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3:17:17

바늘(Fear & Hunger 시리즈)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8><table align=center><tablebgcolor=#000><color=#fff><table width=500px><table bordercolor=#000>
파일:피헝2로고.png
관련 문서
등장인물 () · · 헥센 · 아이템 · 지역 · 스토리
{{{#!wiki style="margin: -11px -1px; font-size: min(0.926em, 2.8vw);" 플레이어블 참가자
파일:피앤헝 리바이 LD.webp파일:피앤헝 마리나 LD.webp파일:피앤헝 단 LD.webp파일:피앤헝 아벨라 LD.webp파일:피앤헝 오사 LD.webp파일:피앤헝 올리비아 LD.webp파일:피앤헝 마르코 LD.webp파일:피앤헝 카린 LD.webp
전직 군인
레비
오컬티스트
마리나
의사
기계공
아벨라
황마법사
오사
식물학자
올리비아
건달
마르코
기자
카린
}}}
{{{#!wiki style="margin: -11px -1px; font-size: min(0.926em, 2.8vw);" 논 플레이어블 참가자
파일:피앤헝 파브 LD.webp파일:피앤헝 어거스트 LD.webp파일:피앤헝 칼리구라 LD.webp파일:피앤헝 다나카 일러스트.webp파일:피앤헝 사마리 일러스트.png파일:피앤헝 헨릭 LD.webp
브레멘 장교
파브
수상한 남자
어거스트
마피아 보스
칼리구라
샐러리맨
타나카
어둠의 사제
사마리
요리사
헨릭
}}}

바늘
Needles
파일:바늘 전투.webp파일:바늘 총.webp파일:바늘 SD.webp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4. 보스전5. 여담

[clearfix]

1. 개요

바늘은 왈츠를 추며 당신에게 접근한다...

Fear & Hunger 2: Termina에 등장하는 보스몹.

2. 특징

프레헤빌 도심 내에서 발견 가능한 중간 보스에 위치하는 보스. 프리헤빌 도심보다 벙커 7을 처음으로 먼저 들어갔을 시 확정적으로 등장하고, 벙커에서 조우하든 하지 않았든 이후 프리헤빌 도심 안에서 플레이어를 쫓아 종종 난입해온다. 의사라는 컨셉과 달리 하는 행동을 보면 상당히 광대 같은데, 맵을 오갈 때 멀리서 낄낄대는 소리가 들린다 하면 바늘이 해당 맵에서 플레이어를 추격한다는 뜻이고 그 외에도 전투 돌입 시 왈츠를 흥얼거리거나 웃음소리를 내는 연출이 존재한다. 게임 상 몇 없는 목소리가 나오는 캐릭터이기에 더욱 공포심이 극대화 된다.

3. 작중 행적

3.1. Fear & Hunger 2: Termina

3.1.1. 등장

프리헤빌 도심보다 벙커 7을 처음으로 먼저 들어갔을 시 확정적으로 등장한다. 이 외에도 여러 곳에서도 출현하고, 7번 벙커에서 출현시 타나카를 참수시키는 컷신이 나온다. 다나카가 바늘에게 사망하면 바늘은 다나카의 모자를 쓰고 등장한다. 이후 2일차 아침에는 마리나를 살해하고 그녀의 얼굴 가죽을 뒤집어 쓴다.

3.1.2. 패배시

패배할 경우, 터널 7에서 모종의 이벤트를 보고 다시 게임을 진행 할 수 있다. 단, 영입한 동료들은 모두 사망 처리되며 프레헤빌 도심 곳곳에서 처참히 살해된 상태로 발견된다. 레비와 마리나는 참수 당해서 머리가 울타리에 꽂혀있고[1], 단은 등에 칼이 여러 개 꽂혀있으며, 아벨라는 십자가형을 당한 듯이 죽어있다. 또한 마르코는 엎어진 채 죽어있고, 오사와 카린은 사지가 잘렸는데 이 중 카린은 플레이어를 향해 기어오다 사망한다. 가장 끔찍하게 죽은 것은 올리비아로 휠체어에는 하반신만 남아있고 팔, 상반신, 머리 순으로 잘려있다.
====# 과의 관계 #====
단으로 플레이 할 경우, 바늘의 정체에 대해 추측이 가능해지는데 위의 바느질을 미리 진단한 상태에서 진단 스킬을 사용하면 단의 장인어른인 '아이너 폰 더치'가 떠오를 정도로 닮았다고 말한다. 단이 동료일 때는 진단 중 바늘의 정체를 알아차리고는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하며 자신의 착각일 것이라고 계속 되뇌인다. 전투시 플레이어가 단이거나 파티에 단이 있을 경우 바늘 역시 그를 의식하는 듯한 묘사가 나온다.[2]

왜 론돈 왕국에서 사망한 아이너와 엘리제가 프레헤빌에서 미치광이 살인마가 되어 활보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유황 신과 모종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폰 더치 남작 일가는 유황 신의 의식을 치르다가 사망했고, 껍데기만 남기고 떠난 레르 대신 테르미나 축제를 주최하는 페르켈레는 유황 신을 섬기며, 아이너 폰 더치가 프레헤빌에 대한 기록을 남겼기 때문이다. 그와는 별개로 실비안의 마법인 사랑의 속삭임을 사용한다는 점이나, 육신의 혼인을 연상시키는 꿰메붙이기 등에서는 실비안의 영향력도 의심된다. 단이 남작가에서 지낼 때 실비안의 의술을 남작에게 전수해 준 것을 고려해보면 그때 같이 배운것일 수도 있다.

4. 보스전

신체 부위체력타격베기관통기타회피마법 회피저항
머리300100%100%100%110%100%75%없음없음
몸통2400(6000)없음
몸통(부패)1400(3500)
오른팔1000
왼팔1000
오른팔(총)1000
왼팔(총)1000
오른다리800
왼다리800
공포증 질병 공포증
오버월드
체력 14(+1)
상호작용
수색 시 훔치기 시[랜덤] 뇌꽃 심장꽃 장기 적출 탐식 머리 수급 강령술
헤로인 3개 (헤로인)
(흙빛 진주 2개)
성공 성공 성공 성공 바늘의 수급 실패

중간 보스 포지션에 있기에 처리하기 상당히 까다로운 난적이다. 필드에서 처리하려 하면 곰덫이나 부비트렙으로는 사지 절단 및 즉사에 면역이며 오버월드 체력도 14인등[4] 꽤 높은 맷집을 보인다. 덫에 걸리면 부위 파괴는 일어나지 않지만 덫에 위치가 고정 되어버린다.

기본적으로 오른손에는 출혈과 감염을 유발하는 주삿바늘 채찍, 왼손에는 감염과 동전 패턴을 담당하는 하나의 주사기를 들고 있다. 동전 패턴은 파티원 하나를 전투 내내 행동 불능 상태로 만드는 마비 주사. 1인 파티라면 동전 패턴에 걸릴 시 사실상 패배 확정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만약 팔을 절단하고자 한다면 둘 다 한번에 못 잘랐을 시 문서 상단 가운데 사진 처럼 남은 팔 한쪽으로 총을 꺼내드니 주의하자.[5] 출혈은 덤으로 주면서 통상 패턴보다 대처하기 까다로운 깡딜을 쏴재끼므로 동시에 팔 절단이 불가능할 경우 안 자르니만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리여리한 생김새와 달리, 몸통과 사지의 체력은 꽤 높은 편이다. 다만 머리는 잡몹 수준보단 높지만 그래도 상대적으로 덜 단단한 편이므로 잡고자 한다면 다른 곳보다는 머리만 노리는 게 좋다. 곰덫을 통한 다리 파괴는 불가능하지만 머리 회피율이 희한하게도 남들보다 조금 낮은 편이고, 특히 마법 회피가 전무하기에 마법을 배워뒀다면 다리를 무시한 채 그대로 머리를 저격할 만 하다. 또한 마법이 없더라도 총을 꺼내들지 않았을 경우 양 팔의 패턴의 대미지 자체는 의외로 낮은 편이기에 몸통을 노리기보다는 머리를 맞을 때까지 계속 공격한다면 생각보다 쉽게 잡을 수 있다. 쌓이는 피해가 부담스럽다면 유리 조각을 머리에 던지고 나서 상대해도 할만하다. 파이프 폭탄, 장식용 랜턴같은 고화력 광역 공격 아이템으로 머리를 날려버리거나 오버월드 상에서 사살하는 것도 유효. 단의 분석이 있다면 분석 걸고 머리를 노리면 된다. 또한 훔치기 쓰고 잡을 시 헤로인을 최대 4개까지 주기에 팀에 레비가 있다면 정말 안성맞춤이라 잡아 두는 것이 좋다.[6]

5. 여담

  • 모티브는 공포영화 테리파이어에 등장하는 살인마 '아트 더 클라운'인 것이 확실해 보인다. 공포물의 살인마답지 않게 수틀리면 총질하는 것도 해당 캐릭터가 하던 짓이다.
  • 사용하는 총기는 브라우닝 하이파워로, 9mm 탄을 사용하는 벨기에제 권총이다. 해당 총기를 모르는 사람들은 왜 2차 대전을 전후로 하는 배경임에도 사용하는 권총이 M1911이 아닌 글록이냐며 의문을 가지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 미로가 SNS에 답변한 바 있다.#
  • 전작에 등장하는 까마귀 도륙자와 함께 종종 출현해 플레이어를 괴롭혀오는 것이 인상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단순히 배회하던 까마귀도륙자와 달리 멀리서 웃음소리를 내거나 건물 뒤에서 플레이어를 훔쳐보는 등 다양한 모션이 섬뜩함을 더한다.
  • 진단 시 옷 아래 신체에 심한 화상이 남아있다고 나온다. 유황신의 사도가 되는 C엔딩과 단의 장인인 아이너 폰 더치 남작의 최후가 유황신의 의식이었던 것을 고려해보면 남작이 부활한 것은 레르보다는 유황신의 영향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단이 전쟁에 참전한 사이 남작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끝끝내 밝혀지지 않는다. 심지어 유황신에 대한 정보도 극단적으로 적어 추론할 수 있는 것도 거의 없다. 이로 인해 단은 더 깊이 절망하며 B엔딩을 맞는다.

[1] 둘 다 동료로 있을 경우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게 하는 형태로 꽂아놓는다.[2] 유황신 의식의 주체였던 만큼 제물이 되었던 자신의 딸과는 다르게 상대적으로 기억과 의식을 온존한 듯 하다.[랜덤] [4] 권총 14발, 소총 7발, 그리고 스턴 시 즉사가 안 통하기에 산탄총 5발을 쏟아부어야 하는 꽤나 터프한 체력이다.[5] 한 쪽 팔이 잘려야 비로소 총을 꺼내기 때문에 문서 상단 이미지처럼 양손에 하나씩 쌍권총을 든 모습은 사실 인게임에서는 볼 수 없다.[6] 애초에 전투로 헤로인을 얻을 방법은 바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