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18:19:07

미국 유럽사령부



||<-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height=70><width=45%>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미합중국군
통합전투사령부'''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합중국 북부사령부 휘장.svg
NORTHCOM
북부사령부

(2002.10.01. ~)
파일:미합중국 유럽사령부 휘장.svg
EUCOM
유럽사령부

(1947.03.15. ~)
파일:미합중국 중부사령부 휘장.svg
CENTCOM
중부사령부

(1983.01.01. ~)
파일:미합중국 남부사령부 휘장.svg
SOUTHCOM
남부사령부

(1963.06.06. ~)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휘장.svg
AFRICOM
아프리카사령부

(2007.10.01. ~)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INDOPACOM
인도태평양사령부

(1947.01.01. ~)
파일:미합중국 우주사령부 휘장.svg
SPACECOM
우주사령부

(1985.09.23. ~ 2002.10.01)
(2019.12.20. ~)
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SOCOM
특수작전사령부

(1987.02.16. ~)
파일:미합중국 수송사령부 휘장.svg
TRANSCOM
수송사령부

(1987.06.0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
STRATCOM
전략사령부

(1992.06.01. ~)
파일:미합중국 사이버사령부 휘장.svg
CYBERCOM
사이버사령부

(2010.05.21. ~)
}}}
※ 둘러보기: 통합전투사령관
}}}}}}}}} ||
미합중국 유럽사령부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
<bgcolor=#ffffff> 파일:미합중국 유럽사령부 휘장.svg
창설일 1952년 8월 1일
약칭 USEUCOM, EUCOM
소속 미국 국방부
분류 미국 통합전투사령부
사령관 알렉서스 그린케비치(공군 대장)
부사령관 로버트 풀포드(해병 중장)
본부 패치 병영(독일 슈투트가르트-바이힝엔)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

1. 개요2. 상세3. 역대 사령관4. 편제
1. 관련 웹사이트

1. 개요

미국 유럽사령부는 미군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 유럽사령부를 총괄하는 권역별 미국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2. 상세

유럽사령부의 책임 지역은 유럽, 카프카스러시아를 포함한 50개국과 그 영토로, 면적은 약 54,000,000km²이다. 유럽사령부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본부를 두고 있다.

유럽사령부는 억제, 평화 유지 및 군사 작전을 통해 미국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 동맹국 및 파트너국을 보호하고 방어하며, 이를 통해 유럽과 대서양 지역의 안보를 강화하면서 동시에 미국 본토를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럽사령관은 당연직으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을 겸임한다.[1] 현 사령관은 공군대장 알렉서스 그린케비치로, 미국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2]를 역임하던 중 대장 진급과 함께 임명되었다.[3]

3. 역대 사령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미군 대장 계급장.svg
<rowcolor=#d4c900,#b08605> 유럽사령부 총사령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육군

매튜 리지웨이
육군

알프레드 그루엔터
공군

로리스 노스타드
육군

리먼 렘니처
육군

앤드류 굿파스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육군

알렉산더 헤이그
육군

버나드 로저스
육군

존 갤빈
육군

존 샬리카시빌리
육군

조지 줄완
<rowcolor=#d4c900,#b08605> 유럽사령부 총사령관 유럽사령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육군

웨슬리 클라크
공군

조셉 랠스턴
해병대

제임스 존스
육군

밴츠 크래독
해군

제임스 스타브리디스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공군

필립 브리들러브
육군

커티스 스캐퍼로티
공군

토드 월터스
육군

크리스토퍼 카볼리
공군

알렉서스 그린케비치
}}}}}}}}}

4. 편제

===# 유럽 및 아프리카육군 #===
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Africa

4.1. 제5군단

V Corps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5군단(미국)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 유럽 및 아프리카해군 #===
United States Naval Forces Europe and Africa

4.2. 제6함대

United States Sixth Fleet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6함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 유럽 및 아프리카공군 #===
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and Air Forces Africa

4.3. 제3공군

Third Air Force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3공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 유럽 및 아프리카해병대 #===
United States Marine Forces Europe and Africa

===# 유럽특수작전사령부 #===
Special Operations Command Europe


===# 유럽 및 아프리카우주군 #===
United States Space Forces Europe and Africa

1. 관련 웹사이트


[1] 말하자면 한반도에서 주한미군 사령관이 한미연합사령부 사령관을 겸직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다.[2] 영문명칭은 J3, Operations이며 작전국장으로도 번역된다. 사실상 3인자의 위치이자 대장(진)으로도 평가받는 대한민국 국군의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과 달리 미국 합동참모본부에서는 합동참모장(Director of the Joint Staff)이 3인자이고 합동참모장 휘하 국장(본부장)들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3] 냉전 당시, 유럽사령관은 육군이 독점하는 최고 요직이었다. 그리고 냉전이 종식되면서 중요도가 떨어지고 타 군종에서 사령관이 임명되었어도, 여전히 미군 내에서 강한 파워를 가진 요직으로 평가받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