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리스트 == null
{{{#!html 이번 시즌 올림피아코스 FC 경기 및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2025-26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번 시즌 올림피아코스 FC 경기 및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2025-26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1 파스할라키스 · 3 오르테가 · 4 비앙콘 · 5 피롤라 · 8 나시멘토 · 9 엘카비 · 10 젤송 M. · 11 벨데 14 D. 가르시아 · 16 스키피오니 · 17 야렘추크 · 19 마수라스 · 20 코스티냐 · 22 시키뉴 · 23 [[호지네이|호지네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10e17; font-size: .8em"]] 27 스트레페자 · 29 바쿠라스 · 31 보티스 · 32 에세 · 45 [[파나요티스 레초스|레초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10e17; font-size: .8em"]] · 56 포덴스 · 64 파파카넬로스 65 아포스톨로풀로스 · 67 쿠치디스 · 77 카벨라 · 88 [[콘스탄티노스 촐라키스|촐라키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10e17; font-size: .8em"]] · 96 무자키티스 · 97 야즈즈 · 99 타레미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메흐디 타레미의 우승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우승 대회 모음 | |||
클럽 경력 | ||||
| 2021-22ㆍ2023-23ㆍ2023-24 | |||
| 2020ㆍ2022 | |||
| 2016-17ㆍ2017-18 | |||
파일:Iranian Super Cup.webp | | | | |
국가대표 경력 | ||||
|
메흐디 타레미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2015-16 · 2016-17 | |||
| 2015-16 · 2016-17 | |||
| | | | |
| ||||
베스트 팀 | ||||
| 2014-15 · 2015-16 · 2016-17 | |||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
[1] |
2021 FIFA 푸스카스상 | ||
수상 에릭 라멜라 | 2위 메흐디 타레미 | 3위 파트리크 시크 |
메흐디 타레미의 기타 정보 | ||||||||||||||||||||||||||||||||||||||||||||||||||||||||||||||||||||||||||||||||||||||||||||||||||||||||||||||||||||
|
| |||||
<colbgcolor=#c10e17><colcolor=#ffffff> 올림피아코스 FC No. 99 | |||||
메흐디 타레미 مهدی طارمی | Mehdi Taremi | |||||
출생 | 1992년 7월 18일 ([age(1992-07-18)]세) | ||||
이란 부셰르 | |||||
국적 |
| ||||
신체 | 키 187cm / 체중 80kg | ||||
포지션 | 스트라이커[2] | ||||
주발 | 오른발 | ||||
등번호 | 이란 대표팀 | 9 | |||
인테르나치오날레 | 99 | ||||
소속 | <colbgcolor=#c10e17><colcolor=#fff> 유스 | 바르그 부셰흐르 (2002~2006) 이란자반 (2006~2010) | |||
선수 | 샤힌 부셰흐르 (2010~2012) 이란자반 (2013~2014) 페르세폴리스 FC (2014~2018) 알 가라파 SC (2018~2019) 히우 아브 FC (2019~2020) FC 포르투 (2020~202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24~2025) 올림피아코스 FC (2025~ ) | ||||
국가대표 | 100경기 56골[3] (이란 / 2015~ ) | ||||
통산 득점 | 256골[4] | ||||
S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10e17><colcolor=#fff> 역대 등번호 | <colcolor=#373a3c,#ddd>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 17번, 9번 샤힌 부셰흐르 - 15번, 12번 이란자반 - 9번 페르세폴리스 FC - 17번, 9번 알 가라파 SC - 9번 히우 아브 - 99번 FC 포르투 - 9번 인테르나치오날레 - 99번 | |||
가족 | 아버지 알리레자 타레미 어머니 노스랏 파르쉬드 누나, 형 모함마드 타레미[5] | ||||
병역 | 이란 해군 해안경비대 (2012.1 ~ 2013.7)[6] | ||||
종교 | 이슬람(시아파) | ||||
서명 |
1. 개요
이란 국적의 올림피아코스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프리메이라 리가에서 아시아 국적 리그 최다골, 리그 최다 도움, 올해의 팀 최다 선정 기록을 가지고 있다.
2.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흐디 타레미/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흐디 타레미/국가대표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흐디 타레미/국가대표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플레이 스타일
주 포지션은 스트라이커로 국적 때문에 주목도가 떨어질뿐 유럽 내에서도 상위권의 실력자이며, 아시아권 내에서는 아예 비교 대상이 없을 정도로 동 포지션 최고의 선수로 평가된다.[7][8][9] 사실 공격수라는 포지션 내에서도 아시아에서는 손흥민 정도를 제외하면 사실상 아시아 최강이라고 봐도 무방하며 역대 순위권에도 언급이 될 정도다. | |
| |
짧은 거리와 먼 거리까지 다양한 위치에서의 패스 연계플레이 |
포르투갈 리그의 득점왕은 물론 도움왕까지 차지했을 정도로 득점은 물론 도움까지 잘 쌓으며 스탯 생산력에서 포르투갈 리그 탑 급의 모습을 보여준다. 강력한 슛 파워와 스킬을 보유하고 있는데, 주발인 오른발뿐만 아니라 왼발도 준수하게 사용해서 골을 넣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골을 넣는다. 공격수답게 오프 더 볼 능력도 좋은 편이고 좋은 오프 더 볼을 이용한 라인브레이킹을 보여주며, 후방 빌드업 상황에서는 2선으로 내려와 공을 받아주고 때로는 먼거리에서 패스를 주는 줄기역할도 맡으며 연계 플레이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데, 전방에서 순간적으로 허를 찌르는 패스를 통해 도움을 적립하기도 하는데 마치 해리 케인과 결이 비슷한 느낌의 플레이가 많다.[10] 상황 판단 능력도 좋아서 오프더볼 상황에서 끊임없이 움직이며 수비수를 속이는 기민한 모습을 보여주고 또한 크고 단단한 몸싸움을 바탕으로 볼 경합 상황에서 우위를 점하고 볼을 지켜내며 침투하는 동료에게 건네주는 포스트플레이가 좋은 편. 세트피스 상황에서는 헤딩 득점을 하거나 뒤로 빠져있다가 아크로바틱하게 슛을 시도한다.
포르투갈 리그 내에서는 나이가 문제일 뿐, 매년 빅클럽들이 군침을 흘리는 유망주 공격수들에 나이 빼면 결코 뒤쳐질 게 없는 스탯 생산력과 플레이를 보여주며 리그 최강의 공격수 중 하나라 봐도 무방하다. 유럽 무대에서도 FC 포르투가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자주 나가는 편이라 자주 얼굴을 보이는데, 여기서도 결코 스탯 생산력이 떨어지지 않아서 즉 포르투갈 리그에서만 잘하는 우물 안 개구리라 보기도 어렵다.
정리하자면, 유럽에서도 통한 육각형 유형의 컴플리트형 만능 공격수로, 무엇 하나 빠지지 않고 여러 장점을 두루두루 갖춘 토털 패키지에 가깝다. 유럽 5대 리그 중상위권 클럽들에서도 통할 수 있는 보급형 카림 벤제마, 해리 케인, 루이스 수아레스로 큰 주목을 받았을 법한 선수임에도, 유럽 진출이 너무 늦어서 생긴 나이 문제, 그리고 시장 개척에도 큰 매력이 없는 이란 국적으로 인해 더 큰 무대에서는 빛을 보지 못한, 아쉬움이 묻어나는 선수이다. 저평가 받을수밖에 없는 아쉬운 국적과 2년정도 빠르게 20대 중반에 유럽 무대에서 뛰었다면 충분히 주목받았을 공격수의 재목으로 평가받는다. 그나마 기대를 걸어보자면 요즘 선수들의 수명이 예전보다 길어져서 은퇴 시기도 늦어지기에 아직 유럽에서 커리어를 더 남길 여지가 있다는 변수가 있다. 실제로 올리비에 지루, 제이미 바디,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안드레스 과르다도, 루카 모드리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제임스 밀너, 티아고 실바, 호아킨 산체스 등 유럽 빅리그에서 나이가 35살을 넘은 나이에도 활약하는 사례가 은근히 있어서 타레미도 그들만큼 늦은 나이까지 선수생활을 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11]
5. 사건 사고
5.1. 이스라엘 관련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을 앞두고 알리 하메네이가 이스라엘이 25년 안에 지구 상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 발언을 자기 트위터에 공유해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6년 뒤 이스라엘인 골키퍼 옴리 글레이저가 골문을 지키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상대로 맹활약을 한 뒤에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정치적 질문[12]은 아예 사전 차단을 했다고 한다.5.2. 드라간 스코치치 감독에 대한 SNS 저격
드라간 스코치치가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었을 때 공개적으로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단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난한 것에 대해 메흐디 타레미가 자신의 SNS로 스코치치 감독에 대한 저격글을 올린 사건이다.스코치치 감독은 2022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4차전 홈경기에서 한국에게 1:1로 무승부를 한 이후로 “이란 선수들의 체력과 피지컬은 훌륭하지만 전술적인 이해도는 떨어진다.”라고 공개적으로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을 비난하였다. #
|
이에 타레미는 10월 20일에 자신의 트위터로 "이란 선수들은 테크닉도 뛰어나고 강한 피지컬을 지녔으며 전술 이해도도 높다. 문제는 다른 곳에 있다."라고 스코치치 감독의 발언에 대한 저격글을 올렸다.
결국 드라간 스코치치 감독은 자신의 발언에 대해 SNS 저격글을 올린 타레미에 대해 보복으로 11월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소집 명단에서 타레미를 제외시켰다.#
내부 분란을 떠안은 채 이란은 결국 레바논 홈의 열악한 잔디 상황 및 침대 축구와 맞물려 레바논에게 간신히 신승했다. 하지만, 다음 경기 시리아전은 타레미 없이 3-0으로 완승하며 사실상 월드컵 본선 확정이 가깝다. 그동안 골이 없던 사르다르 아즈문은 2경기 연속 골을 기록했다.
6. 통산 기록
6.1. 클럽 기록
시즌 | 구단 | 리그 | 출전 [13] | 득점 | 도움 | |||||||||||||||||||||||||||||||||||||||||||||
2010-11 | 샤힌 | 페르시안 걸프 리그 | 6 | 1 | 0 | |||||||||||||||||||||||||||||||||||||||||||||
2011-12 | 샤힌 | 페르시안 걸프 리그 | 2 | 0 | 0 | |||||||||||||||||||||||||||||||||||||||||||||
2013-14 | 이란자반 | 아자데간 리그 | 12 | 7 | - | |||||||||||||||||||||||||||||||||||||||||||||
2014-15 | 페르세폴리스 | 페르시안 걸프 리그 | 38 | 8 | 7 | |||||||||||||||||||||||||||||||||||||||||||||
2015-16 | 페르세폴리스 | 페르시안 걸프 리그 | 27 | 18 | 5 | |||||||||||||||||||||||||||||||||||||||||||||
2016-17 | 페르세폴리스 | 페르시안 걸프 리그 | 39 | 25 | 6 | |||||||||||||||||||||||||||||||||||||||||||||
2017-18 | 페르세폴리스 알 가라파 | 페르시안 걸프 리그 카타르 스타스 리그 | 24 | 14 | 8 | |||||||||||||||||||||||||||||||||||||||||||||
2018-19 | 알 가라파 | 카타르 스타즈 리그 | 25 | 10 | 5 | |||||||||||||||||||||||||||||||||||||||||||||
2019-20 | 히우 아브 | 프리메이라 리가 | 37 | 21 | 5 | |||||||||||||||||||||||||||||||||||||||||||||
2020-21 | FC 포르투 | 프리메이라 리가 | 51 | 23 | 18 | |||||||||||||||||||||||||||||||||||||||||||||
2021-22 | FC 포르투 | 프리메이라 리가 | 48 | 26 | 17 | |||||||||||||||||||||||||||||||||||||||||||||
2022-23 | FC 포르투 | 프리메이라 리가 | 51 | 31 | 14 | |||||||||||||||||||||||||||||||||||||||||||||
2023-24 | FC 포르투 | 프리메이라 리가 | 35 | 11 | 7 | |||||||||||||||||||||||||||||||||||||||||||||
2024-25 | 인테르 | 세리에 A | 43 | 3 | 7 | |||||||||||||||||||||||||||||||||||||||||||||
합계 | 총합 438경기 198골 99도움 |
6.2. 대회 기록
- 페르세폴리스 FC (2014~2018)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2016-17, 2017-18
- 이란 슈퍼컵: 2017
- 알 가라파 SC (2018~2019)
- 스타스컵: 2018-19
- FC 포르투 (2020~2024)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 CAFA 네이션스컵: 2023
6.3. 개인 수상
- FIFA 푸스카스상 2위: 2021
- 이란 축구 연맹 올해의 선수: 2015-16, 2016-17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득점왕: 2015-16, 2016-17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올해의 공격수: 2014-15, 2015-16, 2016-17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올해의 팀: 2014-15, 2015-16, 2016-17
- 아자데간 리그 득점왕[14]: 2013-14
- 히우 아브 올해의 선수: 2019-20
- 프리메이라 리가 득점왕: 2022-23[15]
- 프리메이라 리가 도움왕: 2020-21
- 프리메이라 리가 올해의 팀: 2019-20, 2020-21, 2021-22, 2022-23
- 프리메이라 리가 이달의 선수: 2020년 12월, 2021년 01월 • 02월, 2022년 09월
- 프리메이라 리가 이달의 공격수: 2022년 09월
- SJPF 이달의 선수: 2021년 01월, 2022년 09월 • 11월 • 12월
- UEFA 팬 선정 토너먼트의 골: 2020-21#
-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득점왕: 2022[16]
-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의 팀: 2023
- IFFHS AFC 올해의 팀: 2022#, 2023#
- IFFHS AFC 올해의 최다 득점자: 2022#
- CAFA 네이션스컵 MVP: 2023
- CAFA 네이션스컵 득점왕: 2023
6.4. 개인 기록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리그 득점왕[17]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리그 도움왕[18]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한 시즌 리그 최다 득점: 22골[19]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한 시즌 리그 최다 도움: 15개[20]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한 시즌 리그 최다 공격포인트: 31P[21]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통산 리그 최다 득점: 82골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통산 리그 최다 도움: 45개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통산 리그 최다 공격포인트: 127개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네 시즌 연속 리그 두 자릿수 득점[22]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두 시즌 연속 리그 20득점[23]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두 시즌 연속 리그 10-10(득점-도움)[24]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이달의 선수[25]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다 이달의 공격수[26]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올해의 팀[27][28]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해트트릭 달성: CD 아베스전[29]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다 해트트릭 달성: CD 아베스전[30], 톤델라전[31], 포르티모넨세전[32], 아로카전[33], 파말라캉전[34]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리그 5경기 연속 공격포인트[35]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리그 4시즌 연속 두 자릿수 득점[36]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리그 5시즌 연속 10개 이상 공격포인트[37]
- 프리메이라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리그 3시즌 연속 30개 이상 공격포인트[38]
- 타사 드 포르투갈 아시아 선수 한 시즌 최다 득점: 5골[39]
- 타사 드 포르투갈 아시아 선수 최초 5경기 연속득점[40]
- 타사 드 포르투갈 아시아 선수 최초 3회 연속 우승[41]
- 타사 다 리가 아시아 선수 최초 우승[42]
- 유럽 리그 아시아 선수 한 시즌 리그 최다 도움: 15개[43][44]
- 유럽 리그 아시아 선수 한 시즌 최다 공격포인트: 45P[45][46]
- 유럽 리그 아시아 선수 최다 올해의 팀 수상[47]
- 유럽 리그 아시아 선수 최초 두 시즌 연속 리그 20 득점[48]
- 유럽 리그 아시아 선수 최초 3시즌 연속 공격포인트 40P[49]
- 유럽 리그 아시아 선수 최초 4시즌 연속 20골[50]
- 유럽 리그 이란 선수 최다 연속 시즌 10개 이상 리그 공격포인트[51]
- 유럽 리그 이란 선수 최다 연속 시즌 10개 이상 공격포인트[52]
- 유럽 리그 이란 선수 최다 연속 시즌 20개 이상 공격포인트[53]
- 유럽 리그 이란 선수 최다 연속 시즌 두 자릿수 득점[54]
- FIFA 월드컵 아시아 선수 최초 한경기 2득점[55]
- FIFA 월드컵 이란 선수 최다 본선 득점: 2골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이주의 선수 수상[56]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한 경기 최다 공격포인트: 1골 2도움[57][58]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한 시즌 최다 득점: 5골[59][60]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한 시즌 최다 도움: 3개[61]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한 시즌 최다 공격포인트: 7P[62][63]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최다 시즌 연속 득점[64][65]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통산 최다 도움: 9개
- UEFA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선수 최초 준결승전 도움[66]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통산 최다 경기 출장: 39경기[67]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통산 최다 득점: 11골[68]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통산 최다 공격포인트: 20P[69]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조별리그 최다 득점: 9골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최초 토너먼트 득점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최다 토너먼트 득점: 2골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최다 MOM[70][71]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최초 이주의 팀[72]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최초 준결승전 공격포인트[73][74]
- UEFA 챔피언스 리그 이란 선수 두번째로 결승 진출[75]
- 아시아 선수 최다 유럽의 FA컵 대회 연속 우승[76][77]
- 이란 선수 최다 UEFA 대회 통산 본선 공격포인트[78]
7. 타레미에 대한 언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흐디 타레미/관련 언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흐디 타레미/관련 언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여담
- 많은 공격포인트를 기록한 만큼 강팀들에게 기록한 순도가 높은 골과 어시스트가 제법 많은데 히우 아브 FC에서 뛰던 시절에는 프리메이라 리가의 빅4 강팀에게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스포르팅 CP에게 무려 어시스트 3개와 리그 후반기에는 포르투, 벤피카, 브라가에게 골을 기록하였는데 브라가에게는 멀티골을, 벤피카에게는 타사 드 포르투갈 대회에서도 골을 넣었다. 20-21 시즌에도 초반부터 매서운 기세로 초반 리그 5~7위[79]에 있던 비토리아 데 기마랑이스에게 골을 기록하였고 21-22 시즌에는 비토리아 데 기마랑이스에게 1골, 이 시즌 리그 5위 돌풍을 일으키던 길 비센테에게 1골 1도움을 기록하였고 리그 22라운드 스포르팅에게 1골 1도움의 맹활약을 함으로 마침내 포르투갈 리그 빅4팀 모두에게 골 기록을 완성시켰고 덤으로 스포르팅에게는 타사 드 포르투갈 컵대회에서도 1골 1도움을 기록했다. 게다가 유럽 대항전에서도 챔피언스 리그에서 유벤투스에게 1골 1도움, 첼시 1골,리버풀 1골, AC밀란 1골 1도움, 레버쿠젠 2골,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게 1골을 기록하였으며 유로파 리그에서는 라치오 1골 1도움을 그리고 카타르 월드컵에서 잉글랜드에게 2골을 기록하였다.
|
* 차범근처럼 중간에 경력이 단절되었는데 한국처럼 K리그 상무에서 축구를 하는 개념이 아닌 말 그대로 해안경비대에서 현역병으로 복무하였다. 상무팀에 지원했다가 떨어졌다고.
* 포르투에서 꽤 오랜 기간 머물렀음에도 포르투갈어를 쓰지 않고 팀원들과 주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모습이 많은데 인터뷰를 포르투갈어로 아예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 서투른 부분이 많은듯 하다. 그래서인지 인테르에 갈 때는 이탈리아어를 좀 배워서 갔다고 한다. [80]
|
* FC 24의 Ultimate Team™ 게임 모드에서 올해의 팀 공격수 부문 후보에 오른 최초의 이란인이 되으며 손흥민, 이강인, 쿠보 타케후사와 더불어 몇 안되는 아시아 선수다.
- 카타르항공 광고를 찍었는데# 구단은 광고 동영상에서 페르시아만 이름을 사용한 것에 대해 문제삼아 페르시아만 국가의 아랍 팬들이 항의하자 페이지에서 메흐디 타레미의 광고 동영상을 삭제했다.# 그러자 이번엔 반대로 이란 팬들이 페르시아만 맞는데 왜 영상 내렸냐고 항의했다. 그 후에도 인테르 인스타에서는 페르시아 만을 열심히 홍보하
며 아라비아만을 열심히 까내리는 이란인들의 댓글들을 종종 볼 수 있다.
- 본의 아니게 인테르 인스타의 조회수와 댓글 수의 기복을 심화시킨 장본인이다. 인테르 측에서도 이걸 알아서 팀 훈련 사진 게시물 등에서 타레미를 반드시 넣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여전히 부족한 출전 시간과, 경기 시각 표시 게시물에서의 테헤란 누락에 대한 불만도 많아지자, 후자에 대해서는 선수 본인이 인스타 스토리에 테헤란에서의 경기 시각을 병기한 게시물을 따로 만들어 올리고 있다.
- 반전 매력의 소유자다. 기품 있는 인상의 서남 아시아 미남이지만, 웃으면 앞니가 살짝 벌어져 있다. [81] 그리고 목소리가 상당한 하이톤이다. 심지어 코 파다가 걸린 적도 있다(...) 찍지 말라고 손 흔드는 모습은 덤
- FC 포르투 마지막 시즌, 시즌이 채 끝나기도 전에 밀라노에 방문한 모습이 포착되어 포르투 팬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그 몇 주 전에는 형이 사전 답사를 왔다.
- FC 포르투의 라이벌 팀인 스포르팅 CP 공식 홈페이지에서 그를 언급하면서 '늘 서커스를 할 준비가 돼 있는 진정한 뱀 기교사[82]'라고 언급했다가 포르투 팬들과 이란인들은 물론 주 포르투갈 이란 대사에게까지 항의를 받고 그 글을 지운 적이 있다.
- 외국에서는 저평가가 심한 선수로 꼽힌다.
- 자국의 상황이 상황이다 보니 구호 활동이나 SNS상 구명 발언도 자주 한다. 학비를 계속 밀려 어머니까지 공개적인 모욕을 당한 자국 소녀의 후원자를 자청했다던지, 신성모독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은 자국 래퍼 타탈루의 형 집행을 취소하라는 요구를 했다던지 등등. 결국 이란 법정도 타탈루의 사형 선고를 재고하기로 했다. #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보다는 마르쿠스 튀랑을 주전 경쟁 상대로 더 의식하고 있는 듯하다. 신체 조건도 더 비슷하지만, 무엇보다 이니셜이 MT[83]로 똑같은 데다 1년 더 일찍 밀라노에 온 튀람이 9번을 선점했기 때문. 타레미의 인스타그램에 올라오는 사진들도 잘 보면 등번호가 9 하나만 나와 보이는 사진들이 많다. [84]
9. 같이 보기
올림피아코스 FC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올림피아코스 FC 2024-25 시즌 스쿼드 | ||||||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1 | GK | | 알렉산드로스 파스찰라키스 | Alexandros Paschalakis | |||
3 | DF | | 프란시스코 오르테가 | Francisco Ortega | |||
4 | DF | | 지울리안 비앙콘 | Giulian Biancone | |||
5 | DF | | 로렌초 피롤라 | Lorenzo Pirola | |||
6 | DF | | 넬슨 애비 | Nelson Abbey | |||
8 | MF | | 마르코 스타메니치 | Marko Stamenić | [1] | ||
9 | FW | | 아유브 엘카비 | Ayoub El Kaabi | |||
10 | FW | | 젤송 마르틴스 | Gelson Martins | |||
11 | MF | | 크리스토페르 벨데 | Kristoffer Velde | |||
14 | MF | | 다니 가르시아 | Dani García | |||
17 | FW | | 로만 야렘추크 | Roman Yaremchuk | |||
18 | FW | | 윌리안 | Willian | |||
19 | MF | | 요르고스 마수라스 | Giorgos Masouras | |||
20 | DF | | 코스티냐 | Costinha | |||
22 | MF | | 시키뉴 | Chiquinho | |||
23 | DF | | 호지네이 | Rodinei | |||
29 | MF | | 테오파니스 바쿠라스 | Theofanis Bakoulas | |||
31 | GK | | 니콜라오스 보티스 | Nikolaos Botis | |||
32 | MF | | 산티아고 에세 | Santiago Hezze | |||
45 | DF | | 파나요티스 레초스 | Panagiotis Retsos | |||
50 | FW | | 루이스 팔마 | Luis Palma | [2] | ||
64 | MF | | 안토니스 파파카넬로스 | Antonis Papakanellos | |||
65 | DF | | 아포스톨로스 아포스톨로풀로스 | Apostolos Apostolopoulos | |||
67 | DF | | 이시도로스 쿠치디스 | Isidoros Koutsidis | |||
74 | DF | | 안드레아스 은토이 | Andreas Ntoi | |||
88 | GK | | 콘스탄티노스 촐라키스 | Konstantinos Tzolakis | |||
96 | MF | | 크리스토스 무자키티스 | Christos Mouzakitis | |||
97 | MF | | 유수프 야즈즈 | Yusuf Yazıcı | |||
99 | GK | | 알렉산드로스 아나그노스토풀로스 | Alexandros Anagnostopoulos | |||
<colbgcolor=#c10e17> 구단 정보 | |||||||
구단주: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 감독: 호세 루이스 멘딜리바르 / 홈구장: 요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 |||||||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2월 1일 |
[1] 노팅엄 포레스트 FC에서 임대[2] 셀틱 FC에서 임대
}}}}}}}}} ||
| 현역 이란인 유럽파 축구 선수 | |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0000 1%, #fff 10%, #fff 30%, #239f40 59%)"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1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tablewidth=100%> No. 90 | ||
알라햐르 사이야드마네시 | }}}}}} | |||
| No. 5 | No. 6 | No. 13 | |
마지드 호세이니 | 알리 카리미 | 밀라드 모함마디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158bcc, #0e9fdb, #29bfef, #72cef4, #0e9fdb, #00518a)" | No. 26 | No. 11 |
카림 안사리파드 |
| No. 2 |
사데그 모하라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AD6, #006896, #000014)" | No. 10 |
알리 골리자데 |
| ||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o. 9 | No. 11 |
모하마드 모헤비 | 카스라 타헤리 | |
No. 96 | No. 10 | |
아미르호세인 레이반디 | 사이드 사하르히잔 | |
No. 10 | ||
모하마드자바드 호세인네자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0000 1%, #fff 10%, #fff 30%, #239f40 59%)"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2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tablewidth=100%> No. | ||
아미르 아베드자데 |
}}}}}}}}}}}}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 <rowcolor=#ff0000>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colbgcolor=#0b090c> GK | 1 | 알리레자 베이란반드 (Alireza Beiranvand) | 1992년 9월 21일 ([age(1992-09-21)]세) | 75 | 0 | | |
12 | 파얌 니아즈만드 (Payam Niazmand) | 1995년 4월 6일 ([age(1995-04-06)]세) | 9 | 0 | | ||
22 | 호세인 호세이니 (Hossein Hosseini) | 1992년 6월 30일 ([age(1992-06-30)]세) | 11 | 0 | | ||
DF | 4 | 쇼자 칼릴자데 (Shojae Khalilzadeh) | 1989년 5월 14일 ([age(1989-05-14)]세) | 46 | 2 | | |
5 | 밀라드 모함마디 (Milad Mohammadi) | 1993년 9월 29일 ([age(1993-09-29)]세) | 65 | 1 | | ||
13 | 알리 네마티 (Ali Nemati) | 1996년 2월 7일 ([age(1996-02-07)]세) | 2 | 0 | | ||
14 | 모하마드 다네슈가르 (Mohammad Daneshgar) | 1994년 01월 24일 ([age(1994-01-24)]세) | 2 | 0 | | ||
15 | 아민 하즈바비 (Amin Hazbavi) | 2003년 5월 6일 ([age(2003-05-06)]세) | 3 | 0 | | ||
23 | 아리아 유세피 (Aria Yousefi) | 2002년 4월 22일 ([age(2002-04-22)]세) | 4 | 0 | | ||
MF | 2 | 모하마드자바드 호세인네자드 (Mohammad Javad Hosseinnejad) | 2003년 6월 26일 ([age(2003-06-26)]세) | 3 | 0 | | |
3 | 모하마드 고르바니 (Mohammad Ghorbani) | 2001년 5월 21일 ([age(2001-05-21)]세) | 5 | 0 | | ||
6 | 사에이드 에자톨라히 (Saeid Ezatolahi) | 1996년 10월 1일 ([age(1996-10-01)]세) | 72 | 1 | | ||
7 | 알리레자 자한바크슈 (Alireza Jahanbakhsh) | 1993년 8월 11일 ([age(1993-08-11)]세) | 88 | 17 | | ||
8 | 모하마드 모헤비 (Mohammad Mohebi) | 1998년 12월 20일 ([age(1998-12-20)]세) | 25 | 8 | | ||
10 | 메흐디 가예디 (Mehdi Ghayedi) | 1998년 12월 5일 ([age(1998-12-05)]세) | 23 | 8 | | ||
11 | 알리 골리자데 (Ali Gholizadeh) | 1996년 3월 10일 ([age(1996-03-10)]세) | 39 | 6 | | ||
16 | 메흐디 토라비 (Mehdi Torabi) | 1994년 9월 10일 ([age(1994-09-10)]세) | 51 | 7 | | ||
17 | 모하마드 카리미 (Mohammad Karimi) | 1996년 6월 20일 ([age(1996-06-20)]세) | 5 | 0 | | ||
18 | 아미르후세인 후세인자데 (Amirhossein Hosseinzadeh) | 2000년 10월 30일 ([age(2000-10-30)]세) | 3 | 0 | | ||
21 | 오미드 누라프칸 (Omid Noorafkan) | 1997년 4월 9일 ([age(1997-04-09)]세) | 26 | 1 | | ||
FW | 9 | 메흐디 타레미 (Mehdi Taremi) | 1992년 7월 18일 ([age(1992-07-18)]세) | 89 | 51 | | |
19 | 샤흐리야르 모간루 (Shahriyar Moghanlou) | 1994년 12월 21일 ([age(1994-12-21)]세) | 13 | 2 | | ||
20 | 사르다르 아즈문 (Sardar Azmoun) | 1995년 1월 1일 ([age(1995-01-01)]세) | 87 | 55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 2024년 10월 10일(목) | 원정 | | |||
2024년 10월 15일(화) | 중립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1 베이란반드 · 2 토라비 · 3 하지사피 · 4 체슈미 · 5 모함마디 · 6 에자톨라히 · 7 쇼자에이 ⓒ · 8 푸랄리간지 · 9 에브라히미 · 10 안사리파드 11 아미리 · 12 마자헤리 · 13 칸자데흐 · 14 고도스 · 15 몬타제리 · 16 구차네자드 · 17 타레미 · 18 자한바크시 19 호세이니 · 20 아즈문 · 21 데자가 · 22 아베드자데 · 23 레자에이안 |
|
1 베이란반드 · 2 가푸리 · 3 하지사피 · 4 체슈미 · 5 모함마디 · 6 누롤라히 · 7 쇼자에이 ⓒ · 8 푸랄리간지 · 9 에브라히미 · 10 안사리파드 11 아미리 · 12 아베드자데 · 13 카나니 · 14 고도스 · 15 몬타제리 · 16 토라비 · 17 타레미 · 18 자한바크시 · 19 호세이니 20 아즈문 · 21 데자가 · 22 니아즈만드 · 23 레자에이안 |
|
1 베이란반드 · 2 모하라미 · 3 하지사피 ⓒ · 4 칼릴자데 · 5 모함마디 · 6 에자톨라히 · 7 자한바크시 · 8 푸랄리간지 · 9 타레미 10 안사리파드 · 11 아미리 · 12 아베드자데 · 13 카나니 · 14 고도스 · 15 체슈미 · 16 토라비 · 17 골리자데 · 18 카리미 19 호세이니 · 20 아즈문 · 21 누롤라히 · 22 니아즈만드 · 23 레자에이안 · 24 호세이니 · 25 잘랄리 |
|
1 베이란반드 · 2 모하라미 · 3 하지사피 ⓒ · 4 칼릴자데 · 5 모함마디 · 6 에자톨라히 · 7 자한바크시 · 8 에브라히미 · 9 타레미 10 안사리파드 · 11 아사디 · 12 니아즈만드 · 13 카나니 · 14 고도스 · 15 체슈미 · 16 토라비 · 17 골리자데 · 18 가예디 19 호세이니 · 20 아즈문 · 21 모헤비 · 22 호세이니 · 23 레자에이안 · 24 유세피 · 25 팔라 · 26 모간루 |
|
[1] 2024년 8월 12일, AFC 기술 연구 그룹에서 별도로 선정#[2] 컴플리트 포워드 스타일의 스트라이커이며, 세컨드 스트라이커도 소화 가능하다.[3] 2026년 9월 10일 기준.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A매치 득점 순위 3위[4] 2025년 3월 26일 기준.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46골, 카타르 스타스 리그 12골, 프리메이라 리가 82골, 세리에 A 1골, 국가대표 54골)[5] 가족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는 타레미의 가족들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가족으로, 인스타그램 계정도 있으며 동생 대신 밀라노 탐방도 왔다.[6] 자국 이란은 징병제를 실시하는 대표적인 국가로, 이에 타레미 또한 현역병으로 군복무를 수행했다. #[7] 손흥민은 엄밀히 말하면 스트라이커 포지션으로 분류되진 않는다.[8] 아시아 내에서는 같은 국적의 사르다르 아즈문과 대한민국의 황의조와 조규성, 일본의 후루하시 쿄고, 우즈베키스탄의 엘도르 쇼무로도프와 비교되기도 한다. 다만 아즈문과 황의조는 컴플리트 포워드 성향의 정통 원톱인 타레미와 달리 포처나 어드밴스 포워드 성향이 더 강하긴 하다. 꾸준히 호성적을 내던 타레미에 이 둘이 잠시 도전장을 내밀기도 했지만 얼마 못가고 2021/22 시즌 이후로는 타레미가 클럽에서나 국가대표에서나 이들보다 우월한 성적을 내는 중.[9] 타레미의 국가대표 후배 아즈문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의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골을 쓸어담았으나 분데스리가의 바이어 04 레버쿠젠 이적 이후 리그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한 것인지 완전히 그저 그런 선수로 몰락해 버렸고 최악의 영입으로 선정되는 등 수난시대를 겪는 중이며 거기다가 축구에 대한 노력보다 본인의 취미 생활에 더 신경을 쓴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결국은 새로 이적하는 팀도 두바이에 연고를 두고 있는데 하필이면 두바이 월드컵 미팅이라는 대규모 경마 대회가 열리는 곳이라 재능을 낭비한다는 우려를 받고 있으며, 황의조는 PL이적을 위해 프리 시즌을 허송세월로 보내다가 도쿄 올림픽을 기점으로 우려가 있던 폼 하락의 신호탄이 터져버리는 바람에 22-23 시즌 리그 1보다 낮은 레벨의 그리스 올림피아코스 FC에서 조차 주전 경쟁에서 완전히 밀려 22-23 시즌 리그 0골 1어시 UEFA 유로파 리그 0골 0어시를 기록하는 등 더 심하게 망했다. 그나마 FC 서울 임대 이후 조금 폼을 되찾긴 했으나 FC 지롱댕 드 보르도 시절에 비하면 턱도 없는 수준. 그리고 너저분한 개인사에 휘말리면서 축구에 전력을 다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후루하시 쿄고는 앞서 말한 둘과 달리 타레미처럼 유럽 리그 득점왕 기록이 있으나 스코틀랜드 프리미어십의 수준이 앞서 말한 이들에 비해 아쉬운 수준이라 타레미가 절대적인 위치에 있다. 조규성은 덴마크 수페르리가에서 득점은 순위권이지만 리그 수준이 아쉬운 수준이고 이제 막 유럽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아직 갈길이 한참 멀다. 엘도르 쇼무로도프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와 제노아 CFC에서의 활약에 힘입어 AS 로마에 이적했으나 무색무취한 활약으로 유스 선수에게 밀려났으며 결국은 2022-23 시즌 겨울 이적 시장에서 스페치아 칼초에 임대되었는데 1골에 그쳤다.[85] 포르투갈 리그에서 타레미와 득점왕을 경쟁했던 주앙 마리우, 곤살루 하무스, 페드루 곤살베스, 히카르두 오르타가 이들보다 경쟁력에서 오히려 우위로 보일 정도다.[10] 인테르에서는 슛을 시도를 하기 보다는 포르투갈 리그에서도 선보였던 패스와 연계로 펄스 나인 역할로 주를 이루고 있다.[11] 심지어 헨리크 미키타리안,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도 오히려 타레미보다 3살이 더 많다.[12] 이 경기가 시작하기 직전 이란이 이스라엘에 미사일을 쐈다. #[13] 정규 리그, 컵, 대륙컵, 전 소속팀 등의 출전 기록을 합산[14] B조[15] 2019-20 시즌은 공동 득점 1위였으나 규정상 출전 시간이 짧은 카를로스 비니시우스에게 득점왕 타이틀이 돌아갔다.[16] 4골로 손흥민, 우레이와 공동 득점왕.[17] 2019-20 시즌은 공동 득점 1위였으나 득점왕 타이틀은 카를로스 비니시우스가 수상[18] 2020-21 시즌[19] 2022-23 시즌[20] 2020-21 시즌[21] 2021-22 시즌[22] 2019-20 시즌 ~ 2022-23 시즌[23] 2021-22 시즌, 2022-23 시즌[24] 2020-21 시즌 ~ 2021-22 시즌[25] 2022년 09월[26] 2020년 12월, 2021년 01월 • 02월, 2022년 09월[27] 2019-20 시즌 ~ 2022-23 시즌[28] 아시아 최다 선정이자 페페, 알렉스 텔리스와 더불어 역대 프리메이라 리가 공동 최다 기록[29] 2019-20 시즌[30] 2019-20 시즌[31] 2021-22 시즌[32] 2021-22 시즌[33] 2022-23 시즌[34] 2022-23 시즌[35] 2021-22 시즌[36] 2019-20 시즌 ~ 2022-23 시즌[37] 2019-20 시즌 ~ 2022-23 시즌[38] 2020-21 시즌 ~ 2022-23 시즌[39] 2020-21 시즌[40] 2020-21 시즌[41]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42] 2021-22 시즌[43] 2020-21 시즌[44] 이토 준야와 공동 최다 기록[45] 2022-23 시즌[46] 마에다 다이젠과 공동 최다 기록[47] 2019-20 ~ 2022-23 시즌[48] 2021-22 시즌, 2022-23 시즌[49] 2020-21 시즌 ~ 2022-23 시즌[50] 2019-20 시즌~ 2022-23 시즌[51] 2019-20 시즌 ~ 2023-24 시즌[52] 2019-20 시즌 ~ (진행중)[53] 2019-20 ~ 2022-23 시즌[54] 2019-20 시즌 ~ 2023-24 시즌[55]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잉글랜드전[56] 2022-23 시즌 조별리그 5차전, 손흥민과 더불어 둘뿐인 수상[57] 2024-25 시즌 FK 츠르베나 즈베즈다[58] 손흥민, 황희찬, 미나미노 타쿠미와 공동 최다 기록[59] 2022-23 시즌[60] 손흥민과 공동 최다 기록[61] 2024-25 시즌, 미나미노 타쿠미, 황희찬 설영우와 공동 최다 기록[62] 2022-23 시즌[63] 손흥민과 공동 최다 기록[64] 2020-21시즌 ~ 진행형[65] 막심 샤츠키흐, 손흥민의 종전 최다 기록 경신[66]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4강[67] 아시아 역대 4위[68] 손흥민에 이어서 막심 샤츠키흐와 공동으로 아시아 역대 두번째#[69] 손흥민의 19골 5도움에 이어서 아시아 역대 2위[70] 통산 3회[71] 2021-22 시즌 조별리그 2차전, 2022-23 시즌 조별리그 5차전, 2024-25 시즌 조별리그 2차전[72] 2022-23 시즌 조별리그 5차전[73] 2024-25 시즌[74] 박지성 이후로 아시아 선수 16년만에 공격포인트[75] 첫번째는 알리 다에이[76] 2021-22 시즌 ~ 2023-24 시즌[77] 막심 샤츠키흐와 동률[78] 챔피언스리그 11골 9도움, 유로파리그 1골 1도움##[79] 최종 리그 7위로 제법 높은 순위로 마무리 했다[80] 그러나 인테르에서도 영어로 주로 말하는데, 이는 성격 탓도 있는 듯하다. 헨리크 미키타리안에 의하면 수줍음이 많다고 한다. 참고로 미키타리안은 특유의 언어 재능으로 막 이적한 타레미의 통역을 도와줬기에 타레미 본인이 그를 각별히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으며, 실제로 타레미는 인테르 팀원들 중에선 미키타리안과 붙어 다니는 모습이 가장 자주 보인다. 아무래도 서로의 나라가 사이가 좋기도 한 것도 있고.[81] 자국의 만평가 하미드 사하리는 이 벌어진 앞니를 특히 강조해서 아예 치아가 하나 빠진 것처럼 보인다(...)[82] snake charmer. 주로 인도 쪽에서 피리 불어서 단지에 있는 뱀을 춤추게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 맞다.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이란 쪽엔 이런 문화가 없다고 한다.[83] Mehdi Taremi, Marcus Thuram[84] 상술한 테헤란 시간대 병기 인스타 스토리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분류
- 메흐디 타레미
- 1992년 출생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
- FC 포르투/은퇴, 이적
- 페르세폴리스 FC/은퇴, 이적
- 알 가라파 SC/은퇴, 이적
- 히우 아브 FC/은퇴, 이적
- 샤힌 부셔흐르 FC/은퇴, 이적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은퇴, 이적
- 올림피아코스 FC/현역
- 2014 AFC U-22 챔피언십 오만 참가 선수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
-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
- 이란의 AFC U-23 아시안컵 참가 선수
- 이란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부셰르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