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1:20:07

불비안

파일:페이퍼 마리오.png 문서가 존재하는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4400><rowcolor=#fff> 파일:페이퍼 마리오.png
시리즈 공통
마리오 쿠파 피치공주 루이지
키노피오 혹혹이 마귀망구 / 마귀 쿠파주니어
파일:pm-logo-eng.png
페이퍼 마리오
굼바리오 엉큼이 핑키 펄리
천방부끄 빛쭈쭈 아줌뽀꾸 포코피
파일:페이퍼_마리오_1000년의_문_(한)로고.webp
1000년의 문
굼벨라 엉금돌이 마담클라우드 꼬마요시
폭탄선장 찍찍리나 불비안
파일:슈퍼_페이퍼_마리오_(한)로고.png
슈퍼
안나 느와르 백작 디멘 머니
나스타샤 두두둥
파일:pmss-logo-kor.png
스티커 스타
커스티
파일:pmcs-logo-eng.png
컬러 스플래시
페인키
파일:paper_mario_the_origami_king_logo.png
종이접기 킹
올리비아 올리 왕 포탄병 문방군단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 · 마리오 시리즈 등장인물
}}}}}}}}} ||

<colbgcolor=#960100><colcolor=#fff> 파일:페이퍼_마리오_1000년의_문_(한)로고.webp
리메이크 · 챕터
등장인물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150px-Vivian_-_Paper_Mario_The_Thousand-Year_Door.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불비안
파일:일본 국기.svg ビビアン
파일:미국 국기.svg Vivian
파일:중국 국기.svg 薇薇安
1. 개요2. 성별3. 작중 행적4. 사용 기술5. 기타

1. 개요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의 등장인물. 빨간 마법사 모자를 쓴 그림자 삼인조의 막내. 특기는 불 마법. 처음엔 마리오와 적대했지만 이후 동료가 된다. 일본판에서는 1인칭으로 아타이를 사용하며 셋 중에선 가장 예쁘게 생겼는데...

2. 성별

그림자 삼인조 중 한 명이었다.
여자아이 같지만 사실은 남자아이.
원작 불비안의 동료 설명문
그림자삼인조의 일원이었다.
몸은 남자여도 마음은 여자.
리메이크 불비안의 동료 설명문

생물학적으론 남자다. 일본판 원작 챕터 2에서 그림자 삼인조가 마리오와 마주했을 때 자신들을 '그림자 세 자매'라고 소개했다가 얼죠린에게 "뭐가 세 자매야, 넌 남자잖아!!" 라고 혼나는 장면으로 남자임이 밝혀진다. 일종의 서술 트릭으로 일본어로는 언니와 누나를 칭하는 호칭이 똑같아서 불비안이 자매들을 부르는 호칭만으론 그녀(?)가 남자라는 걸 알 수 없다.[1]

불비안의 성별은 원작과 리메이크의 서술 방식이 다르다. 일본판 원작에서는 상술했듯 첫 등장에서 바로 남자임이 밝혀진다. 반면 리메이크에서는 처음에는 얼죠린이 세 자매가 아니라 삼인조라고만 정정하며, 불비안이 "나도 마음만은 같은 자매라서 나도 모르게..." 라며 두루뭉실하게 넘어간다. 이후 챕터 4에서 합류할 때 불비안이 "몸은 남자아이지만 마음만은 귀여운 여자아이야" 라며 본인의 성별을 뒤늦게 밝히도록 바뀌어 불비안의 성별 자체가 일종의 반전요소가 되도록 수정되었다. 첫 전투시 굼벨라의 분석에서도 얼죠린은 '삼인조 중 장녀야', 찌리린은 '삼인조 중 차녀야'라고 설명하지만, 불비안은 '삼인조 중 막내야'라고 설명해서 시스템 상으로도 은근슬쩍 성별을 숨긴다. 한편 한국어판 리메이크에서 상술한 자매들을 부르는 호칭의 경우 반전을 위해서인지 혹은 불비안이 스스로를 여성으로 여기기 때문인지 언니라는 인칭대명사를 사용하도록 번역했다.

북미판을 포함한 해외판 원작에선 아예 성별도 달라져서 진짜로 여자가 되었다. 얼죠린도 자매(Sisters)란 명칭이 아니라 그냥 불비안이 못생겼다는 이유로 구박하며, 불비안을 지칭할 때도 모두 She를 사용한다. 스페인판과 프랑스판에는 일본판처럼 별다른 수정 없이 남자로 등장하고, 이탈리아판은 한술 더 떠 지금은 여자지만 과거엔 남자였다는 설정이 붙어있다. 그리고 게임상에서는 대사를 수정하긴 했지만 영어판 위키에는 불비안이 원판에서는 남자로 나온다는 것을 상세하게 적어놨기 때문에 알 사람들은 다 알 것이다.

다만 원작의 언어마다 바뀌는 복잡한 성별 묘사 탓에, 영어권 커뮤니티에서 불비안의 성 정체성은 꺼내기만 하면 논란이 일어나는 주제이기도 했다. 페이퍼 마리오 서브레딧에서는 아예 불비안이 시스젠더트랜스젠더든 두 해석 모두 유효하니 이걸로 논쟁하지 말라는 규칙을 제정했을 정도이다.

영문판 리메이크에선 여전히 여성으로 지칭되지만 트랜스여성임을 암시하도록 대사가 수정되었다. 얼죠린이 갈구는 내용도 외모가 아닌 처음 불비안이 자기들을 그림자 세자매(The Three Shadow Sisters)로 소개했다가 "자매(Sisters)를 붙이면 신비함도 줄고... 덜 무서워 보이잖아!("Sisters" makes us sound less mysterious... and less scary!)"라고 갈구도록 변경되었으며, 갈굼받을 때 불비안도 "언니가 날 자매로 불러주는 게 너무 기뻐서 그만..."(It's just, it makes me really happy when you call me your sister, so...)이라고 한다. 이후 마리오의 동료로 합류할 때 "사실은... 내가 나 자신을 저들의 '형제'가 아닌 '자매'였다는 것을 깨닫는 데에 시간이 좀 걸렸어."(Truth is... it took me a while to realize I was their sister... not their brother.)라는 대사가 나와 마찬가지로 불비안의 성 정체성이 뒤늦게 밝혀지도록 수정되었다. 영미권에서는 리메이크를 거치며 어쨌거나 트랜스여성의 정의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캐릭터가 되었기에, 트랜스젠더프라이드 플래그를 들고있는 불비안의 팬아트를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일본판과 한국판은 원작이나 리메이크나 오토코노코로 등장한다.

3. 작중 행적

등장할 때마다 언니인 얼죠린에게 계속해서 갈굼을 받는다. 그러다 챕터 4에서 지나가던 마리오에게 도움받은 걸 계기로[2] 동행하게 되었다.[3] 이후 마리오의 이름을 빼앗은 람펠과의 보스전 도중 자신이 여태 마리오를 돕고 있었다는 것에 충격을 받고 잠시 이탈하지만, 결국에는 적이었던 자신에게도 도움을 준 마리오에게 감화되어 완전히 동료가 된다.[4] 이후 모험을 함께하면서 마리오를 흠모하게 된 듯.

동료로서의 능력은 필드 상에서 X버튼을 누르면 마리오를 그림자 속으로 숨겨준다. 이걸 이용해 몇몇 벽이나 가시밭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새들이 하는 대화 내용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때에 따라서 적의 인카운트를 회피할때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작의 천방부끄와 비슷한 포지션.

엔딩 이후에는 자매들과 잘 지내고 있다. 특히 얼죠린은 사건이 끝나고 더 이상 불비안을 못 살게 굴지 않는다고 한다.

4. 사용 기술

불비안의 모든 공격 기술은 불꽃 속성이며, 화상[5]을 부여한다.
  • 그림자펀치(カゲぬけパンチ/Shade Fist) : 기본 공격, 화면에 나오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불비안이 자기 자리로 돌아올 때 A버튼으로 곡예.
    불비안의 통상기. 액션 커맨드를 성공했을 경우 적에게 화상을 입히며 통상기 중 유일하게 상태 이상을 입히는 기술이다. 또한 통상기 중 점프에 내성있는 적과 공중에 뜬 적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기도. 위력은 업그레이드에 따라 4 / 5 / 6이며 추가로 2턴간 화상을 부여한다.
  • 그림자숨기(カゲがくれ/Veil) : 1FP 소모, 화면에 나오는 버튼을 차례로 누르면 된다. 불비안이 자기 자리로 돌아올 때 A버튼으로 곡예.
    마리오를 그림자 속에 숨겨서 적의 공격을 한 턴간 완전히 회피하게 만들어준다. FP 소모량도 1이라 위험할 때 적절히 써주면 좋지만 그림자 주기를 사용하는 턴에는 마리오의 행동 턴을 포기해야하고 다음 턴에 불비안이 행동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전작 천방부끄의 투명해지기보다 하향된 성능.[6]
  • 마법불꽃(まほうのほのお/Fiery Jinx) : 6FP 소모, 화면에 나오는 버튼을 타이밍에 맞춰 차례로 누르면 된다. 불비안이 손가락질을 할 때 A버튼으로 곡예.
    불꽃으로 적 전체를 공격하며, 방어를 무시하고 추가로 3턴간 화상을 입힌다. 다만 에르모스같이 불 내성이 있는 적에게는 먹히지 않는게 단점. 서양쪽에서는 동료의 전체공격기 중 가성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받는다.[7] 그림자 3인조 첫 보스전에서도 가끔 사용하는데 어째서인지 동료가 된 이후에는 랭크를 올리기 전까지 사용할 수 없다.
    위력은 액션 커맨드 성공 횟수마다 1씩 증가해 최대 5가 되며, 업그레이드해도 위력이 변하지 않는다.
  • 헤롱헤롱뽀뽀(メロメロキッス/Infatuate) : 4FP 소모, 적에게 하트 표시가 날 때 A버튼을 누르면 된다. 하트 표시가 날 때 A버튼을 누른 후 다시 A버튼으로 곡예.
    적 전체에게 혼란[8] 상태이상을 건다.

5. 기타


리메이크에서 추가된 불비안의 테마곡. 할로윈풍 테마에 그림자 삼인조 보스 배틀 테마를 섞은 것이 특징이다.

굼벨라와 함께 본작의 인기 캐릭터 중 하나다.

챕터 2에서 그림자삼인조 보스전 중 굼벨라로 불비안에게 박학다식을 사용하면 원작에서는 "귀엽지만 사실은 남자다"라는 말을, 리메이크에서는 "나보다 귀여운 것 같다"라는 말을 한다. 성별 문단에서 서술했듯이 불비안의 성별을 일종의 반전요소로 활용하기 위해 수정된 것으로 추정.

파일:불비안_암즈.png
불비안은 그림자 일족이기 때문에 항상 바닥과 몸체가 이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높은 곳을 오르내리거나 위 사진처럼 바닥과 멀리 떨어져있는 위치에 서 있으면 하체가 비정상적으로 길쭉하게 늘어나는 기묘한 비주얼이 된다. 불비안만큼 길어지는걸 보기는 힘들지만 자매인 찌리린, 얼죠린도 이동할때나 전투 중 상태이상 해제 등으로 폴짝거릴때 똑같이 하체가 쭉 늘어나는 걸 볼 수 있다.[9]
파일:super paper mario card 253.jpg
253. 불비안
hp. -, 공격력 -, 방어력 -
불 마법을 사용하는 귀여운 남자 아이.
과거에는 마리오의 적이었다.

슈퍼 페이퍼 마리오에서 253번 카드로 나왔다. 원작은 정발되지 않았지만 본작에서 별 검열없이 "귀여운 남자아이"로 나와 1000년의 문이 정발된다면 원판과 똑같이 남자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후 리메이크가 정발되며 사실이 되었다.


[1] 원작의 비공식 한글 패치에선 불비안이 자매들을 부르는 호칭을 누나라고 번역해서 마리오와 마주치기 전부터 남자라는 것이 드러났다.[2] 당시에는 마리오가 모습과 이름을 빼앗긴 상태였기 때문에 마리오인지 몰랐다.[3] 당연히 마리오는 고개를 저으며 거절했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불비안은 본인도 인니들과 함께 다녀도 좋은 일 하나도 없다며 사양 안해도 된다면서 따라온다. 해당 대사를 보면 얼죠린한테 얼마나 갈굼당하는지 알 수 있는 모습.[4] 이때 람펠이 떨어뜨린 4번째 스타스톤을 주워서 마리오한테 건네준다. 불비안이 완전히 아군으로 돌아섰다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5] 매 턴이 끝날 때마다 1 대미지[6] 투명해지기는 다음 턴 천방부끄의 행동불능 제약이 전부.[7] 관통등껍질은 공중의 적을 공격할 수 없으며 마법불꽃이 입히는 화상의 존재 때문에 실질적인 딜량은 차이가 없어지며, 요시무리는 밑준비 없이는 상대가 방어력이 있는 경우 데미지가 전부 무효화되고, 대폭발은 FP소모가 격렬하고 적의 방어력을 무시할 수 없다. 날리기는 논외. 그 밖에도 액션 커맨드가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는 것 뿐이라서 상당히 쉽다는 점도 좋은 점이다.[8] 50% 확률로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무작위 행동을 한다.[9] 달에 갔을 때 동료로 불비안을 소환해두고 있었다면 몸체와 이어져 있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