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cc101f> 넷플릭스 드라마 부트캠프 (2025) BOOTS | |
| <nopad> | |
| 장르 | 군대물, 드라마, 퀴어물 |
| 원작 | 그래그 코프 화이트 《The Pink Marine》 |
| 제작 | 앤디 파커 |
| 연출 | Phil Abraham, Kyle Patrick Alvarez, Silas Howard, Tanya Hamilton, Peter Hoar |
| 출연 | 마일스 하이저 맥스 파커 리암 오 베라 파미가 外 |
| 방송 기간 | 2025년 10월 9일 |
| 방송사 | |
| 제작사 |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 |
| 링크 | |
| 시청 등급 | |
1. 개요
《부트 캠프》(원제: Boots)는 2025년 10월 9일 공개된 미국의 군대 성장 드라마이다. 넷플릭스에서 독점 공개되었으며, 제작은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이 맡았다. 이 작품은 미합중국 해병대 출신 작가 그레그 코프 화이트(Greg Cope White)가 자신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한 자전적 소설 《The Pink Marine》을 원작으로 하며, 이를 각색해 제작되었다.학교 폭력에 시달리던 10대 청년 카메론은 더 이상 자신을 약자로 두지 않겠다는 결심을 한다. 강해지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친구 레이의 권유에 따라 무턱대고 미합중국 해병대에 지원한다. 하지만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상상 이상의 혹독한 훈련, 그리고 진짜 용기와 인간성을 시험하는 현실이다.
"Growing up has its obstacles."
성장에는 언제나 장애물이 있다.
총 8부작 한정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넷플릭스에서는 2025년 10월 9일 동시 공개되었으며, 한국어 제목은 《부트 캠프》로 표기된다.성장에는 언제나 장애물이 있다.
2. 공개정보
2.1. 예고편
| 티저 영상 |
| 공식 예고편 |
| 스니크 피크 |
3. 등장인물
3.1. 훈련병
- 카메론 코프/Cameron Cope (마일스 하이저) – 본작의 주인공이자 작가 그레그 코프 화이트의 자전적 인물을 바탕으로 한 캐릭터. 18세의 동성애자 청년으로, 고등학교 때 학교폭력을 당하고 인생의 방향을 잃은 채 절친인 레이를 따라 미 해병대에 입대한다. 처음에는 친구를 의지해 단순히 “따라온” 인물이지만, 혹독한 훈련을 거치며 스스로의 정체성과 강함을 깨닫는 성장의 여정을 겪는다. 겉보기엔 왜소하고 소심하지만, 진정한 강함이란 타인을 이기는 힘이 아니라 책임감과 공감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배운다. 훈련 교관 설리번의 영향을 받으며 내면의 용기를 키워가고, 자신이 퀴어라는 정체성을 부끄러움이 아닌 힘으로 전환하게 된다. 작품의 주제인 ‘약함의 재정의’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 레이 맥애피/Ray McAffey (리암 오) – 카메론의 절친이자 보호자 같은 존재. 어린 시절부터 카메론에게 든든한 버팀목이었으며, 공군사관학교를 중퇴한 후 “버디 시스템(Buddy System)”을 통해 함께 해병대에 동반입대한다. 그의 아버지 할런 맥애피(Harlan McAffey) 는 미 해병대 출신 원사(Master Gunnery Sergeant)로, 철저한 규율과 군인정신을 중시하는 인물이다. 아버지의 엄격한 기준 아래 자란 레이는 늘 인정받고자 하는 압박감 속에 살았으며, 그 기대를 뛰어넘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몰아붙인다. 목표지향적이고 완벽주의적인 성격으로, 처음에는 명예병사(Honor Man)가 되는 것을 인생의 전부로 여기지만, 훈련을 통해 우정·진정성·자기 확립의 가치를 깨닫는다. 결국 졸업식 날, 오랜 시간 자신을 억눌러온 아버지로부터 진심 어린 인정을 받으며 성장의 여정을 마무리한다.
- 에두아르도 오초아/Eduardo Ochoa (조나단 니에베스) – 결혼한 상태로 입대한 병사로, 아내 글로리아를 사랑하며 “더 나은 남편”이 되기 위해 훈련에 임한다.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강하고, 훈련소에서도 아내의 편지를 기다리는 낭만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아내의 외도 사실을 알게 된 뒤 극심한 충격을 받아 정신적으로 붕괴하고, 쇼크로 쓰러져 결국 사망한다. 그의 비극적인 죽음은 미 해병대 훈련소의 혹독한 환경과 인간의 한계를 상징하며, 동료들에게 깊은 상실감을 남긴다.
- 존 보우먼/John Bowman (블레이크 버트) & 코디 보우먼/Cody Bowman (브랜든 타일러 무어) – 쌍둥이 형제지만 성격은 정반대. 존은 온화하고 내성적이며, 코디는 공격적이고 자신감이 넘친다. 부모의 불균형한 사랑 속에서 자란 탓에 늘 경쟁 관계였지만, 훈련 중 겪은 극한의 상황과 아버지의 사망 소식으로 서로를 이해하게 된다. 결국 두 사람은 ‘형제애’라는 본질적인 유대를 회복하며 성장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 니콜라스 슬로바첵/Nicholas Slovacek (키에론 무어) – 체코계 미국인 출신의 근육질 훈련병으로, 입소 초반부터 인종차별적 발언과 편견의 대상이 된다. 처음에는 공격적이고 불량한 태도를 보였지만, 훈련이 거듭될수록 동료들과의 유대 속에서 점차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낸다. 강한 외면 속에 감춰진 외로움과 정체성의 혼란을 통해 ‘편견 극복’이라는 주제를 보여준다.
- 아이제이아 내시/Isaiah Nash (도미닉 굿맨) – 지적이고 비판적인 성격의 훈련병. 처음에는 동료들을 무시하며 우월감을 보이지만, 자신의 일기장이 공개되는 사건을 계기로 깊은 반성을 하게 된다. 이후 소대원들과 협력하며 ‘팀워크’의 의미를 배우고, 마지막에는 명예병사(Honor Man)로 선정되어 성숙한 리더십을 보여준다.
- 힉스/Hicks (앵거스 오 브라이언) – 장난기 많고 규율에 반항적인 훈련병. 뱀을 훈련장에 풀거나, 화장지를 훔쳐 소대 간 장난 전쟁을 벌이는 등 말썽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난 속에서도 동료들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며, 훈련소 생활의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코믹 릴리프 역할을 한다.
- 산토스 산토스/Santos Santos (리코 패리스) – 가족을 위해 입대한 가장형 훈련병. 책임감이 강하고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깊다. 오초아와 함께 가족 이야기를 자주 나누며 동료애를 쌓고, 훈련 도중 동명이인의 사망 소식을 듣고 딸에게 몰래 전화를 걸어 안심시키는 장면은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 존스/Jones (잭 카메론 케이) – 시즌 후반부에 새로 합류한 훈련병으로, 오초아의 사망 이후 카메론의 새로운 벙크메이트가 된다. 겉보기엔 엉뚱하고 자유분방하지만, 실제로는 수면장애(몽유병)를 이유로 의무전역을 요청 중인 인물이다. 군 당국으로부터 냉대받자 스스로 작은 반항과 장난을 일삼으며 시스템에 저항한다. 카메론은 점차 존스의 독특한 매력과 외모에 끌리게 되고, 두 사람 사이에는 미묘한 긴장감과 호감이 형성된다.
- 엘리스/Alice (트로이 리 앤 존슨) – 여성 훈련병으로, 훈련 중 부상을 입어 의무근무대에 오게된다. 같은 시기 부상으로 치료를 받던 레이와 처음 만나게 되며,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고 점차 가까워진다. 엘리스는 강인하면서도 따뜻한 성격으로, 레이가 자신을 몰아붙이던 완벽주의적 태도에서 벗어나 인간적인 여유를 찾도록 돕는다. 두 사람은 재활 훈련을 함께 하며 신뢰와 호감을 쌓고, 마지막 회에서는 서로 연락처를 주고받으며 로맨틱한 여운을 남긴다.
3.2. 교관진
- 리암 로버트 설리번 하사/Sergeant Liam Robert Sullivan[1] (맥스 파커) – 본작의 진 주인공. 미합중국 해병대 훈련교관이자 제2032신병교육소대의 부소대장. 미 해병대 특수수색대 출신으로 뛰어난 전투 감각과 판단력을 지닌 베테랑 교관이다. 상관들과 선배 교관들에게는 신뢰받고, 후배 교관과 훈련병들에게는 존경받는 인물로, 강한 규율 속에서도 인간적인 면모를 잃지 않는다. 그러나 냉철한 외면 뒤에는 복잡한 감정과 내적 갈등을 품고 있다. 본인 역시 동성애자로, 본인의 과거를 떠올리게 하는 카메론을 강하게 훈련을 밀어붙이며, 마치 과거의 자신에게 단련을 시키듯 혹독하게 대한다. 하지만 그 과정 속에서 카메론을 통해 잃어버렸던 자신의 정체성과 감정을 마주하게 되고, 결국에는 ‘군인으로서의 역할’과 ‘인간으로서의 진실된 자아’ 사이에서 깊은 내적 갈등을 겪는다.
- 맥키넌 중사/Staff Sergeant McKinnon[2] (세드릭 쿠퍼) – 제2032신병교육소대의 소대장이자 선임 훈련교관으로, 강인한 체격과 위압적인 카리스마를 지닌 인물이다. 훈련병들에게는 혹독하고 규율에 엄격한 교관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생활에서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면모를 가진 아버지로서의 모습도 보여준다. 아들의 출생 소식에 기뻐하며 부대에서 동료들과 함께 축하를 나누고, 힘든 야외 사격 훈련 후에는 훈련병들을 위해 직접 ‘고스트버스터즈’ 영화를 틀어주는 등 유머 감각도 지녔다. 냉정함과 인간미를 모두 갖춘 리더로, 작품 속에서는 ‘군인이라는 역할 이면의 따뜻한 인간성’을 상징한다.
- 하위트 하사/Sergeant Howitt (니콜라스 로건) – 제2032신병교육소대의 부소대장 겸 훈련교관이자 교관들 중에서도 가장 훈련병들을 많이 갈구는 스타일을 보여준다. 훈련병들의 한계를 시험하며 ‘진짜 해병’을 만든다는 신념을 갖고 있지만, 후배들과 해병대에 대한 진심이 깊고, 그 헌신으로 전에 근무하던 보병부대에서 분기 최우수 부사관상(NCO of the Quarter Award)을 수상한 경력도 있다. 그러나 오초아가 자신의 당직 때 사망한 사건 이후, 그 냉정함 뒤에 인간적인 죄책감과 회한을 드러낸다. 이후 산토스에게 가족과의 통화를 허락하며 “문제가 생기면 나에게 먼저 오라”고 말하는 장면은 그가 단순한 교관이 아닌, 냉정함 속의 진심을 지닌 인물임을 보여준다.
- 파하르도 대위/Captain Fajardo (아나 아요라) – 파리스 아일랜드 교육훈련단의 신병교육대장이자 제2032신병교육소대를 총괄 지휘하는 인물로, 교관진과 훈련병 모두에게 깊은 신뢰를 받는다. 통찰력과 공감 능력이 뛰어나며, 부하 교관들의 실수를 질책하기보다 성장의 기회로 삼게 하는 리더십을 보여준다. 맥키넌 중사에게는 자녀 출산 휴가를 허가하고, 하위트 교관에게는 오초아 사망 사건 이후 해명과 회복의 시간을 준다. 또한 설리번 하사가 사생활 문제로 조사를 받을 때, “그의 문신이 무엇이든 그것은 그의 일이다”라며 부하의 사생활을 존중한다. 규율 속에서도 인간적인 따뜻함을 잃지 않는 지휘관으로, 작품에서는 군인의 명예와 인격을 함께 지키는 이상적 리더상을 상징한다.
- 녹스 하사/Sergeant Knox (잭 로리그) – 전 제2032신병교육소대 부소대장이자, 현 제2033신병교육소대 부소대장. 첫 등장부터 버스에 타고 있던 신병들에게 사자후를 내지르며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훈련병들에게 공포로 복종을 유도하는 강압적 지도 방식을 사용했으며, 총기 수여식 중 레이가 웃었다는 이유만으로 피가 날 정도의 폭행을 가해 부상을 입히는 사건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보직 해임 처분을 받고, 그의 자리는 특수수색대에서 전입 온 설리번 하사가 이어받는다. 여태 등장한 교관들과 달리 교육자로서의 자질이 부족한 인물로, 그의 존재는 해병대 내에서 규율과 폭력의 경계, 그리고 참된 리더십의 의미를 되묻게 한다.
3.3. 기타
- 바버라 코프/Barbara Cope (베라 파미가) – 카메론 코프의 어머니. 겉으로는 세련되고 사교적인 인물이지만, 실제로는 다소 자기중심적이며 통제적인 면모를 보인다. 아들을 언제나 자신의 관리 아래 두려는 전형적인 헬리콥터 맘으로, 카메론의 결정을 존중하기보다 본인의 기준에 맞추려는 성향이 강하다. 어린 시절부터 아들을 동정의 대상으로 이용하며, 때로는 거짓말을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포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밑바탕에는 역경 속에서도 살아남으려는 생존 본능과, 사회적 압박 속에서 모성애와 자존심 사이에서 흔들리는 복합적인 감정이 깔려 있다. 카메론이 미 해병대에 입대하겠다고 했을 때 처음에는 무심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결국에는 아들의 선택을 인정하고 “무엇이 되든, 넌 내 아들이다”라고 말하며 진심을 드러낸다.
- 윌킨슨 소령/Major Wilkinson (사친 바트) – 미합중국 해병대 장교로, 과거 설리번 하사가 괌에 근무하던 시절의 연인이었다. 당시 미군 내에서는 동성애가 불법으로 간주되던 시기였으며, 두 사람의 관계는 철저히 비밀에 부쳐져야 했다. 그러나 윌킨슨 소령의 성 정체성이 발각되자, 설리번 하사는 괌을 도망치듯 떠나 신병교육대 훈련교관으로 자원 전출하게 된다. 이후 사건이 확대되면서 해군범죄수사단(NCIS)이 파견되어 설리번을 조사하게 되고, 윌킨슨 소령은 성군기 위반 혐의로 구속된다.
- 마이트라 하사/Sergeant Rob Maitra (보 머초프) – 미 해병대 특수수색대 출신으로, 설리번 하사의 절친한 동기이자 과거 전우였다. 두 사람은 특수수색대에서 함께 임무를 수행했으며, 마이트라의 결혼식에서는 설리번이 베스트맨으로 참석해 축가를 부를 정도로 깊은 우정을 나눴다. 그러나 마이트라는 동성애에 대한 강한 혐오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윌킨슨 소령의 성 정체성을 알게 되자 이를 내부에 고발한다. 그의 행동으로 인해 윌킨슨은 성군기 위반 혐의로 구속되고, 설리번 역시 해군범죄수사단의 조사를 받게 된다.
- 핏오스키 하사/Sergeant Pitowski (브렛 돌턴)[3] – 미합중국 해병대 모병관으로, 카메론의 입대를 담당한 인물. 차분하지만 단호한 태도로 지원자와 가족을 상대하며, 해병대의 명예와 절차를 철저히 지키는 인물로 묘사된다. 바버라가 아들을 집으로 돌려보내 달라며 모병 사무실을 찾아왔을 때, 그는 규정상 불가능하다고 정중히 설명하며 단호한 대응을 보이며 아들을 한번 믿어보라고 설득을 한다. 그러나 이후 바버라와 개인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아이러니하게도 아들의 안전을 염려하던 어머니와 일시적인 관계를 이어간다.
4. 에피소드
| 회차 | 제목 | 내용 |
| 1 | The Pink Marine(핑크 마린) | 진지한 십대 카메론은 어머니 몰래 절친 레이를 따라 충동적인 결정을 한다. 바로 해병대 신병 훈련소의 혹독한 시련을 겪기로 한 것. |
| 2 | The Buddy System(버디 시스템) | 훈련 과정에서 카메론과 레이의 우정이 시험에 든다. 형제 사이인 존과 코디는 파리스 아일랜드 훈련소까지 이어진 가족의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
| 3 | The Confidence Course(자신감 강화 훈련) | 카메론은 자신감 강화 훈련 코스에서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더 깊이 파고든다. 대원들은 뒤늦게 합류한 신병을 맞이하고, 바버라는 동정심을 자극하는 것의 이점이 있음을 깨닫는다. |
| 4 | Sink or Swim(죽기 아니면 살기) | 혹독한 수영 훈련 주간. 레이는 물 위에 떠 있는 것조차 힘들어한다. 카메론은 레이가 가라앉지 않게 계속 버틸 수 있도록 위험한 계획을 세운다. |
| 5 | Bullseye(과녁의 정중앙) | 소총 사격 훈련에 나선 카메론과 신병들. 목표물을 명중시켜야 한다는 압박 속에 감정이 고조된다. 설리번 하사는 전혀 다른 조준선 안에 놓이게 된다. |
| 6 | The Things We Carry(우리가 짊어진 무게) | 해병이 되는 대가를 마주한 대원들은 힘든 마음과 싸운다. 파하르도 대위는 맥키넌 중사에게 상황을 전달하고, 병영 식당은 말 그대로 난장판이 된다. |
| 7 | Love Is a Battlefield(사랑은 전쟁이다) | 전투 훈련이 시작되면서 잔혹한 심리전으로 한 신병이 한계에 내몰린다. 규율 위반이 부대 내 불화를 불러일으킨다. |
| 8 | The Crucible(극기주) | 최종 테스트를 마주하는 신병들. 극기주는 그들의 인내심을 한계까지 몰아붙인다. 결승선을 통과하는 유일한 길은 형제애뿐이다. |
5. 평가
| |
| 유저 평점 7.9/10 |
| | |
| 신선도 89% | 관객 점수 91% |
넷플릭스 드라마 부트캠프는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미 해병대 신병훈련소의 분위기와 구조를 사실적으로 재현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단순한 군사 드라마가 아니라 훈련병과 교관들의 인간적인 서사, 그리고 서로에 대한 공감과 성장을 중심으로 한 서정적인 접근이 인상적이라는 평이 많다. Rotten Tomatoes에서는 약 89%의 비평가 지지율을 기록했고, IMDb 리뷰들 또한 “신병으로서의 감정적 혼란과 두려움을 현실적으로 담아냈다”는 평가를 남겼다. 작품은 남성성과 규율, 정체성과 용기라는 주제를 해병대라는 극한의 환경 속에 녹여내며 동성애자 병사 설리번과 주인공 카메론의 관계를 통해 군대 내 금기와 내면적 갈등을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다만 일부 평론가들은 실제 해병대의 규율이나 시스템이 다소 단순화되어 표현되었다고 지적했지만, 대체로 이 시리즈가 훈련소라는 폐쇄적 공간 속에서도 인간적인 감정과 연대, 자아 발견을 따뜻하게 그려낸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6. 기타
- 이 드라마는 그렉 코프 화이트(Greg Cope White)의 자전적 소설 《The Pink Marine》을 원작으로 하며, 원작자는 실제 미 해병대 출신이다.
- 주인공 카메론 코프(Cameron Cope) 역의 마일즈 하이저(Miles Heizer)와 리암 설리번 하사(Sergeant Liam Sullivan) 역의 맥스 파커(Max Parker)는 모두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임을 커밍아웃한 배우들이다. 이 점은 작품 속 정체성과 용기의 주제를 한층 더 진정성 있게 표현하는 데 기여했다.
- 방영 이후, 펜타곤 대변인은 넷플릭스를 “woke garbage”라고 표현하며 넷플릭스의 방향성을 강하게 비난했다.[4]
- 대한민국 해병대는 미 해병대를 모티브로 창설된 부대이기 때문에, 훈련 과정과 조직 구조, 그리고 정신 문화가 매우 유사하다. 드라마에서도 실제 미 해병대의 교관 문화가 그대로 재현되어, 부니햇을 착용한 DI들이 등장한다. 반면 한국 해병대에서는 '극기주를 완수하면 미국의 ‘앵카(Anchor)’ 대신 빨간명찰을 수여하며, 한국 해병대 훈련교관들은 부니햇 대신 흰색 하이바(White Helmet)를 착용하고, 여기에 군화에 차는 쇠링을 더해 독자적인 전통과 상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두 해병대의 근본적인 정신적 유사성 속에서도, 한국 해병대만의 강인한 개성과 문화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 설리번 하사는 작품 내에서 제3해병원정군 산하 제3수색대대(3rd Reconnaissance Battalion) 출신으로 묘사된다. 괌이 소속된 태평양이 실제 제3수색대대의 주둔지이기 때문에, 설리번 하사가 괌에서 근무하다 사건 이후 훈련교관으로 전속되었다는 설정은 현실적 기반을 갖는다. 제3수색대대는 실제로 대한민국 해병대 수색대와 가장 자주 연합훈련을 실시하는 부대이기도 하며, 이 점이 작품 내 미군 문화와 한국 해병대 문화의 유사성을 강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