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레이달링융단비단뱀(머레이달링카펫파이톤) Murray-darling carpet python | |
| |
학명 | Morelia spilota metcalfei Barker & Barker, 1994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파충강 Reptilia |
목 | 뱀목 Squamata |
과 | 비단뱀과 Pythonidae |
속 | 모렐리아속 Morelia |
종 | 융단비단뱀 M. spilota |
아종 | 머레이달링융단비단뱀 M. s. metcalfei |
멸종위기등급 | |
|
|
머레이달링융단비단뱀의 전신 |
1. 개요
융단비단뱀의 아종.2. 특징
몸길이는 2.4~2.7m 정도다. 호주 동남부에 서식하며 은빛에 검은 무늬가 특징이다. 서식 환경은 보통 강가나 늪지대 근처 숲에서 많이 서식하며 서식 반경은 꽤 넓은 데 비해 발견하기 어렵다. 서식지 파괴, 외래종인 붉은여우의 습격으로 개체수가 줄었고 특히 서식지 중 최남단은 멸종 위기 수준으로 개체 수가 매우 줄어들었기 때문이다.다른 아종들과 달리 계절에 따른 이주 현상을 보인다. 겨울에는 북쪽 바위지대에서 추위를 이겨내고, 여름에는 먹이를 찾아 남쪽 숲으로 내려가는 편이다. 그 도중에 탈진이나 로드킬로 죽거나 천적들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3. 사육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융단비단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융단비단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호주를 제외한 타 국가에서는 인기가 그리 많지 않아 사육되는 숫자가 적은 편이다. 호주 사육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WC 개체들은 예민한 모습을 보이지만 자신들을 공격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하였다. 사육 환경에서 따로 적응 기간을 두지 않아도 먹이를 잘 받아먹는다고 한다. 그리고 번식기에 수컷 간 싸움이 없고 메이팅도 어렵지 않아 CB 개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