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06:07:57

베를린 미테구 연방의회선거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선거구 제74구
Wahlkreis 74: Berlin-Mitte
}}}
파일:Bundestagswahlkreis_74-2025.svg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207,445명 (2025)
상위 주 베를린
하위 행정구역 미테구 전체
연방의원

한나 슈타인뮐러


1. 개요

독일 베를린 주의 연방의회 선거구. 2021년 20대 선거까지는 선거구 번호 75번이었으나, 2025년 21대부터 74번으로 변경되었다. 미테구 전체를 관할한다.

미테구는 옛 동베를린이었던 미테 구역과 옛 서베를린이었던 모아비트, 한자피어텔, 티어가르텐, 베딩, 게준트브루넨을 합친 자치구이기 때문에 각 구역의 역사와 정치적 성향도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따라서 세부 내용을 분석하기 까다로운 지역구라고 할수 있다. 게다가 독일 중앙정치 현장 한복판이기 때문에 중앙정치 구도와 현안에 따라 표심이 많이 출렁이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 선거구는 2002년 제15대 선거를 앞두고 새롭게 획정되었다.[1] 제15대부터 2017년 제19대까지 지역구에서 한번도 빠짐없이 사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2010년대까지는 전통적으로 동베를린의 역사를 물려받은 미테에서는 좌파당이 높은 득표율을 올렸고, 나머지 옛 서베를린 지역들에서는 사민당녹색당 지지율이 높게 나왔다. 그것을 합친 최종 결과에서는 지역구는 대개 사민당이 차지하고 비례대표 정당득표는 팽팽한 대결 속에 사민당과 녹색당에게 많은 표가 모였다.

그러나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주도권은 녹색당에게 넘어갔다고 볼수 있다. 녹색당 한나 슈타인뮐러가 2021년 제20대부터 현재까지 지역구 의원 자리를 지키고 있고, 2025년 제21대에서 정당득표 1위를 좌파당에 내주긴 했지만, 구청장, 주의회의원 등에서 여전히 가장 강력한 정치적 기반을 갖고 있다고 봐야 한다. 2025년 정당득표를 봤을때 미테, 한자플라츠, 모아비트 남부 등에서는 여전히 녹색당이 1위를 차지했다.

좌파당은 2017년 제19대에서 한번 정당득표 1위를 기록한 적이 있지만, 2021년 제20대에서는 3위로 곤두박질쳤다. 그러나 2025년 제21대에서 좌파당이 정당득표 1위를 되찾았는데, 이전까지 침체를 면치 못하던 옛 서베를린 지역 중 상당히 많은 곳에서 정당득표 1위를 기록했다. 특히 베딩, 게준트브루넨, 모아비트 북부 지역에서 정당득표 1위를 차지한 데 힘입은 것이었다. 지역구 선거에서도 정치에 입문한지 2년밖에 안되는 후보 스텔라 메렌디노가 녹색당 현역의원 한나 슈타인뮐러를 1.3% 차이로 위협하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프리드리히스하인·크로이츠베르크와 마찬가지로 기민련AfD는 바닥을 길 정도로 참패하고 있다.

2. 역대 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74구 75구 76구 77구 78구
한나 슈타인뮐러 율리아 슈나이더 마르빈 슐츠 헬무트 클레방크 아드리안 그라세
79구 80구 81구 82구 83구
루카스 크리거 모리츠 호이베르거 페라트 코차크 파스칼 마이저 그레고르 기지
84구 85구
고트프리트 퀴리오 이네스 슈베르트너
비례 1 비례 3 비례 4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로날트 글라스너 제바스티안 마크
비례 1 비례 2
리자 파우스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비례 3 비례 5
카탈린 겐부르크 스텔라 메레디노
비례 1 비례 2
얀-마르코 루차크 오틸리 클라인
비례 1 비례 2 비례 3
루퍼트 슈튀베 안니카 클로제 하칸 데미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베를린 미테구
미테구 전체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한나 슈타인뮐러 40,672 25.3% 1위 34,920 21.7% 2위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스텔라 메렌디노 38,521 24.0% 2위 43,614 27.1% 1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안니카 클로제 26,816 16.7% 3위 24,189 15.0% 3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라세 한젠 22,933 14.3% 4위 21,678 13.5% 4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옌스-헤르만 프리그니츠 13,706 8.5% 5위 14,291 8.9% 5위


세빔 다델렌 8,012 5.0% 6위 9,794 6.1% 6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안드레아스 샤우마이어 4,586 2.9% 7위 6,422 4.0% 7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엘케 바이후젠 1,808 1.1% 8위 1,558 1.0% 9위
'''
동물보호당
'''
마르틴 폴만 1,485 0.9% 9위 973 0.6% 10위


오마르 엘자인 749 0.5% 10위 526 0.3% 11위
'''
Todenhöfer
'''
멜라니 슈바이처 658 0.4% 11위 389 0.2% 12위
'''
MERA25
'''
알렉산더 프라이탁 471 0.3% 12위 297 0.2% 13위


요하네스 브라운 201 0.1% 13위 168 0.1% 15위
'''
독일 연합
'''
안네그레트 회커 131 0.1% 14위 85 0.1% 16위
'''
MLPD
'''
크리스토프 판트라이어 73 0.0% 15위 55 0.0% 17위
'''
SGP
'''
- - - - 1,786 1.1% 8위
'''
Volt
'''
- - - - 218 0.1% 14위
'''
PdF
'''
- - - - 23 0.0% 18위
'''
BüSo
'''
유효표 160,822 160,986
무효표 1,043 879
총 투표수 161,865 161,865
투표율 78.0% 78.0%
결과


유지



획득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75구 76구 77구 78구 79구
한나 슈타인뮐러 슈테판 겔프하르 모니카 그뤼터스 헬무트 클레방크 토마스 하일만
80구 81구 82구 83구 84구
미하엘 뮐러 케빈 퀴너트 하칸 데미르 자난 바이람 그레고르 기지
85구 86구
마리오 차야 게지네 뢰치
비례 1 비례 2 비례 3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레나테 퀴나스트 리자 파우스
비례 4 비례 5
안니카 클로제 루퍼트 슈튀베
비례 6 비례 7
다니엘라 클루커트 크리스토프 마이어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비례 11 비례 12
고트프리드 퀴리오 괴츠 프뢰밍 베아트릭스 폰 슈토히 오틸리 클라인 얀-마르코 루차크
비례 13
페트라 파우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베를린 미테구
미테구 전체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한나 슈타인뮐러 42,443 30.6% 1위 42,486 30.6% 1위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안니카 클로제 30,611 22.1% 2위 28,881 20.8% 2위


비례 당선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마르틴 나이제 19,764 14.3% 3위 19,610 14.1% 3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오틸리 클라인 19,216 13.9% 4위 16,526 11.9% 4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비례 당선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안나 크리찬 8,448 6.1% 5위 11,040 8.0% 5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7,632 5.5% 6위 7,810 5.6% 6위


비례 당선
마르틴 폴만 2,785 2.0% 7위 2,271 1.6% 9위


게오르크 참바지스 2,700 1.9% 8위 2,473 1.8% 8위
'''
동물보호당
'''
비비아네 피셔 1,809 1.3% 9위 - - -
'''
dieBasis
'''
발레리 이르바니 1,290 0.9% 10위 1,216 0.9% 10위
'''
Volt
'''
토르스텐 슈발트 809 0.6% 11위 579 0.4% 13위


율리아네 뫼어젤 396 0.3% 12위 333 0.2% 14위
'''
Die Humanisten
'''
리하르트 보어만 199 0.1% 13위 203 0.1% 17위
'''
ÖDP
'''
아네그레트 회커 193 0.1% 14위 88 0.1% 20위
'''
MLPD
'''
아이만 체비안 162 0.1% 15위 - - -


루돌프 프리츠 81 0.1% 16위 63 0.0% 22위
'''
LKR
'''
미하엘 필쉬 56 0.0% 17위 - - -


- - - - 2,746 2.0% 7위
'''
Todenhöfer
'''
- - - - 811 0.6% 11위
'''
Die Grauen
'''
- - - - 746 0.5% 12위


- - - - 245 0.2% 15위
'''
du.
'''
- - - - 209 0.2% 16위
'''
Gesundheitsforschung
'''
- - - - 196 0.1% 18위
'''
DKP
'''
- - - - 111 0.1% 19위
'''
V-Partei
'''
- - - - 78 0.1% 21위
'''
NPD
'''
- - - - 42 0.0% 23위
'''
SGP
'''
- - - - 36 0.0% 24위
'''
BüSo
'''
유효표 138,594 138,799
무효표 2,061 1,856
총 투표수 140,655 140,655
투표율 67.9% 67.9%
결과


획득



획득


[1] 2002년 이전, 즉 1990년 제12대부터 1998년 제14대까지는 미테 구역은 베를린 미테 - 프렌츨라우어베르크 선거구에 속했으며, 지역구에서는 1990년에는 사민당 후보가, 1994년과 1998년에는 좌파당의 전신인 PDS 후보가 당선되었다. 반면 미테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옛 서베를린 지역(모아비트, 티어가르텐, 베딩, 게준트브루넨)은 베를린 티어가르텐 - 베딩 - 노르트-샤를로텐부르크 지역구에 속했는데, 1990년에는 기민련 후보가, 1994년과 1998년에는 사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