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11:44:01

융단비단뱀

융단비단뱀(카펫 파이톤, 카펫비단뱀)
Carpet python
파일:카펫 왕뱀.jpg
학명 Morelia spilota
Lacépède, 1804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Reptilia
뱀목Squamata
아목 뱀아목Serpentes
비단뱀과Pythonidae
모렐리아속Morelia
융단비단뱀M. spilot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3. 유전 변이4. 사육
4.1. 사육장의 환경4.2. 온도 및 습도4.3. 먹이4.4. 특이 사항

1. 개요

비단뱀의 일종이다.

2. 특징

서식지는 호주, 뉴기니, 비스마르크, 솔로몬 군도에 서식한다.크기는 2~4m에 무게는 15kg정도이며 비단뱀이기 때문에 독이 없다. 수명은 15~20년 정도고 10~5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어릴 때는 사납지만 다 자라면 온순해 진다.[1]

먹이는 , 박쥐, , 도마뱀, 포섬과 같은 중소형 유대류 등이다.

융단비단뱀비단구렁이의 한 종류인 Morelia 속으로 분류되며 이 속 특징은 주로 교목성[2]파이톤 위주로 많이 분류되어 있다.

초록나무비단뱀과 같은 속에 속한 근연종으로, 그둘의 교잡종이 태어난 사례도 있다.

야생 개체 수가 꽤 흔해 IUCN 리스트에 LC[3]등급에 있으나 호주 정부의 자국 생물 해외 반출 제한 정책 및 애완용으로 높은 인기가 있어 CITES II 급에 속해있다.

많은 뱀들이 그렇듯 이들도 야행성이다.

3. 유전 변이

여러 유전 변이가 존재한다.

파일:파푸안 카펫 파이톤.jpg
이리안자야 융단비단뱀
흔히 파푸안 융단비단뱀으로도 불리는 가장 유명한 유전 변이.

파일:정글 카펫 파이톤.jpg
정글 융단비단뱀
이리안자야와 더불어 인기가 많고 유명한 융단비단뱀의 유전 변이다.

파일:그래닛 카펫 파이톤.jpg
그래닛 융단비단뱀
버마비단뱀의 그래닛 아종과 비슷해 보이며, 다른 아종들과 크로스 브리딩으로 탄생한 하이브리드 개체들이 존재한다.

파일:제브라 카펫 파이톤.jpg
제브라 융단비단뱀
인기가 꽤 높은 편에 속하며, 다른 아종들과 크로스 브리딩으로 태어난 하이브리드 개체들도 꽤 많다.

파일:슈퍼 제브라 카펫 파이톤.jpg
슈퍼 제브라 융단비단뱀
제브라의 유전 변이.

파일:아이보리 카펫 파이톤.jpg
아이보리 융단비단뱀
아이보리 계열의 융단비단뱀.

파일:아잔틱 카펫 파이톤.jpg
아잔틱 융단비단뱀
아잔틱 계열의 융단비단뱀.

파일:스트라이프 카펫 파이톤.jpg
스트라이프 융단비단뱀
스트라이프 계열의 융단비단뱀.

파일:코스탈 카펫 파이톤.jpg
코스탈 융단비단뱀
유전 변이 중에서 평균 크기가 가장 큰 유전 변이종이며, 정글아종과 깊은 관계가 있다.

파일:다이아몬드 카펫 파이톤.jpg
다이아몬드 융단비단뱀
흔히 다이아몬드 파이톤이라 부르는 융단비단뱀의 유전 변이.

파일:알비노 카펫 파이톤.jpg
알비노 융단비단뱀
정글과 마찬가지로 가장 유명한 유전 변이로, 다른 아종들과 크로스 브리딩 된 하이브리드 아종들도 많은 편이다.

파일:멜라니스틱 카펫 파이톤.jpg
멜라니스틱 융단비단뱀
흰입술비단뱀을 닮은 유전 변이.

파일:타이거 카펫 파이톤.jpg
타이거 융단비단뱀
타이거 계열의 융단비단뱀.

파일:인랜드 카펫 파이톤.jpg
인랜드 융단비단뱀
유일하게 호주 내륙에 서식하는 유전 변이로, 수상성 기질이 상당히 강해 초원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파일:사우스 웨스턴 카펫 파이톤.jpg
사우스 웨스턴 융단비단뱀
해외에서는 정확한 사육 기록 자체가 없다시피 하며 국내에서는 인지도 자체가 없다.

4. 사육

융단비단뱀 역시 인간의 손에 충분히 길러질 수 있는 뱀이다.
다만, 이들도 파충류이고 생물이기 때문에 여러 조건이 필요하다.[4]
분양가가 저렴한 편이 아니고,[5] 사육장 등 여러 환경 세팅을 해주다 보면 적어도 개체 분양비 포함 60만원이 들기 때문에 생각 외로 자본이 든다.

4.1. 사육장의 환경

이들은 교목성이자 2~4m까지 자라는 중/대형 비단뱀이기 때문에 충분히 지낼 수 있는 가로 4자[6]정도의 길이, 세로는 이들이 충분히 즐길 수 있는 타고 놀 것이 구비될 정도의 높이인 사육장이 좋다.

유아기 개체 기준으로는 못해도 30*30*45 정도의 사육장에서 기르는 것이 좋다.

교목성이기 때문에 적당히 타고 놀 수 있는 나무 또는 놀이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바닥재는 일반적인 전용 배딩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많은 들이 그렇듯, 이들에겐 몸이 거의 다 들어갈 수 있는 물그릇이 필요하다.
의 상태는 가급적 청결한 것이 개체들 건강에 좋다.

관련 사육 환경을 구축할 때, 빠짐없이 등장하는 렉 사육장에 대해 논하자면,
낮고 길어 층층이 쌓을 수 있는 렉 사육장이 융단비단뱀에게 좋은가? 라는 것은 개체 차이로 볼 수 있다.

융단비단뱀은 교목성이기에 다소 높이가 있고 타고 놀 수 있는 구조물이 있는 사육장을 원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렉 사육장과 같은 낮고 긴 사육장은 융단비단뱀 사육장과는 맞지 않다는 의견이 있는데,
아종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융단비단뱀은 초원에서도 서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유아기 때부터 넉넉한 공간의 렉 사육장에서 자랐다면, 충분히 적응할 수 있고 공간에 의한 스트레스도 자연스럽게 줄어들기 때문에, 렉 사육장에서 사육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다만, 렉 사육장에서 사육하는 것까지는 좋으나 너무 만만하게 보지 말고 개체가 스트레스 받지 않을만한 넉넉한 크기의 렉 사육장을 준비하자. 못해도 몸길이의 절반 이상이 되는 크기가 적정하다.

4.2. 온도 및 습도

이들도 파충류이기 때문에 온도를 직접 맞춰주어야 하는데, 상부 열원[7]과 하부 열원[8]이 있다.

사육하는 사람들마다 상부 열원만 해주거나, 상/하부 열원을 모두 해주는 사람으로 나뉜다.
보통은 상부 열원을 해주는 것이 정석이며, 많은 이들이 상부 열원을 추천한다.
굳이 하부열원까지 해줄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는 사육사들이 많다.

온도는 핫존은 27~29도, 쿨존은 23~26도 사이로 맞춰주자.

습도관리에 있어서, 너무 지나치게 습하면 개체들에게 위험이 될 수 있다.
이는 아종마다 다른데, 해외 농장에서는 약 35%의 습도를 유지해줘도 건강에 아무런 지장이 없었다는 사례가 있다.
그래도 습한 곳에 사는 종이다보니, 약 40~60% 사이로 관리해주자.

4.3. 먹이

보통의 반려 들처럼 어릴 때 부터 를 먹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실상 모든 반려뱀을 키울 때 가장 꺼리는 부분이 유대류를 먹인다는 것이다.
유대류를 먹는 것을 꺼리는 사람들은 융단비단뱀분양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개체의 크기에 맞는 먹이용 를 구입해 일주일에 한 번 주기로 먹이는 것이 좋다.

4.4. 특이 사항

유아기 때는 사람에게 호전적인 자세를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테이밍이라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추천한다.

아무리 다 자란 성체가 점잖아져도, 언제 사람을 공격할지 모르니 개체와의 유대관계는 확실히 쌓는 것을 추천한다.


[1] 물론 다른 파충류들이 그렇듯 핸들링을 어릴 때부터 안해주면 커서도 어릴 때의 사나운 성격이 유지 될수도 있다.[2] 나무 위쪽이 서식 환경인 특성.[3] 관심 필요.[4] 키우는 생물에게 있어서 최적의 조건을 맞춰주려고 노력하자.[5] 노말 모프 기준으로 최소 30~35만원 사이에서 분양된다.[6] 약 120cm, 성체 기준.[7] 위에서 열을 보내는 방식.[8] 아래에서 열을 보내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