 '주버나일 필리스'와 단거리의 '스프린트', 12f(2412m)의 잔디에서 열리는 '터프', 8f(약 1609m)에서 열리는 '마일'의 7개의 경주로 시작하여 1986년 3회부터는 장애물 경주의 '스티플 체이스', 1999년 16회부터 암말들이 잔디에서 펼쳐지는 '필리&메어 터프'가 신설되었고 9개의 레이스로 이때까진 당일 개최로 행해지고 있었다. 2007년 1월에 브리더스컵 확대 구상이 발표되어 2010년까지 경주 수를 16개까지 증가하기로 결정되었고 2007년 더트 마일전인 '더트 마일', 암말 한정 단거리전 '필리&메어 스프린트' 잔디 2세 한정전 '주버나일 터프' 3개가 추가되어 기존 개최일자를 1일에서 2일차로 연장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2008년부터는 잔디 단거리전인 '터프 스프린트', 잔디 2세 암말 한정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더트 12f(약 2414m)인 '마라톤'(2009년부터 14f(약 2816m))의 3경주가 추가되었고 장애물인 스티플 체이스가 제외되면서 총 14경주, 첫 날 5경주, 둘쨋 날 9경주로 구성되었다. 또 2008년에 첫날에는 암말 한정전의 레이디스 데이가 되었고 '디스태프' 레이스가 '브리더스컵 레이디스 클래식'으로 변경되었다가 2013년 원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2009년에는 젠야타 가 암말 최초 우승을 차지했다. 젠야타는 당초 경마팬 사이에서 우승후보로 여겨지지 못했다. 경험이 없었기 때문. 13전 13승의 연전연승을 거두었음에도 그랬다. 암말 경주만 나와 클래식 경주 경험이 없었으며, 뛴 경기 중 더트 경기는 절반에 불과했다. 또한 2000m는 한번도 도전해보지 못한 거리여서 거리적성 문제까지 의심 받았다. 이 사실이 세간에 알려지자, 일반인 여성들의 응원이 이어진다. 열렬한 응원을 받으며 브리더즈컵 클래식 우승을 거둔다. 심지어 젠야타는 선행마가 아닌 무려 추입 각질을 지닌 경주마로써 브리더스컵 클래식을 제패할때 가장 맨 뒤에 있다가 제4코너 지나서 엄청난 파워로 마군 사이에 들어가 빠져나가는 엄청난 말각을 보여주었다. 2014년에는 장거리인 '마라톤'이 제외되어 총 13경주가 되었으며 2018년부터 2세 한정 잔다 단거리전인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가 추가되어 총 14경주가 되었으며 이때부터 첫날은 2세 쥬니어 말들의 5경주를 시행하는 퓨처스 프라이데이, 2일째는 챔피언십 새터데이라는 이름이 붙어지게 된다. 2024년부터 사이게임즈 가 '브리더스컵 스프린트'의 스폰서가 되어 경주명 앞에 '사이게임즈'가 붙는다.3. 주요 특징 북미 경주마들의 올스타들만 모인 곳이고 각 디비전들의 최종전들만 모인 곳이기 때문에 상당히 명성이 높다. 그리고 이틀에 걸쳐서 G1이 무려 14개나 모여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관심이 많이 모아지고 있다. 첫날에는 제6경주에서 제10경주까지 치러지고 둘쨋날이 핵심으로 제4경주부터 제12경주까지 무려 9경기 연속으로 G1 경기만 계속 치러진다. 다른 경마 메이저 대회와 달리 브리더스컵은 매년 다른 경마장에서 개최한다. 보수나 공사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이상 다른 곳에서 개최하는 건 사실상 유일하다고 보면 된다. 2~3년 연속으로 같은 경마장에 개최하는 경우도 있지만 미국/캐나다 및 다른 대륙 전역에서도 모여들기 때문에 미국 어디에서 개최할지 알수 없다. 2021년은 캘리포니아 델마(Del Mar)에서 개최하고 2022년은 켄터키 킨랜드(Keeneland)에서 열렸으며, 2023년에는 산타 아니타 파크(Santa Anita Park)에서 개최되었다. 2024년과 2025년은 다시 델마 경마장에서 개최할 예정으로 발표되었다.
또한 이 대회의 예선 격이라고 할 수 있는 '브리더스컵 챌린지'라는 대회가 있다. 브리더스컵에 나가려면 기본적으로 단순히 출전 등록을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경우 추첨등의 문제로 예비 출전자 신세가 되거나 탈락할 수 있기 때문에 브리더스컵 챌린지가 붙은 대회에서 우승을 해야 확실한 브리더스컵 출주권을 얻을수 있다. 다만 챌린지 대회가 아님에도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이면 주최 측에서 추천을 받아서 출주권을 얻을수 있다. 1년당 최대 14마리의 경주마가 추천으로 출주권을 얻을 수 있으며 닉스고가 2020년 킨랜드의 조건전에서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이며 레코드 승리를 한 덕분에 1달 뒤에 열리는 브리더스컵 더트 마일의 출주권을 얻은 좋은 예시. 브리더스컵 클래식은 세계 경마 대회들 중에서도 손가락 안에 드는 명성이 높은 대회로 최근에 상금이 무려 천만달러나 되는 사우디 컵이 등장하긴 했으나 600만 달러의 엄청난 상금에 나오는 말들도 수준 높기 때문에 켄터키 더비에 필적하는 경주이다. 항상 세계 경마 대회 랭킹에 상위권에 들고 2021년 기준 대회 레이팅에서 개선문상에 이어 2위에 올랐다. 화제성도 대단하며 브리더스컵 클래식에서 우승한 말은 미국 연도대표마에 선정될 확률이 크게 올라간다. 다만 미국 경마가 더트를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터프 경주 및 경주마들의 수준은 유럽, 일본보다 한 수 아래로 평가받고 있다. (터프)마일과 터프 종목이 브리더스컵 원년부터 열리고 있지만 유럽 조교마들이 우승을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 터프 대회 수준도 개선문상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 재팬 컵 등 유럽/일본의 최정상급 경주들만큼 높이 평가받진 않지만, 상금 규모가 상당한지라 준수한 유럽 조교마들이 매년 출전하므로 잔디 경주 상위권에서 벗어나는 일은 드물다. 2022년 기준의 추세에 따르면 2020년에 우승한 닉스고 가 2021년에 클래식까지 우승을 하며 마이너리그라는 평가를 받고 있었던 '더트 마일'도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다음 대회인 2021년 우승마인 '라이프 이스 굿(Life is Good)'이 2022년 페가수스 월드컵에서 이전 대회 우승마였던 닉스고를 꺾으면서 화제를 모았다. 이후 코디스 위시 가 영화같은 서사와 경기 내용으로 2022, 2023 브리더스컵 더트 마일을 연패하는 등 더트 마일에 대한 시선이 달라져가고 있다. 3.1. 브리더스컵 챌린지 브리더스컵 챌린지 시리즈는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호주, 남아공, 남미 등 파트1 국가에서 실행하는 대회로 권위있는 브리더스컵을 위한 예선전 격을 하기 때문에 챌린지 대회라고 해도 G1 대회가 많고 G2 대회도 간혹 있다. 시작된 2007년은 미국과 캐나다의 6개 경마장에서 24개 경주로 구성되었으며 매년마다 챌린지로 포함된 파트1 국가 경마 대회가 늘어났으며 일본 대회도 빅토리아 마일 (암말 터프),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클래식), 야스다 기념 (클래식, 시니어), 타카라즈카 기념 (시니어 그랑프리)에 출주권이 부여됐다. 파트2 국가에서도 브리더스컵 챌린지 경주를 지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국가가 하술할 대한민국. 코리아컵 (더트 마일)과 코리아스프린트 (더트 스프린트)가 2024년 챌린지로 지정된 바 있다. 2025년부터 사우디 컵 데이와 두바이 월드컵 미팅 이 브리더스컵 챌린지 경주로 지정되었다. 브리더스컵 챌린지의 모토는 "Win and You're in" (승자에겐 자격이 있다.) 2024년 우승마 시에라리온은 챌린지 우승 없이 클래식을 승리하였다. <rowcolor=#ffffff> 경주명 트랙 출주 조건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Breeders' Cup Juvenile 더트 1+1⁄16 m (1710m) 2세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필리스 Breeders' Cup Juvenile Fillies 더트 1+1⁄16 m (1710m) 2세 암말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Breeders' Cup Juvenile Fillies Turf 잔디 1m (1609m) 2세 암말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 Breeders' Cup Juvenile Turf 잔디 1m ( 1609m) 2세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Breeders' Cup Juvenile Turf Sprint 잔디 5f (1006m) 2세 브리더스컵 클래식 Breeders' Cup Classic 더트 1+1⁄4 m (2012m) 3세 이상 브리더스컵 필리 앤 메어 터프 Breeders' Cup Filly & Mare Turf 잔디 1+3⁄8 m (2213m) 3세 이상 암말 브리더스컵 터프 Breeders' Cup Turf 잔디 1+1⁄2 m (2414m) 3세 이상 브리더스컵 터프 스프린트 Breeders' Cup Turf Sprint 잔디 5f (1006m) 3세 이상 브리더스컵 스프린트 Breeders' Cup Sprint 더트 6f (1207m) 3세 이상 브리더스컵 필리 앤 메어 스프린트 Breeders' Cup Filly & Mare Sprint 더트 7f (1408m) 3세 이상 암말 브리더스컵 더트 마일 Breeders' Cup Dirt Mile 더트 1m (1609m) 3세 이상 브리더스컵 마일 Breeders' Cup Mile 잔디 1m (1609m) 3세 이상 브리더스컵 디스태프 Breeders' Cup Distaff 더트 1+1⁄8 m (1811m) 3세 이상 암말
* 폐지된 대회
* 브리더스컵 마라톤 (2008~2013) *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스프린트 (2011~2012)
5. 슈메이커상 통산 8833승을 거둔 기수인 윌리엄 리 슈메이커(William Lee Shoemaker)가 2003년에 사망함에 따라 그 공적을 기리기 위해 같은 해부터 '슈메이커상'이 창설되었으며 브리더스컵 개최일을 통틀어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기수가 기자 투표로 선출되었다. 2008년부터는 착순포인트제로 경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 1만달러가 주어진다.6. 역대 개최 경마장 <rowcolor=#ffffff> 개최 횟수 경마장 비고 11회 산타아니타 파크 (Santa Anita Park) 1986, 1993, 2003, 2008-09, 2012-14, 2016, 2019, 2023 9회 처칠 다운스 (Churchill Downs) 1988, 1991, 1994, 1998, 2000, 2006, 2010-11, 2018 5회 벨몬트 파크 (Belmont Park) 1990, 1995, 2001, 2005, 2027(예정) 4회 델마 서러브레드 클럽 (Del Mar Thoroughbred Club) 2017, 2021, 2024-25 킨랜드 (Keeneland) 2015, 2020, 2022, 2026(예정) 3회 걸프스트림 파크 (Gulfstream Park) 1989, 1992, 1999 할리우드 파크 (Hollywood Park) 1984, 1987, 1997 1회 애퀴덕트 (Aqueduct) 1985 알링턴 파크 (Arlington Park) 2002 론 스타 파크 (Lone Star Park) 2004 몬머스 파크 (Monmouth Park) 200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우드바인 (Woodbine) 1996
2008년부터는 캘리포니아 지역의 산타아니타와 델마, 켄터키 지역의 킨랜드와 처칠 다운스 에서 돌아가며 개최되고 있다. 이로 인해 본래의 취지였던 미국 순회라는 컨셉이 무너지고 특정 지역에서만 개최권을 독차지한다는 불만도 보이는 편. 해당 비판을 의식한 것인지 2027년은 오랜만에 뉴욕주 의 벨몬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7. 일본 조교마의 도전사 브리더스컵은 1996년 13회부터 참가를 하기 시작하였으며 타이키 관명의 숫말 타이키 블리자드 에 오카베 유키오 가 타고 클래식 부문에 출주를 하였으나. 아쉽게 13착에 그치고 다음 해에도 참가를 하였으나 6착으로 입착을 하지 못한채 아쉽게 끝나게 되지만 첫 출주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내었다. 그리고 3년이 지난 2000년에 아그네스 월드 가 주전 기수였던 타케 유타카 를 타고 출주하지만 8착. 지금까지 일본 조교마의 최고 성적은 4착 입착(2010년 레드 디자이어, 2012 트레일블레이저)이었지만, 2021년 노던팜 생산이자 같은 야하기 요시토 소속으로 원정 동행을 한 러브즈 온리 유 와 마르슈 로렌 이 각각 필리 & 메어 터프와 디스태프 종목에서 일본 조교마로는 최초로 1착으로 들어오는 데 성공했다. 그 여파로 러브즈 온리 유와 마르슈 로렌 둘다 미국의 JRA상 격인 이클립스 어워드 최종 후보에도 이름을 올렸고 러브즈 온리 유는 결국 수상까지 하며 일본 조교마의 유일무이한 기록일지도 모르는 미국 경마 협회의 상을 받았다. 터프와 더트에서 각각 승리를 거둔 일본 경마이기에 앞으로도 먼 거리이지만 미국 브리더스컵에 원정 출주할 말이 늘어날 전망이다. 2023년은 작년 1두에 비해서 무려 9두나 원정을 나갔지만 1승도 거두지 못하며 세계의 벽을 실감해야 했다. 그래도 터프 3착의 샤흐리야르 와 클래식 데르마 소토가케 가 생각치도 못한 준우승을 하며 내년을 더욱 기대하게 만들었다. 2024년에는 켄터키 더비 3착을 거둔 포에버 영 이 브리더스컵 클래식에서도 3착을 거두며 2년 연속으로 클래식 상위권에 진입했다. 그리고 2025년, 마침내 포에버 영 이 브리더스컵 클래식 우승을 달성하며 작년의 패배를 설욕함과 동시에 일본 경마계의 비원을 풀어주었다. 2025년 기준 브리더스컵에서 일본의 우승 3번은 모두 야하기 요시토 마방에서 나왔다.7.1. 브리더스컵에 출주한 일본 경주마 목록 지금까지 브리더스컵에 출주한 일본 경주마는 총 17마리이며 28회인 2021년에만 총 7마리나 원정 출주를 한다.1996년 1997년 클래식 - 타이키 블리자드: 6착 (오카베 유키오) 2000년 2004년 2008년 클래식 - 카지노 드라이브: 12착 (빅토르 에스피노사) 2010년 2012년 터프 - 트레일블레이저: 4착 (타케 유타카) 2016년 2019년 주버나일 - 풀 플랫: 5착 (타케 유타카) 스프린트 - 마테라 스카이: 8착 (타케 유타카) 2020년 스프린트 - 재스퍼 프린스: 14착 (호세 오르티스) 2021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주버나일 터프 - 재스퍼 그레이트: 10착 (카와다 유가 ) 스프린트 터프 - 마테라 스카이: 5착 (카와다 유가) 더트 마일 필리 & 메어 터프 - 러브즈 온리 유 : 1착 (카와다 유가 ) 마일 - 뱅 드 가르드: 12착 (후쿠나가 유이치) 디스태프 - 마르슈 로렌 : 1착 (오이신 머피)}}} 2022년 필리 & 메어 스프린트 - 체인 오브 러브: 10착 (윌리엄 뷰익 ) 2023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24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클래식 터프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 에코로 지크: 8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주버나일 필리스 오토메나 샤초: 7착 (카와다 유가) 아메리칸 비키니: 9착 (라이언 무어 ) 주버나일 에코로 아젤: 8착 (스가와라 아키라) 신 빌리브: 10착 (타케 유타카 ) 주버나일 터프 - 사토노 카르나발: 9착 (레이첼 킹) 디스태프 - 앨리스 베리테: 4착 (카일 프레이) 스프린트 메타 맥스: 8착 (스가와라 아키라) 돈 프랭키 : 9착 (크리스티안 데무로)리메이크 : 11착 (카와다 유가)마일 더트 마일 - 티오 생드니: 9착 (사카이 류세이)}}} 2025년 클래식 - 포에버 영 : 1착 (사카이 류세이 )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 스위치 인 러브: 11착 (사카이 류세이) 터프 스프린트 인빈시블 파파: 6착 (사사키 다이스케) 퓨로 매직: 10착 (오이신 머피) 스프린트 - 아메리칸 스테이지: 4착 (사카이 류세이) 디스태프 - 앨리스 베리테: 10착 (카일 프레이) 8. 한국과 브리더스컵 세계적인 수준과 한참 차이 나는 한국 경마도 그나마 2019년 블루치퍼 가 브리더스컵 더트 마일에 출주를 하여 3착 마권 안에 드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하였다. 또 미국 조교에 미국 말이지만 한국마사회 소속인 K-닉스(Nicks) 프로젝트의 최대의 성과를 내고 있는 닉스고 가 2018년 주버나일에서 2착, 그리고 2020년 브리더스컵의 초대로 챌린지 대회를 나가지 않고도 추가 엔트리에 등록, 트랙 레코드를 세우며 우승한 더트 마일, 그리고 우승을 거머쥔 2021년 클래식까지 무려 3번이나 출주를 했다. 3번이나 출주하는 것도 대단한 기록이지만 무엇보다 브리더스컵 클래식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2021년 클래식 세대인 에센셜 퀄리티 , 메디나 스피릿 , 핫 로드 찰리 등을 모두 꺾고 우승 했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대단한 성과. 2023년 우승마 화이트 아바리오 는 아버지 레이스 데이가 한국의 챌린저팜에 종마로 있어 관계가 있다.# 2024년에 놀랍게도 코리아컵 과 코리아스프린트 가 각각 더트 마일과 스프린트 챌린지 경주가 되었다. 특히 코리아스프린트가 챌린지 경주가 된 것이 의미가 큰데 스프린트 경주는 미국 제외하고 사실상 없으며 아시아 챌린지 경주 자체도 일본을 제외하고 없기 때문에 한국의 2경주 추가는 코리아컵/스프린트가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다만, 2025년을 기준으로 리메이크 외에는 전부 우선출전권을 사용하지 않았다.9. 역대 우승마 '''[[브리더스컵 클래식|브리더스컵 클래식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1984
와일드 어게인 | 1985
프라우드 트루스 | 1986
스카이워커 | 1987
퍼디난드 | 1988
알리시바 | 1989
선데이 사일런스 1990
언브라이들드 | 1991
블랙 타이 어페어 | 1992
에이피 인디 | 1993
아르캉그 | 1994
콘선 | 1995
시가 | 1996
알파벳 수프 | 1997
스킵 어웨이 | 1998
어썸 어게인 | 1999
캣 시프 2000 · 2001
티즈나우 | 2002
볼포니 | 2003
플레전틀리 퍼펙트 | 2004
고스트재퍼 | 2005
세인트 리암 | 2006
인바소르 | 2007
컬린 | 2008
레이븐즈 패스 | 2009
젠야타 암컷 2010
블레임 | 2011
드로셀마이어 | 2012
포트 란드 | 2013
무초 마초 맨 | 2014
바이언 | 2015
아메리칸 패로아 | 2016
애로게이트 | 2017
건 러너 | 2018
액셀러레이트 | 2019
비노 로소 2020
오센틱 | 2021
닉스고 | 2022
플라이트라인 | 2023
화이트 아바리오 | 2024
시에라리온 | 2025
포에버 영
}}}}}}}}} ||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디스태프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1984
프린세스 루니 | 1985
라이프스 매직 | 1986
레이디스 시크릿 | 1987
사카휘스타 | 1988
퍼스널 엔선 | 1989 · 1990
바야코아 1991
댄스 스마틀리 | 1992
파세아나 | 1993
할리우드 와일드캣 | 1994
원 드리머 | 1995
인사이드 인포메이션 | 1996
주얼 프린세스 | 1997
아지나 | 1998
에시나 | 1999
뷰티풀 플레저 2000
스페인 | 2001
언브라이들드 일레인 | 2002
아제리 | 2003
애더레이션 | 2004
아샤도 | 2005
플레전트 홈 | 2006
라운드 폰드 | 2007
진저 펀치 | 2008
젠야타 | 2009
라이프 이스 스위트 2010
언라이벌드 벨 | 2011 · 2012
로열 델타 | 2013
비홀더 | 2014
언태퍼블 | 2015
스탑차징마리아 | 2016
비홀더 | 2017
포에버 언브라이들드 | 2018
모노모이 걸 | 2019
블루 프라이즈 2020
모노모이 걸 | 2021
마르슈 로렌 | 2022
말라사트 | 2023
이디어매틱 | 2024
토르피도 안나 | 2025
실라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스프린트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1984
일로 | 1985
프리시저니스트 | 1986
스마일 | 1987
베리 서틀 | 1988
걸치 | 1989
댄싱 스프리 1990
세이플리 켑트 | 1991
셰이크 알바두 | 1992
서티 슬루스 | 1993
카드마니아 | 1994
체로키 런 | 1995
데저트 스토머 | 1996
리 드 저스티스 | 1997
엘름허스트 | 1998
리레이즈 | 1999
아택스 2000
코나 골드 | 2001
스쿼틀 스쿼트 | 2002
오리엔테이트 | 2003
케이준 비트 | 2004
스파이츠타운 | 2005
실버 트레인 | 2006
토르스 에코 | 2007 · 2008
미드나잇 류트 | 2009
댄싱 인 실크스 2010
빅 드라마 | 2011
아마좀비 | 2012
트리니버그 | 2013
시크릿 서클 | 2014
워크 올 위크 | 2015
런해피 | 2016
드레퐁 | 2017 · 2018
로이 에이치 | 2019
미톨레 2020
위트모어 | 2021
알로하 웨스트 | 2022 · 2023
엘리트 파워 | 2024
스트레이트 노 체이서 | 2025
벤토르나토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마일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1984
로열 히로인 | 1985
코진 | 1986
라스트 타이쿤 | 1987 · 1988
미에스크 | 1989
스타인런 1990
로열 아카데미 | 1991
오프닝 버스 | 1992 · 1993
루어 | 1994
배러시어 | 1995
리지우드 펄 | 1996
다 호스 | 1997
스피닝 월드 | 1998
다 호스 | 1999
실릭 2000
워 챈트 | 2001
밸 로열 | 2002
돔드라이버 | 2003
식스 퍼펙션스 | 2004
싱글터리 | 2005
아티 실러 | 2006
미에스크스 어프루벌 | 2007
킵 데빌 | 2008 · 2009
골디코바 2010
골디코바 | 2011
코트 비전 | 2012 · 2013
와이즈 댄 | 2014
카라콩티 | 2015
테핀 | 2016
투어리스트 | 2017
월드 어프루벌 | 2018
익스퍼트 아이 | 2019
유니 2020
오더 오브 오스트레일리아 | 2021
스페이스 블루스 | 2022
모던 게임스 | 2023
마스터 오브 더 시즈 | 2024
모어 댄 룩스 | 2025
노터블 스피치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필리 & 메어 터프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1999
소어링 소프틀리 2000
퍼펙트 스팅 | 2001
뱅크스 힐 | 2002
스타린 | 2003
이즐링턴 | 2004
위저 보드 | 2005
인터컨티넨탈 | 2006
위저 보드 | 2007
라후두드 | 2008
포에버 투게더 | 2009
미드데이 2010
셰어드 어카운트 | 2011
퍼펙트 셜 | 2012
자고라 | 2013
댕크 | 2014
데이앳더스파 | 2015
스테파니스 키튼 | 2016
퀸스 트러스트 | 2017
우하이다 | 2018
시스터 찰리 | 2019
이리데사 2020
아우다리아 | 2021
러브즈 온리 유 | 2022
튜즈데이 | 2023
인스파이럴 | 2024
모이라 | 2025
게조라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주버나일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1984
치프스 크라운 | 1985
타소 | 1986
카포테 | 1987
석세스 익스프레스 | 1988
이즈 잇 트루 | 1989
리듬 1990
플라이 소 프리 | 1991
아라지 | 1992
길디드 타임 | 1993
브로코 | 1994
팀버 컨트리 | 1995
언브라이들즈 송 | 1996
보스턴 하버 | 1997
페이버릿 트릭 | 1998
앤서 라이블리 | 1999
아니스 2000
마초 우노 | 2001
요하네스버그 | 2002
빈디케이션 | 2003
액션 디스 데이 | 2004
윌코 | 2005
스티비 원더보이 | 2006
스트리트 센스 | 2007
워 패스 | 2008
미드십맨 | 2009
베일 오브 요크 2010
엉클 모 | 2011
한센 | 2012
상하이 보비 | 2013
뉴 이어스 데이 | 2014
텍사스 레드 | 2015
나이퀴스트 | 2016
클래식 엠파이어 | 2017
굿 매직 | 2018
게임 위너 | 2019
스톰 더 코트 2020
에센셜 퀄리티 | 2021
코니시 | 2022
포르테 | 2023
피어스니스 | 2024
시티즌 불 | 2025
테드 노피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필리스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1984
아웃스탠딩리 | 1985
트와일라이트 리지 | 1986
브레이브 라지 | 1987
에피토메 | 1988
오픈 마인드 | 1989
고 포 완드 1990
메도우 스타 | 1991
플레전트 스테이지 | 1992
일라이자 | 1993
폰 채터 | 1994
플랜더스 | 1995
마이 플래그 | 1996
스톰 송 | 1997
카운티스 다이애나 | 1998
실버불릿데이 | 1999
캐시 런 2000
커레싱 | 2001
템페라 | 2002
스톰 플래그 플라잉 | 2003
하프브라이들드 | 2004
스위트 캐터마인 | 2005
포클로어 | 2006
드리밍 오브 애나 | 2007
인디언 블레싱 | 2008
스타덤 바운드 | 2009
쉬 비 와일드 2010
어썸 페더 | 2011
마이 미스 오렐리아 | 2012
비홀더 | 2013
리아 안토니아 | 2014
테이크 차지 브랜디 | 2015
송버드 | 2016
샴페인 룸 | 2017
칼레도니아 로드 | 2018
제이워크 | 2019
브리티시 이디엄 2020
베퀴스트 | 2021
에코 줄루 | 2022
원더 휠 | 2023
저스트 에프와이아이 | 2024
이머시브 | 2025
슈퍼 코레도라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더트 마일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2007
커린시언 | 2008
알베르투스 막시무스 | 2009
퍼디스트 랜드 2010
다코타 폰 | 2011
케일럽스 파시 | 2012
태피자 | 2013 · 2014
골든센츠 | 2015
리암스 맵 | 2016
타마르쿠즈 | 2017
배틀 오브 미드웨이 | 2018
시티 오브 라이트 | 2019
스펀 투 런 2020
닉스고 | 2021
라이프 이즈 굿 | 2022 · 2023
코디스 위시 | 2024
풀 세라노 | 2025
나이소스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2007
나우나우나우 | 2008
도나티붐 GII 지정 후
2009
파운스드 | 2010
플럭 GI 승격 후
2011
로트 | 2012
조지 밴쿠버 | 2013
아웃스트립 | 2014
후티너니 | 2015
히트 잇 어 봄 | 2016
오스카 퍼포먼스 | 2017
멘델스존 | 2018
라인 오브 듀티 | 2019
스트럭터 2020
파이어 앳 윌 | 2021
모던 게임즈 | 2022
빅토리아 로드 | 2023
언퀘스처너블 | 2024
앙리 마티스 | 2025
그슈타드
}}}}}}}}} || '''[[브리더스컵|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2008
마람 | 2009
태피츠플라이 GII 지정 후
2010
모어 댄 리얼 | 2011
스테파니스 키튼 GI 승격 후
2012
플로틸라 | 2013
크리셀리엄 | 2014
레이디 일라이 | 2015
캐치 어 글림스 | 2016
뉴 머니 허니 | 2017
러싱 폴 | 2018
뉴스페이퍼오브레코드 | 2019
셰어링 2020
언트 펄 | 2021
피자 비앙카 | 2022
메디테이트 | 2023
하드 투 저스티파이 | 2024
레이크 빅토리아 | 2025
발란티나
}}}}}}}}} ||클래식 최초 암말 우승 : 젠야타 (Zenyatta) 말 소개글 클래식 최대 마신차 우승 : 플라이트라인 (Flightline) - 8 1⁄4 마신 2회 이상 우승마는 총 25마리가 이름에 올렸다. 38회인 2021년에 2마리나 기록에 올랐다. 같은 브리더스컵 경주 2회 이상 우승마 클래식 : 티즈나우 (Tiznow)(2000, 2001) 디스태프 : 바야코아(Bayakoa)(1989, 1990), 로열 델타(Royal Delta)(2011, 2012), 비홀더 (Beholder)(2013, 2016), 모노모이 걸(Monomoy Girl)(2018, 2020) 터프 : 하이 채퍼럴 (High Chaparral)(2002, 2003), 콘듀잇(Conduit)(2008, 2009) 필리&메어 터프 : 위저 보드 (Ouija Board)(2004, 2006) 마일 : 미에스크 (Miesque)(1987, 1988), 루어(Lure)(1992, 1993), 다 호스(Da Hoss)(1996, 1998), 골디코바 (Goldikova)(2008~2010), 와이즈 댄(Wise Dan)(2012, 2013) 더트 마일 : 골든센츠(Goldencents)(2013, 2014), 코디스 위시 (Cody's Wish)(2022, 2023) 스프린트 : 미드나이트 루트(Midnight Lute)(2007, 2008), 로이 에이치(Roy H)(2017, 2018) 터프 스프린트 : 미즈디렉션(Mizdirection)(2012, 2013), 스토미 리버럴(Stormy Liberal)(2017, 2018) 필리&메어 스프린트 : 그루피 돌(Groupie Doll)(2012, 2013) 다른 브리더스컵 경주 2회 이상 우승마 젠야타 (Zenyatta) : 디스태프(2008), 클래식(2009)비홀더 (Beholder) : 주버나일 필리스(2012), 디스태프(2013, 2016)시크릿 서클(Secret Circle) : 주버나일 스프린트(2011), 스프린트(2013) 스테파니스 키튼(Stephanie's Kitten) :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2011), 필리&메어 터프(2015) 골든 팰(Golden Pal) :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2020), 터프 스프린트(2021) 닉스고 (Knicks Go) : 더트 마일(2020), 클래식(2021)브리더스컵 경주 3회 이상 우승마 골디코바(Goldikova) : 마일(2008, 2009, 2010) 비홀더 (Beholder) : 주버나일 필리스(2012), 디스태프(2013, 2016)브리더스컵 최고령 우승마 : 칼리도스코피오(Calidoscopio)(아르헨티나) : 9세 - 2012년 마라톤 우승 브리더스컵 최고령 승리 조교사 : D. 웨인 루카스 : 79세 - 테이크 차지 브랜디(Take Charge Brandi)로 2014년 주버나일 필리스 승리 브리더스컵 최연소 승리 조교사 : 조셉 오브라이언 : 26세 - 이리데사(Iridessa)로 2019년 필리&메어 터프 승리 브리더스컵 최고령 승리 기수 : 윌리엄 리 슈메이커 : 56세 - 퍼디난드 (Ferdinand)로 1987년 클래식 승리 브리더스컵 최연소 승리 기수 : 조셉 오브라이언 : 18세 - 세인트니콜라스 애비 (St Nicholas Abbey)로 승리 최고 배당(odd) 우승마 : 아르캉그(Arcangues) - 133.60-1 9.2. 국가별 우승 횟수 클래식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9회 공동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터프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4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1회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9회 4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6회 5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랍에미리트}}}{{{#!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6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디스태프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0회 공동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마일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2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0회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7회 4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회
스프린트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1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필리 & 메어 터프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1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9회 공동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4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5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더트 마일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회
터프 스프린트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6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필리 & 메어 스프린트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8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주버나일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8회 공동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랍에미리트}}}{{{#!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주버나일 필리스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2회
주버나일 터프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8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6회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회
주버나일 필리스 터프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2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회 공동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회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주버나일 스프린트 (폐지) 순위 국가 횟수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마라톤 (폐지) 순위 국가 횟수 공동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회 공동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회
일본에서는 샤다이 그룹 이 수입해온 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를 나오게 한 대회로 유명하다. SS가 일본 경마계를 거의 점령하다시피 했고 지금도 이 영향력은 대단한데 지금 일본 경마의 최소 80퍼 이상이 SS 계열이며 개선문상 보다 화제성은 덜하지만 홍콩 인터네셔널, 두바이 월드컵 나이트에 이어 몇마리씩 원정을 보내는 대회이다. 2021년 제 38회 델마(Del Mar)에서 열린 브리더스컵 퓨처스 프라이데이에서 희대의 사건이 일어나고 마는데 2번 게이트 였던 고돌핀 소속의 알바르(Albahr)가 게이트에서 난동 피우다 못해 다른 말들에게 피해를 끼치며 뒤로 넘어지는 사태가 일어났다. 다행히 건강에는 이상이 없었지만 당연히 출주 취소(Scratched). 1번 게이트였던 같은 고돌핀 소속의 모던 게임스(Modern Games)도 피해가 가버려 출주 취소 판정이 났지만 다행히 큰 이상이 없었던 것인지 번복을 하지만 이미 건 돈은 환불이 되었다. 그런데 모던 게임스가 우승 을 해버리며 2착이 배당에서 1착 판정 으로 나는 어이없는 상황이 발생해버렸다. 관중들은 당연히 난리가 났고 야유도 일부 나오고 말았다. 2024년 10월 2일에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제작사인 사이게임즈 가 브리더스컵 관계자와 계약을 맺으며 콜라보를 시작될 예정이며 이 소식에 팬들은 드디어 4주년에 개선문상에 이어 브리더스컵이 나온다며 환호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