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6 시즌 구단별 홈구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 | 레드불 아레나 | 바이 아레나 |
메바 아레나 | 보루시아 파르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 알리안츠 아레나 | |
보닌베스트 베저슈타디온 | 폭스바겐 아레나 | MHP 아레나 | |
WWK 아레나 | 슈타디온 안 데어 알텐 푀르스테라이 |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 |
라인에네르기 슈타디온 |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 파일:Europa-Park Stadion 1.bundesliga 2025-26 logo(80x64).png | 도이체 방크 파르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Deutsche Bank Park 1.bundesliga 2025-26 logo(80x64).png | |
포이트 아레나 파일:Voith-Arena 1.bundesliga 2025-26 logo(80x64).png | 폴크스파르크 슈타디온 | 프리제로 아레나 | |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경기장 |
<nopad> | |
SV 베르더 브레멘 | |
베저슈타디온 Weserstadion | |
<colbgcolor=#01A769><colcolor=#fff> 위치 | 독일 브레멘 |
개장 | 1947년 |
보수 |
|
수용인원 | 국내경기 - 42,100석 / 국제경기 - 37,441석 |
그라운드 크기 | 105 x 68m |
그라운드 표면 | 천연잔디 |
홈 구단 | SV 베르더 브레멘 (1947~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일부 경기) |
1. 개요
베저슈타디온은 브레멘에 위치한 경기장이다. 현재 SV 베르더 브레멘이 홈구장으로 사용중이다. 베저강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공원인 그린 파크가 주변에 있다.2006년 월드컵때 사용될뻔 했으나 결국 사용되지 않았다.[1]
태양광 패널과 높이 솟은 조명탑의 인상적인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베저강과 어우러져 야경이 아름다운 구장중 하나이다. 구장 운영은 이 패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2. 역사
베저슈타디온이 지어지기 이전에 1909년 ABTS-캄프반이라는 스포츠 경기장이 지어졌다. 당시에는 SV 베르더 브레멘과 브레머 SV가 함께 경기장을 사용했다.나치 독일 아래서 브레머 캄프반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로 나치당의 체제 선전을 위해 사용되다가 제2차 세계대전기간동안에는 대공포 3대가 설치되기도 했다.
전쟁이 끝나고 1947년 현재의 명칭을 가진 경기장이 개장했다. 당시에는 종합운동장으로 지어졌으며 트랙이 있었다. 여러 개/보수를 통해 시설을 최신화했으며 특히 1978년에 설치된 조명탑은 당시 유럽의 축구경기장중 가장 강력한 조명이었다.
2006년 독일월드컵을 위해 2002년에 트랙을 제거하고 수용인원을 늘렸다. 2008년에는 다시 재건축해 외관에 태양광 발전패널을 설치했으며 지붕을 다시 설치했다.
2009년 또한번 경기장을 확장해 수용인원을 5만명까지 늘릴 계획이었으나 2008-09시즌 팀이 또한번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 실패하며 자금문제로 무산되었다. 그래도 종합 경기장에서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전환되었다.
3. 여담
2007년 재건축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네이밍 스폰서를 구했고, 독일의 부동산 그룹인 보닌페스트와 계약하며 2007년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 보닌페스트 베저슈타디온이라고 불렸다. 원래 계약은 2029년까지였으나 보닌페스트가 파산하며 계약이 조기종료되었다.베르더의 주요 스폰서인 마타이, 하랄트 필 GmbH, 비젠호프, 골트슈마우스 네 기업이 새롭게 경기장 스폰서로 참여하며 의도적으로 구장 명명권을 포기했다. 따라서 최소한 2030년까지는 현재의 명칭으로 유지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