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울특별시 | 월드모노레일ㆍ대현산배수지공원 모노레일 |
| 인천광역시 | | |
| 부산광역시 | 목장원 모노레일ㆍ영주동 모노레일ㆍ소망계단 모노레일懸 | |
| 울산광역시 | 장생포 모노레일 | |
| 대구광역시 | | |
| 광주광역시 | 무등산 모노레일 | |
| 경기도 | 예봉산관측소 모노레일ㆍ포천아트밸리 모노레일ㆍ화담숲 모노레일 | |
| 강원특별자치도 | 가리산관측소 모노레일ㆍ대금굴 모노레일ㆍ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 모노레일ㆍ철원평화전망대 모노레일ㆍ화암동굴 모노레일ㆍ환선굴 모노레일ㆍ소이산 모노레일 | |
| 충청북도 | 강변수변로 모노레일ㆍ만천하 모노레일ㆍ말티재 모노레일ㆍ청풍호 관광모노레일 | |
| 충청남도 | 예당호 모노레일ㆍ서대산관측소 모노레일 | |
| 경상북도 | | |
| 경상남도 | 거제 계룡산 관광모노레일 ㆍ제황산공원 모노레일카ㆍ대봉산휴양밸리 모노레일ㆍ합천영상테마파크 모노레일 | |
| 전북특별자치도 | 태권도원 전망대 모노레일 | |
| 전라남도 | 땅끝 모노레일ㆍ모후산관측소 모노레일ㆍ빛가람전망대 모노레일ㆍ완도타워 모노레일ㆍ가우도 모노레일 | |
| 폐지된 노선 | 서울어린이대공원 모노레일懸ㆍ부산 168계단 모노레일ㆍ고한읍 모노레일 | |
| 懸: 현수식 모노레일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 모후산 관측소 모노레일 Mohusan Rader Station Monorail | }}} |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궤도운송수단 | |||
| 기점 | 하부승강장 | |||
| 종점 | 상부승강장 | |||
| 역 수 | 2개 | |||
| 개업일 | 2015년 12월 | |||
| 소유 | 불명 | |||
| 운영 | 영산강홍수통제소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3.32km | |||
| 선로구성 | 단선 | |||
| 지상구간 | 전구간 | |||
| 개통 | 2015. 12. 전구간 개통 | |||
1. 개요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운행되고 있는 슬로프카(모노레일). 총연장 3.32km, 2개소의 정류장이 있다.2010년에 개통되었다.
2. 정보
1량 1편성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일반인은 이용할 수 없으며, 극소수의 직원만이 이용할 수 있다. 자세한건 하단참조.
3. 논란
관련기사예봉산관측소 모노레일과 마찬기지로 관광용으로 활용하자는 주장이 있다. 모후산관측소에 상주하고 있는 직원은 고작 6명 정도에 불과한데, 이들 직원의 출퇴근용만으로 사용하는 건 예산낭비가 아니냐는 것.
다만, 해당 노선이 단순히 사람만을 실어나르기 위해 개설된 노선은 아니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강우레이더는 레이더 본체 출력이 750~850kW에 달하는 고전력 시설이며, 특성상 무중단 운영을 필요로 하여 직원 외에도 계측장비, 전기설비•항온항습기 등의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등의 원활한 수송이 필요하며, 전파품질 저하를 각오하고 매번 헬기를 사용해서 수송할 수는 없으니 모노레일이나 케이블카 같은 운송수단을 개설한 것이다. 홍수통제소 입장에서는 안 그래도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교통수단을 무작정 등산객들을 대상으로 개방해 버리면 정작 필요할 때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기는 것. 실제로 관악산 케이블카 같은 기상청 레이더사이트와 방송사 송신소 유지보수를 위해 개설되는 다른 노선들도 기본적으로 등산객의 탑승을 허용하고 있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