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2 18:46:57

메가라학파

메가라 학파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고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헬레니즘 전 철학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
탈레스 · 아낙시만드로스 · 아낙시메네스 · 크세노파네스 · 피타고라스피타고라스 학파 (메타폰툼의 히파소스 · 알크마이온) · 파르메니데스 · 엘레아의 제논 · 멜리소스 · 헤라클레이토스 · 크라튈로스 · 엠페도클레스 · 아낙사고라스 · 아르켈라오스 · 아폴로니아의 디오게네스 · 레우키포스 · 데모크리토스
소피스트들 프로타고라스 · 레온티노이의 고르기아스 · 트라쉬마코스 · 케오스의 프로디코스 · 엘리스의 히피아스 · 안티폰 · 크리티아스 · 칼리클레스 · 테베의 프록세노스 · 알키다마스 · 키오스의 리큄니오스 · 뤼코프론 · 아크라가스의 폴로스 · 아테네의 프로타르코스 · 크세니아데스 · 이소크라테스 · 파르살로스의 메논 · 익명의 소피스트 단편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학파와 전통 크세노폰 · 스페토스의 아이스키네스 ·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메가라 학파 (헤라클레이아의 브뤼손 · 투리오이의 클레이노마코스 · 밀레토스의 에우불리데스 · 칼케돈의 디오뉘시오스 · 폴뤽세노스 · 알렉시노스 · 판토이데스 · 디오도로스 크로노스 · 메가라의 필론 · 스틸폰 · 메가라의 니카레테) · 엘리스의 파이돈엘리스 학파 · 에레트리아의 메네데모스에레트리아 학파 · 키레네의 아리스티포스키레네 학파 (키레네의 아레테 · 소 아리스티포스 · 헤게시아스 페시타나토스 · 안니케리스 · 키레네의 테오도로스 · 키레네의 안티파트로스 · 키레네의 아리스토텔레스) · 안티스테네스 · 시노페의 디오게네스 · 초기 키니코스 학파 (오네시크리토스 · 테베의 크라테스 · 히파르키아 · 보뤼스테네스의 비온 · 가다라의 메니포스 · 메가라의 텔레스 · 케르키다스 · 에이기나의 필리스코스 · 모니모스 · 메트로클레스 · 메네데모스 · 가다라의 멜레아그로스) · 위-소크라테스
플라톤
플라톤의 저작 소크라테스의 변명 · 크리톤 · 카르미데스 · 라케스 · 뤼시스 · 크라튈로스 · 이온 · 에우튀프론 · 프로타고라스 · 에우튀데모스 · 고르기아스 · 메논 · 향연 · 파이돈 · 메넥세노스 · 파르메니데스 · 테아이테토스 · 파이드로스 · 국가 · 소피스테스 · 정치가 · 필레보스 · 티마이오스 · 크리티아스 · 법률 · 위-플라톤 (알키비아데스 1 · 대 히피아스 · 소 히피아스 · 클레이토폰 · 테아게스 · 알키비아데스 2 · 에피노미스 · 안테라스타이 · 히파르코스 · 미노스 · 호로이)
고아카데미아 스페우시포스 · 크세노크라테스 ·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 · 헤라클레이데스 폰티코스 · 오푸스의 필리포스 · 아테네의 폴레몬 · 아테네의 크라테스 · 솔로이의 크란토르
아리스토텔레스
전기 소요학파 테오프라스토스 · 로도스의 에우데모스 · 메논 · 로도스의 파시클레스 · 스켑시스의 넬레우스 · 메세네의 디카이아르코스 · 타렌툼의 아리스톡세노스 · 솔로이의 클레아르코스 · 에레수스의 파이니아스 · 헤라클레아의 카마일레온 · 사모스의 두리스 · 팔레룸의 데메트리오스 · 프락시파네스 · 람프사코스의 스트라톤 ·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 로도스의 히에로뉘모스 · 트로아스의 뤼콘 · 케오스의 아리스톤 · 프뤼타니스 · 포르미온 · 파셀리스의 크리톨라오스
헬레니즘-로마 제국 철학
안티스테네스 · 디오게네스
스토아학파 제논 · 세네카 · 에픽테토스 · 아우렐리우스 / 절충주의: 키케로
에피쿠로스 · 루크레티우스
회의주의 피론 · 아이네시데모스 · 엠피리쿠스
플로티누스 · 포르피리오스 · 프로클로스
기타 학파 아카데미아학파 }}}}}}}}}

1. 개요2. 존재론3. 주요 철학자

1. 개요

메가라학파(Μεγαρική σχολή) : (Ἀγάθων)의 본질은 존재에 있다.

아테네에서 멀지 않은 메가라(Μέγαρα) 출신의 에우클레이데스[1]에 의해 창설된 학파.

BC 4세기 초~BC 3세기 초에 활약한 논쟁가 ·변증가들로 이루어졌다. 에우클레이데스가 스승인 소크라테스의 윤리설을 엘레아학파의 일원론(一元論)과 결부시켜 창시하였고, 선(善)의 유일불변한 실재성을 주장하였다. 나중에는 에우불리데스 ·스틸폰 등이 중심이 되어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하는 일에 시종하였으며 많은 패러독스를 안출하였지만, 그와 동시에 명제논리학(命題論理學)을 창시하여 스토아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2]

이들 중 일부 철학자들은 변증법에 천착하여 변증학파라는 별도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2. 존재론

에우클레이데스는 스승인 소크라테스의 윤리이론을 파르메니데스존재론과 결합시켰다. 그는 파르메니데스의 '존재(자)'와 소크라테스의 '선'을 동일시했다. 존재자는 선해야 존재자라고 할 수 있으며, 선한 것만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선과 존재가 하나의 통일성을 이루고 있다. 존재한다는 것과 선하다는 것은 동일한 의미이다. 선이야말로 모든 존재자들의(현상)의 근원이 되는 존재자(아르케)라는 것이다. "(善)은 여러 가지 이름을 갖고 있어서 때로는 지혜, 때로는 (神), 때로는 이성이라고 불리지만 선은 하나이다." " 선과 대립하는 것은 실재하지 않는다." 그는 파르메니데스존재론을 윤리적으로 확장했으며, 소크라테스의 윤리학존재론으로 확장했다고 할 수 있다.[3]

3. 주요 철학자

  •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
  • 이크티아스: 기원전 4세기 중반 활동. 에우클레이데스의 후계자로서 메가라학파를 이끌었다.
  • 밀레투스의 에우불리데스: 거짓말쟁이의 역설을 비롯해 7가지 주요한 역설을 개발했다.
  • 클리노마코스: 변증법에 천착하였으며, 이로 인해 매우 유명해져 별도의 학파를 설립할 정도였다.
  • 스틸포: 기원전 4세기 후반~기원전 3세기 초반 활동. 보편이 개별 혹은 구체적인 것에 속해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변증법에도 천착했으며, 윤리학적으로는 키니코스 학파의 영향을 받았다. 당시에는 상당한 유명인이었다.


[1] Εὐκλείδης: BC 435 추정 ~BC 365 추정.[2] 네이버 지식백과 메가라학파 (두산백과)[3] 한 권으로 읽는 서양철학 p.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