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2 16:14:11

베를린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연방의회선거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선거구 제80구
Wahlkreis 80: Berlin-Tempelhof - Schöneberg
}}}
파일:Bundestagswahlkreis_80-2025.svg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229,228명 (2025)
상위 주 베를린
하위 행정구역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전체
연방의원

모리츠 호이베르거


1. 개요

독일 베를린 주의 연방의회 선거구. 2021년 제20대까지는 선거구 번호 81번이었으나, 2025년 제21대부터 80번으로 변경되었다.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전체를 관할한다.

베를린의 대표적인 경합선거구이다. 2002년에 선거구가 생긴 후로[1] 현재까지 지역구에서 사민당이 4번, 기민련이 3번, 녹색당이 1번 당선되었다. 3당의 득표율이 매번 5~10% 차이로 촘촘히 늘어서서 거의 차이가 안나게 치열한 경쟁을 반복하는 곳이다.

또한 통일 이전 서베를린 시절에 시청 건물로 사용한 역사가 있는 쇠네베르크 구청(Rathaus Schöneberg)이 위치한 지역구라서 중장년 층에게는 서베를린 정치의 상징적인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

시내와 가까운 템펠호프, 쇠네베르크, 프리데나우 구역과 그밖의 변두리 지역, 즉 마리엔도르프, 마리엔펠데, 리히텐라데의 지지율 분포가 대조적인 지역구이다. 2025년 21대 비례대표 결과를 분석해 보면, 템펠호프 북부, 쇠네베르크 서부, 프리데나우에서는 녹색당이 1위를, 템펠호프 남부, 쇠네베르크 동부에서는 좌파당이 1위를, 그밖의 변두리 지역에서는 기민련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사민당은 거의 모든 투표소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최종 3위를 차지했다. 구 전역의 득표를 합산한 결과 기민련이 1955표(1.0%) 차이로 1위를 기록했다.

지역구 결과를 살펴보면, 시내와 가까운 템펠호프, 쇠네베르크, 프리데나우 전역에서 녹색당 모리츠 호이베르거 후보가 우세를 보였고, 기민련 얀 마르코 루차크 후보는 변두리 지역에서 마찬가지로 강세를 보였다. 결과를 합산한 결과 호이베르거가 단 66표(0.1%)차이로 1위를 기록하며 당선되었다.[2]

사민당은 2021년 제20대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고, 전국적인 사민당의 침체에 더해서 현역의원이자 사민당 사무총장 케빈 퀴너트가 건강상의 문제로 정계은퇴를 선언한 것이 큰 영향을 끼쳤다.

좌파당은 정당득표 17.3%를 기록하며 상당한 가능성을 보였고, AfD는 평균 수준의 득표를 보여주고 있다.

2. 역대 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74구 75구 76구 77구 78구
한나 슈타인뮐러 율리아 슈나이더 마르빈 슐츠 헬무트 클레방크 아드리안 그라세
79구 80구 81구 82구 83구
루카스 크리거 모리츠 호이베르거 페라트 코차크 파스칼 마이저 그레고르 기지
84구 85구
고트프리트 퀴리오 이네스 슈베르트너
비례 1 비례 3 비례 4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로날트 글라스너 제바스티안 마크
비례 1 비례 2
리자 파우스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비례 3 비례 5
카탈린 겐부르크 스텔라 메레디노
비례 1 비례 2
얀-마르코 루차크 오틸리 클라인
비례 1 비례 2 비례 3
루퍼트 슈튀베 안니카 클로제 하칸 데미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베를린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전체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모리츠 호이베르거 45,639 24.7% 1위 36,909 19.9% 2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얀 마르코 루차크 45,573 24.6% 2위 38,864 20.9% 1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비례 당선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시넴 타샨-풍케 37,934 20.5% 3위 32,850 17.7% 3위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스타니슬라프 유르크 22,399 12.1% 4위 32,120 17.3% 4위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프랑크-크리스티안 한젤 20,626 11.1% 5위 20,986 11.3% 5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악셀 베링 4,986 2.7% 6위 7,145 3.8% 7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니코 포쉰스키 4,467 2.4% 7위 2,615 1.4% 8위
'''
동물보호당
'''
아흐마드 이스칸더 1,810 1.0% 8위 609 0.3% 11위
'''
Todenhöfer
'''
프란치스카 토마스 819 0.4% 9위 - - -


크리스티안 리베람 532 0.3% 10위 251 0.1% 15위
'''
독일 연합
'''
클라우스 피멘 233 0.1% 11위 93 0.1% 17위
'''
BüSo
'''
- - - - 9,521 5.1% 6위


- - - - 1,613 0.9% 9위
'''
Volt
'''
- - - - 1,011 0.5% 10위


- - - - 458 0.2% 12위


- - - - 289 0.2% 14위
'''
PdF
'''
- - - - 246 0.1% 16위
'''
MERA25
'''
- - - - 61 0.0% 18위
'''
MLPD
'''
- - - - 42 0.0% 19위
'''
SGP
'''
유효표 185,018 185,683
무효표 1,820 1,155
총 투표수 186,838 186,838
투표율 81.5% 81.5%
결과


획득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획득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75구 76구 77구 78구 79구
한나 슈타인뮐러 슈테판 겔프하르 모니카 그뤼터스 헬무트 클레방크 토마스 하일만
80구 81구 82구 83구 84구
미하엘 뮐러 케빈 퀴너트 하칸 데미르 자난 바이람 그레고르 기지
85구 86구
마리오 차야 게지네 뢰치
비례 1 비례 2 비례 3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레나테 퀴나스트 리자 파우스
비례 4 비례 5
안니카 클로제 루퍼트 슈튀베
비례 6 비례 7
다니엘라 클루커트 크리스토프 마이어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비례 11 비례 12
고트프리드 퀴리오 괴츠 프뢰밍 베아트릭스 폰 슈토히 오틸리 클라인 얀-마르코 루차크
비례 13
페트라 파우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베를린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전체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케빈 퀴너트 45,220 26.7% 1위 41,215 24.3% 2위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레나테 퀴나스트 42,680 25.2% 2위 42,791 25.3% 1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얀 마르코 루차크 37,902 22.4% 3위 31,751 18.8% 3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비례 당선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라르스 린데만 12,041 7.1% 4위 15,633 9.2% 4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알렉산더 킹 10,177 6.0% 5위 12,706 7.5% 5위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프랑크-크리스티안 한젤 10,013 5.9% 6위 10,921 6.4% 6위


마르틴 울리히 4,061 2.4% 7위 3,736 2.2% 7위
'''
동물보호당
'''
마리 가이슬러 2,313 1.4% 8위 2,009 1.2% 9위


카르스텐 바플러 1,808 1.1% 9위 - - -
'''
dieBasis
'''
마리오 로데 1,567 0.9% 10위 1,449 0.9% 11위


알렉산더 슈피스 849 0.5% 11위 644 0.4% 13위


키르스텐 얘켈 406 0.2% 12위 310 0.2% 15위
'''
ÖDP
'''
사힌 아즈박 301 0.2% 13위 - - -
'''
Menschliche Welt
'''
토마스 슈파이히 118 0.1% 14위 98 0.1% 20위
'''
LKR
'''
- - - - 2,350 1.4% 8위
'''
Todenhöfer
'''
- - - - 1,377 0.8% 10위
'''
Die Grauen
'''
- - - - 1,094 0.6% 12위
'''
Volt
'''
- - - - 325 0.2% 14위
'''
Gesundheitsforschung
'''
- - - - 233 0.1% 16위
'''
Die Humanisten
'''
- - - - 226 0.1% 17위
'''
du.
'''
- - - - 126 0.1% 18위
'''
V-Partei
'''
- - - - 117 0.1% 19위
'''
DKP
'''
- - - - 84 0.0% 21위
'''
NPD
'''
- - - - 66 0.0% 22위
'''
BüSo
'''
- - - - 41 0.0% 23위
'''
MLPD
'''
- - - - 36 0.0% 24위
'''
SGP
'''
유효표 169,456 169,338
무효표 2,613 2,731
총 투표수 172,069 172,069
투표율 74.3% 74.3%
결과


획득



획득


[1] 2002년 이전 선거구 역사를 살펴보면, 템펠호프 지역은 1990년 제12대에 베를린 템펠호프 - 쥐트오스트-슈테글리츠 선거구에 속했고, 지역구에서 기민련 후보가 당선되었다. 1994년 제13대부터 1998년 제14대까지는 또 선거구 획정이 바뀌어 베를린 템펠호프 (단독) 선거구가 되었고, 지역구에서 1994년에는 기민련 후보가, 1998년에는 사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반면 쇠네베르크 지역은 1990년 제12대부터 1998년 제14대까지 쭉 베를린 크로이츠베르크 - 쇠네베르크 지역구에 속했는데, 지역구에서 1990년에는 기민련 후보가, 1994년과 1998년에는 사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2] 아이러니는, 2002년 제15대부터 2021년 제20대까지 이 지역구에 연속 도전했지만 한번도 당선되지 못하고 매번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던 레나테 퀴나스트(Renate Künast)가 정계은퇴 하자마자 다음세대 녹색당 후보 호이베르거가 당선되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