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6:00:12

미국 전략사령부



||<-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height=70><width=45%>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미합중국군
통합전투사령부'''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합중국 북부사령부 휘장.svg
NORTHCOM
북부사령부

(2002.10.01. ~)
파일:미합중국 유럽사령부 휘장.svg
EUCOM
유럽사령부

(1947.03.15. ~)
파일:미합중국 중부사령부 휘장.svg
CENTCOM
중부사령부

(1983.01.01. ~)
파일:미합중국 남부사령부 휘장.svg
SOUTHCOM
남부사령부

(1963.06.06. ~)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휘장.svg
AFRICOM
아프리카사령부

(2007.10.01. ~)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INDOPACOM
인도태평양사령부

(1947.01.01. ~)
파일:미합중국 우주사령부 휘장.svg
SPACECOM
우주사령부

(1985.09.23. ~ 2002.10.01)
(2019.12.20. ~)
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SOCOM
특수작전사령부

(1987.02.16. ~)
파일:미합중국 수송사령부 휘장.svg
TRANSCOM
수송사령부

(1987.06.0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
STRATCOM
전략사령부

(1992.06.01. ~)
파일:미합중국 사이버사령부 휘장.svg
CYBERCOM
사이버사령부

(2010.05.21. ~)
}}}
※ 둘러보기: 통합전투사령관
}}}}}}}}} ||
미국 전략사령부
United States Strategic Command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
창설일 1946년 ~ 1992년(전략공군사령부)
1992년 6월 1일(미국 전략사령부)
약칭 USSTRATCOM, STRATCOM
소속 미국 국방부
분류 미국 통합전투사령부
슬로건 Peace is our Profession ...
평화는 우리의 직업이다 ...
사령관 안소니 코튼(공군 대장)
부사령관 리처드 코렐(해군 중장)
본부 오펏 공군기지(네브래스카주 오마하)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편제
3.1. 기능 구성 / Functional Components3.2. 근무 구성 / Service Components
3.2.1. 미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 Air Force Global Strike Command (AFGSC)
3.2.1.1. 제8공군 / Eighth Air Force3.2.1.2. 제20공군 / Twentieth Air Force
3.2.2.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 U.S. Fleet Forces Command
3.2.2.1. 제2함대 / United States Second Fleet
3.2.3. 해병대전략사령부 / U.S. Marine Corps Forces Strategic Command

1. 개요

미군해군, 공군, 해병대 전략사령부를 총괄하는 기능별 미국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2. 상세

냉전 당시 미군의 핵전력은 공군과 해군이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하지만 냉전이 종식되면서 핵전력 관리를 일원화하는 단일 사령부를 조직하기로 했고, 전략공군사령부를 모체[1]로 하여 현재의 전략사령부가 탄생했다.[2]

전략사령부는 미국 내의 모든 ICBM과 잠수함 내의 SLBM, 핵 조기경보 시스템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다.[3] 즉, 전략사령부는 제2세계 군대에서 나타나는 전략로켓군의 기능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전략사령부는 대통령의 명령[4] 없이 자체적으로 핵무기를 사용할 수는 없고, 대통령이 언제든지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를 전담하고 있다.

현재는 러시아중국은 물론이고, 새로운 불량 국가인 북한이나 이란과 같은 비공식 핵보유국에 대해서도 핵전쟁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정보의 자유법 청구에 의해 기밀 해제되어 공개된 전략 핵전쟁 계획인 OPLAN 8044 Revision 03을 보면 이걸 알 수 있는데,[5] 이 문서의 11페이지를 보면 대포동 미사일의 사진이 보이는데 이건 유사시 핵전쟁 대상에 러시아, 중국 등 기존의 핵무기를 보유한 가상적국과 더불어 북한도 대상에 포함되었다는 걸 보여준다. 즉 대한민국의 요청이나 승인이 없어도 미국은 미국의 국익상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북한을 핵으로 공격해 잿더미로 만들 수 있고, 그럴 생각도 얼마든지 갖고 있다는 걸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북한이 핵실험을 하고 적어도 100발 이상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이 확실해지자 미국은 아예 기밀 문서에 넣을 것도 없이 대놓고 북한을 중국, 러시아와 더불어 전시 핵공격 대상이라고 천명했으며,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공격이 성공하면 남한이 입을 피해가 크다는 이유로 전술 핵무기를 동원한 대규모 선제 핵공격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6]

전략사령부는 이렇게 핵무기를 다루는 무시무시한 조직으로 회자되지만, 예전에는 우주전전자전, 사이버전을 담당하는 조직이기도 했다. 2002년에 우주사령부가 해체된 이후에는 공군우주사령부가 전략사령부 휘하에 있었고, 2009년에 창설된 사이버사령부도 초기에는 전략사령부 휘하의 하위통합사령부로 있다가 2018년에야 미국 통합전투사령부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2019년에는 공군우주사령부가 전략사령부에서 다시 분리되어 우주사령부로 재창설되었고, 2023년에는 전략사령부 휘하의 통합미사일방어 합동기능구성사령부(JFCC IMD)가 우주사령부로 이전되었다.[7]

현 사령관은 공군 대장 안소니 코튼 장군으로 공군지구권타격사령관을 역임하던 중 영전했다. 역대 사령관은 주로 공군 또는 해군에서 배출되었으며, 해병대에서는 제임스 카트라이트 장군이 사령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공군에서는 주로 ICBM 전문가들이 사령관을 역임했고, 해군에서는 주로 SSBN 전문가들이 사령관을 역임했다. 해병대 항공장교 출신인 제임스 카트라이트 장군 역시 핵무기 운용과 연이 있었고, 케빈 칠튼 장군은 NASA 우주 비행사 출신이었다.

==# 역대 사령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미군 대장 계급장.svg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공군

George L. Butler
해군

Henry G. Chiles, Jr.
공군

Eugene E. Habiger
해군

Richard W. Mies
해군

James O. Ellis, Jr.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해병대

제임스 카트라이트
공군

케빈 칠튼
공군

로버트 켈러
해군

세실 헤이니
공군

존 하이튼
제11대 제12대
해군

찰스 리처드
공군

안소니 코튼
}}}}}}}}}
<rowcolor=#FFFFFF> 순서 사진 이름 기간 계급 복무 비고
1 파일:Butler.jpg 조지 버틀러[8] 1992년 6월 ~ 1994년 2월 공군
대장
퇴역 [9]
2 파일:Chiles.jpg 헨리 차일즈[10] 1994년 2월 ~ 1996년 2월 해군
대장
퇴역 [11]
3 파일:Habiger.jpg 유진 해비거[12] 1996년 2월 ~ 1998년 8월 공군
대장
퇴역 [13]
4 파일:Mies.jpg 리처드 미스[14] 1998년 8월 ~ 2001년 10월 해군
대장
퇴역 [15]
5 파일:Ellis.jpg 제임스 엘리스[16] 2001년 11월 ~ 2004년 7월 해군
대장
퇴역 [17]
6 파일:Cartwright.jpg 제임스 카트라이트 2004년 7월 ~ 2004년 9월(임시 대리)
2004년 9월 ~ 2007년 8월
해병
대장
퇴역 [18]
- 파일:Kehler(1).jpg 로버트 켈러[19] 2007년 8월 ~ 2007년 10월 공군
중장
퇴역 [20]
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evin_P._Chilton.jpg 케빈 칠튼 2007년 10월 ~ 2011년 1월 공군
대장
퇴역 [21]
8 파일:Kehler(2).jpg 로버트 켈러[22] 2011년 1월 ~ 2013년 11월 공군
대장
퇴역 [23]
9 파일:VbYtVb5.jpg 세실 헤이니 2013년 11월 ~ 2016년 11월 해군
대장
퇴역 [24]
10 파일:Hyten.jpg 존 하이튼 2016년 11월 ~ 2019년 11월 공군
대장
퇴역 [25]
11 파일:chas richard.jpg 찰스 리처드 2019년 11월 ~ 2022년 12월 해군
대장
퇴역 [26]
12 파일:Gen_Anthony_J._Cotton_(2).jpg 안소니 코튼 2022년 12월 ~ 현재 공군
대장
현역 [27]

3. 편제

3.1. 기능 구성 / Functional Components

3.2. 근무 구성 / Service Components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미합중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svg
AFGSC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파일: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부.png
USFFC
함대전력사령부
U.S. Strategic Command Service Components
}}}}}}}}} ||

3.2.1. 미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 Air Force Global Strike Command (AFGSC)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미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2.1.1. 제8공군 / Eighth Air Force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8공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2.1.2. 제20공군 / Twentieth Air Force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20공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2.2.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 U.S. Fleet Forces Command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2.2.1. 제2함대 / United States Second Fleet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2함대(미국 해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 파일:airlant.png 대서양함대 해군항공군 / Naval Air Force, U.S. Atlantic Fleet #=====
  • 제1항모비행단 / Carrier Air Wing 1
    • 제1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1[F/A-18E/F]
    • 제8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81[F/A-18E/F]
    • 제126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6[E-2D]
    • 제144전자전공격비행대대 / Electronic Attack Squadron 144[EA-18G]
    • 제1분견대, 제40함대군수지원비행대대 / Detachment 1, Fleet Logistics Support Squadron 40[C-2A]
    • 제11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11[MH-60S]
    • 제72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2[MH-60R]
  • 제3항모비행단 / Carrier Air Wing 3
    • 제32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32[F/A-18E/F]
    • 제8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83[F/A-18E/F]
    • 제105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05[F/A-18E/F]
    • 제13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31[F/A-18E/F]
    • 제123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3[E-2D]
    • 제130전자전공격비행대대 / Electronic Attack Squadron 130[EA-18G]
    • 제4분견대, 제40함대군수지원비행대대 / Detachment 4, Fleet Logistics Support Squadron 40[C-2A]
    • 제7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7[MH-60S]
    • 제74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4[MH-60R]
  • 제7항모비행단 / Carrier Air Wing 7
    • 제10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03[F/A-18E/F]
    • 제14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43[F/A-18E/F]
    • 제86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86[F/A-18E/F]
    • 제136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36[F/A-18E/F]
    • 제140전자전공격비행대대 / Electronic Attack Squadron 140[EA-18G]
    • 제121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1[E-2D]
    • 제3분견대, 제40함대군수지원비행대대 / Detachment 3, Fleet Logistics Support Squadron 40[C-2A]
    • 제5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5[MH-60S]
    • 제46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46[MH-60R]
  • 제8항모비행단 / Carrier Air Wing 8
    • 제3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31[F/A-18E/F]
    • 제37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37[F/A-18E/F]
    • 제87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87[F/A-18E/F]
    • 제21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213[F/A-18E/F]
    • 제124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4[E-2D]
    • 제142전자전공격비행대대 / Electronic Attack Squadron 142[EA-18G]
    • 제2분견대, 제40함대군수지원비행대대 / Detachment 2, Fleet Logistics Support Squadron 40[C-2A]
    • 제9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9[MH-60S]
    • 제70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0[MH-60R]
  • USS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USS Dwight D. Eisenhower[Nimitz]
  • USS 해리 S 트루먼 / USS Harry S. Truman[Nimitz]
  • USS 조지 H. W. 부시 / USS George H. W. Bush[Nimitz]
  • 대서양 순찰정찰단 / Patrol and Reconnaissance Group Atlantic
    • 제11순찰정찰비행단 / Patrol and Reconnaissance Wing 11
      제5순찰비행대대 / Patrol Squadron 5[P-8A]
      제8순찰비행대대 / Patrol Squadron 8[P-8A]
      제10순찰비행대대 / Patrol Squadron 10[P-8A]
      제16순찰비행대대 / Patrol Squadron 16[P-8A]
      제26순찰비행대대 / Patrol Squadron 26[P-8A]
      제45순찰비행대대 / Patrol Squadron 45[P-8A]
      제62순찰비행대대 / Patrol Squadron 62[P-8A]
      제11전술작전통제대대 / Tactical Operations Control Squadron 11
      제19무인순찰비행대대 / Unmanned Patrol Squadron 19[MQ-4C]
    • 제30순찰비행전대 / Patrol Squadron 30[P-8A][P-3C]
    • 해상순찰정찰무기학교 / Maritime Patrol and Reconnaissance Weapons School
    • 제1항공시험평가대대 / Air Test & Evaluation Squadron 1[P-8A][E-2D][MH-60R][MH-60S]
  • 대서양 전투공격비행단 / Strike Fighter Wing Atlantic
    • 제1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1[F/A-18E/F]
    • 제3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31[F/A-18E/F]
    • 제32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32[F/A-18E/F]
    • 제34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34[F/A-18E/F]
    • 제37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37[F/A-18E/F]
    • 제8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81[F/A-18E/F]
    • 제8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83[F/A-18E/F]
    • 제87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87[F/A-18E/F]
    • 제10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03[F/A-18E/F]
    • 제105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05[F/A-18E/F]
    • 제131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31[F/A-18E/F]
    • 제14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43[F/A-18E/F]
    • 제213공격전투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213[F/A-18E/F]
    • 제106공격전투비행대대(함대교체비행대대) / Strike Fighter Squadron 106 (Fleet Replacement Squadron)[F/A-18E/F]
    • 오세아나 항공지원파견대 / Aviation Support Detachment Oceana
    • 대서양 전투공격무기학교 / Strike Fighter Weapons School Atlantic
  • 대서양 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단 / Helicopter Sea Combat Wing Atlantic
    • 제2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2[MH-60S]
    • 제5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5[MH-60S]
    • 제7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7[MH-60S]
    • 제9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9[MH-60S]
    • 제11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11[MH-60S]
    • 제22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22[MH-60S]
    • 제26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26[MH-60S]
    • 제28헬리콥터해상전투비행대대 /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28[MH-60S]
    • 제12헬리콥터지뢰대책비행대대 / Helicopter Mine Countermeasures Squadron 12[MH-53E]
    • 제14헬리콥터지뢰대책비행대대 / Helicopter Mine Countermeasures Squadron 14[MH-53E]
    • 제15헬리콥터지뢰대책비행대대 / Helicopter Mine Countermeasures Squadron 15[MH-53E]
    • 대서양 헬리콥터해상전투무기학교 / Helicopter Sea Combat Weapons School Atlantic
  • 대서양 헬리콥터해양타격비행단 / Helicopter Maritime Strike Wing Atlantic
    • 제46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46[MH-60R]
    • 제50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50[MH-60R]
    • 제70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0[MH-60R]
    • 제72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2[MH-60R]
    • 제74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4[MH-60R]
    • 제79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9[MH-60R]
    • 제40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함대교체비행대대)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Fleet Replacement Squadron)[MH-60R]
    • 제48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원정)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Expeditionary)[MH-60R]
    • 제60헬리콥터해상공격비행대대(원정)(예비군) /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Expeditionary) (Reserve)[MH-60R]
    • 대서양 헬리콥터해상공격무기학교 / Helicopter Maritime Strike Weapon School Atlantic
    • 수상구조수영학교 / Surface Rescue Swimmer School
  • 대서양 공수지휘통제군수비행단 / Airborne Command & Control and Logistics Wing Atlantic
    • 제120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0[E-2D]
    • 제121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1[E-2D]
    • 제123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3[E-2D]
    • 제124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4[E-2D]
    • 제126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Squadron 126[E-2D]
    • 제40함대군수지원비행대대 / Fleet Logistics Support Squadron 40[C-2A]
    • 뉴리버 해군항공훈련지원단 / Naval Aviation Training Support Group New River
    • 공중지휘통제군수비행단 비행대대증원대 / Airborne Command & Control and Logistics Wing Squadron Augmentation Unit
  • 중대서양 함대즉응센터 / Fleet Readiness Center Mid-Atlantic
  • 버지니아 케이프 함대지역통제감시시설 / Fleet Area Control and Surveillance Facility, Virginia Capes
  • 잭슨빌 함대지역통제감시시설 / Fleet Area Control and Surveillance Facility, Jacksonville
  • 해군착륙신호장교학교 / Navy Landing Signal Officer School

=====# 파일:suflant.png 대서양함대 해군수상함군 / Naval Surface Forces, U.S. Atlantic Fleet #=====
  • 대서양 수상훈련단 / Afloat Training Group Atlantic
  • 메이포트 수상훈련단 / Afloat Training Group Mayport
  • 대서양 공병평가단 / Engineering Assessments Atlantic
  • 제50구축함전대 / Destroyer Squadron 50
    • 서남아시아 순찰부대 / Patrol Forces Southwest Asia
      USCGC 찰스 물스로프 / USCGC Charles Moulthrope[Sentinel]
      USCGC 로버트 골드만 / USCGC Robert Goldman[Sentinel]
      USCGC 글렌 해리스 / USCGC Glen Harris[Sentinel]
      USCGC 엠렌 터넬 / USCGC Emlen Tunnell[Sentinel]
      USCGC 존 슈어만 / USCGC John Scheuerman[Sentinel]
      USCGC 클라렌스 수트핀 주니어 / USCGC Clarence Sutphin Jr.[Sentinel]
  • 제5해군수상전대 / Naval Surface Squadron 5
  • 제22기뢰분대 / Mine Division 22
  • 제21전술항공통제전대 / Tactical Air Control Squadron 21
  • 제22전술항공통제전대 / Tactical Air Control Squadron 22
  • 제2연안전투함전대 / Littoral Combat Ship Squadron 2
    • USS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 USS Minneapolis-Saint Paul[Freedom]
    • 제21수상분대 / Surface Division 21
      USS 밀워키 / USS Milwaukee[Freedom]
      USS 디트로이트 / USS Detroit[Freedom]
      USS 리틀 록 / USS Little Rock[Freedom]
      USS 수 시티 / USS Sioux City[Freedom]
    • 제22기뢰분대 / Mine Division 22
      USS 위치타 / USS Wichita[Freedom]
      USS 빌링스 / USS Billings[Freedom]
      USS 인디애나폴리스 / USS Indianapolis[Freedom]
      USS 세인트루이스 / USS St. Louis[Freedom]
  • 루마니아 미국 이지스 어쇼어 미사일 방어 시스템 / U.S. Aegis Ashore Missile Defence System Romania
  • 폴란드 미국 이지스 어쇼어 미사일 방어 시스템 / U.S. Aegis Ashore Missile Defence System Poland

=====# 파일:sublant.png 대서양함대 잠수함군 / Submarine Force, U.S. Atlantic Fleet #=====
  • 제2잠수함전단 / Submarine Group 2
  • 제8잠수함전단 / Submarine Group 8
    • 영국 노스우드 대표부, 제8잠수함전단장 / Commander, Submarine Group 8, Representative Northwood UK
  • 제10잠수함전단 / Submarine Group 10
    • 제16잠수함전대 / Submarine Squadron 16
      USS 플로리다 / USS Florida[Ohio][SSGN]
      USS 조지아 / USS Georgia[Ohio][SSGN]
    • 제20잠수함전대 / Submarine Squadron 20
      USS 알래스카 / USS Alaska[Ohio]
      USS 테네시 / USS Tennessee[Ohio]
      USS 웨스트버지니아 / USS West Virginia[Ohio]
      USS 메릴랜드 / USS Maryland[Ohio]
      USS 로드아일랜드 / USS Rhode Island[Ohio]
      USS 와이오밍 / USS Wyoming[Ohio]
    • 제36잠수함즉응전대 / Submarine Readiness Squadron 36
    • 트라이던트 수리시설 / Trident Refit Facility
  • 제32잠수함즉응전대 / Submarine Readiness Squadron 32
  • 제34잠수함즉응전대 / Submarine Readiness Squadron 34
  • 수중전투발전센터 / Undersea Warfighting Development Center
    • 북극잠수함실험실 / Arctic Submarine Laboratory
    • 전술분석단 / Tactical Analysis Group
    • 노포크 분견대, 수중전투발전센터 / Undersea Warfighting Development Center, Detachment Norfolk
    • 샌디에이고 분견대, 수중전투발전센터 / Undersea Warfighting Development Center, Detachment San Diego
  • 그로튼 지역지원단 / Regional Support Group Groton

3.2.3. 해병대전략사령부 / U.S. Marine Corps Forces Strategic Command[212]


[1] 전략공군사령부의 본부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름도 커티스 르메이 빌딩이다.[2] 한편 전략공군사령부가 담당하던 핵무기 탑재 폭격기와 ICBM의 관리는 각각 공군전투사령부공군우주사령부로 이관되었다가, 2009년에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전략공군사령부의 역할을 계승하게 되었다.[3] 유럽 지역은 NATO에서 자체적으로 NOP라는 대러시아 핵전쟁 계획이 있기 때문에, SIOP를 담당하는 전략사령부가 나서는 순간에는 유럽을 넘어서 미국까지 핵전쟁에 휘말렸다고 보면 된다.[4] 대통령은 언제든지 핵무기를 사용하기 위해 핵가방을 소지하고 다닌다. 대통령이 핵가방을 소지하고 다니는 이유는 러시아중국의 기습 핵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5] 이 곳에서 OPLAN 8044 Revision 03의 기밀 해제 버전을 볼 수 있다. 이 블로그에서는 더 자세하게 OPLAN 8044 Revision 03을 설명하고 있다.[6] 사실 미국 입장에서는 지금 당장이라도 한국의 피해가 거의 없는 상태로 LGM-30 미니트맨트라이던트 II를 평양 등 주요 전략지점에 투하하고, 그 뒤에 전술 핵무기 수십 발을 동원해 북한을 불모지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게다가 북한이 핵개발을 감행하면서 이제는 그 사실을 굳이 숨기지도 않고 있다. 그런데도 김정은이 핵개발을 강행한 이유는 일단 미국이 선제 핵공격으로 한국의 피해 없이 북한을 멸망시킨다고 100% 장담할 수 없고, 성공한다고 해도 그 뒤 핵도미노 현상이 감당이 안된다는 걸 잘 알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7] 우주사령부 보도자료.[8] George L. Butler[9] 1961년 미국 공군사관학교 졸업. 전략공군사령관 출신.[10] Henry G. Chiles, Jr.[11] 1960년 미국 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 최초의 전략사령관으로 대서양잠수함사령관, 전략사령부 부사령관 출신.[12] Eugene E. Habiger[13] 1963년 조지아 대학교 졸업. 폭격기 조종사로 공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출신.[14] Richard W. Mies[15] 1967년 미국 해군사관학교 졸업. 대서양잠수함사령관 출신.[16] James O. Ellis, Jr.[17] 1969년 미국 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 조종사로 유럽해군사령관 출신.[18] 1971년 아이오와 대학교 졸업. 해병대 최초의 전략사령관으로 합동참모본부 전력구조연구·평가본부장 역임 중 사령관 대리로 임명, 대장 진급 이후 사령관 취임. 합동참모차장으로 이동.[19] C. Robert Kehler[20] 사령관 대행.[21] 1976년 미국 공군사관학교 졸업. NASA 우주 비행사 출신으로 공군 복귀 이후 8공군사령관과 공군우주사령관을 거쳐 전략사령관 취임.[22] C. Robert Kehler[23] 1974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졸업. 전략사령부 부사령관 당시 사령관 대리 업무 수행, 대장 진급 이후 공군우주사령관을 거쳐 전략사령관 취임.[24] 1978년 미국 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25] 1981년 하버드 대학교 졸업. 공군우주사령관 출신. 합동참모차장으로 이동.[26] 1982년 앨라배마 대학교 졸업. 대서양잠수함사령관 출신.[27] 1986년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졸업. 공군지구권타격사령관 출신.[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EA-18G] EA-18G 운용 부대.[C-2A] C-2A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EA-18G] EA-18G 운용 부대.[C-2A] C-2A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EA-18G] EA-18G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C-2A] C-2A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EA-18G] EA-18G 운용 부대.[C-2A] C-2A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Nimitz] 니미츠급 항공모함.[Nimitz] 니미츠급 항공모함.[Nimitz] 니미츠급 항공모함.[GeraldR.Ford]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P-8A] P-8A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MQ-4C] MQ-4C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P-3C] P-3C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F/A-18E/F] F/A-18E/F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MH-53E] MH-53E 운용 부대.[MH-53E] MH-53E 운용 부대.[MH-53E] MH-53E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C-2A] C-2A 운용 부대.[P-8A] P-8A 운용 부대.[E-2D] E-2D 운용 부대.[MH-60R] MH-60R 운용 부대.[MH-60S] MH-60S 운용 부대.[BlueRidge] 블루 릿지급 지휘함.[ArleighBurkeFI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rleighBurkeFI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Sentinel] 센티넬급 경비정.[Sentinel] 센티넬급 경비정.[Sentinel] 센티넬급 경비정.[Sentinel] 센티넬급 경비정.[Sentinel] 센티넬급 경비정.[Sentinel] 센티넬급 경비정.[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venger] 어벤저급 기뢰대응전함.[Avenger] 어벤저급 기뢰대응전함.[Avenger] 어벤저급 기뢰대응전함.[Avenger] 어벤저급 기뢰대응전함.[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ArleighBurkeFI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Freedom] 프리덤급 연안전투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SSGN] 원자력 추진 유도탄 잠수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SSGN] 원자력 추진 유도탄 잠수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Ohio] 오하이오급 잠수함.[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VirginiaB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VirginiaB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VirginiaBI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I.[VirginiaBI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I.[VirginiaBI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I.[VirginiaBIV]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V.[LosAngelesF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VirginiaB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VirginiaB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VirginiaBI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VirginiaBI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I.[LosAngelesF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LosAngelesFIII]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플라이트 III.[VirginiaB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VirginiaBI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I.[VirginiaBIII] 버지니아급 잠수함 블록 III.[212] 위키피디아에는 전략사령부의 근무구성 중 하나로 쓰여있으나 전략사령부 홈페이지에는 근무 구성 조직에서 빠져있으며 리포트에는 전략사령부에 파견되어 미국 해병대와 전략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고 쓰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