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연방당 ■ 민주공화당 ■ 휘그당 ■ 민주당 ■ 공화당 | ||||
조지 워싱턴 |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제임스 매디슨 | ||
제임스 먼로 | 존 퀸시 애덤스 | 앤드루 잭슨 | 마틴 밴 뷰런 | ||
<bgcolor=#F0DC82,#F0DC82> 윌리엄 헨리 해리슨 | 존 타일러 | 제임스 K. 포크 | 재커리 테일러 | ||
밀러드 필모어 | 프랭클린 피어스 | 제임스 뷰캐넌 | 에이브러햄 링컨 | ||
앤드루 존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리더퍼드 B. 헤이스 | 제임스 A. 가필드 | ||
체스터 A. 아서 | 그로버 클리블랜드 1기 | 벤저민 해리슨 | 그로버 클리블랜드 2기 | ||
윌리엄 매킨리 | <bgcolor=#E81018,#E81018> 시어도어 루스벨트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우드로 윌슨 | ||
워런 G. 하딩 | 캘빈 쿨리지 | 허버트 후버 | <bgcolor=#0044C9,#0044C9>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
해리 S. 트루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존 F. 케네디 | <bgcolor=#0044C9,#0044C9> 린든 B. 존슨 |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지미 카터 | 로널드 레이건 | ||
조지 H. W. 부시 | 빌 클린턴 | 조지 W. 부시 | 버락 오바마 | ||
도널드 트럼프 1기 | 조 바이든 | 도널드 트럼프 2기 | }}}}}}}}} |
린든 B. 존슨 행정부 Lyndon B. Johnson Administration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963년 11월 22일 ~ 1969년 1월 20일 | ||
출범 이전 | 이후 | ||
존 F. 케네디 행정부 | 리처드 닉슨 행정부 | }}} | |
<colbgcolor=#0044C9> 대통령 | 린든 B. 존슨 / 제36대 | ||
부통령 | 휴버트 험프리 / 제38대 | ||
여당 |
|
▲ 미합중국 제36대 대통령 린든 B. 존슨 취임 선서[1] |
1. 개요
제36대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이 이끌었던 행정부로,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임기 중 사망하여 존슨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면서 1963년 11월 22일에 정식 출범하였고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1969년 1월 20일까지 존속하였다.2. 내각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부통령 | <colbgcolor=#fff,#1f2024> 휴버트 험프리 | |
국무장관 | 딘 러스크 | |
재무장관 | C. 더글라스 딜런 → 헨리 H. 파울러 → 조셉 W. 바 | |
국방장관 | 로버트 맥나마라 → 클라크 클리포드 | |
법무장관 | 로버트 F. 케네디 → 니콜라스 카첸바흐 → 램지 클라크 | |
체신장관 | 존 A. 그로누스키 → 래리 오브라이언 → W. 마빈 왓슨 | |
내무장관 | 스튜어트 우달 | |
농무장관 | 오빌 프리먼 | |
상무장관 | 루터 H. 호지스 → 존 T. 코너 → 알렉산더 트로브리지 → C. R. 스미스 | |
노동장관 | W. 윌라드 위르츠 | |
보건교육복지장관 | 앤서니 J. 셀레브레제 → 존 W. 가드너 → 윌버 J. 코헨 | |
주택도시개발장관 | 윌버 J. 코헨 → 로버트 콜드웰 우드 | |
운수장관 | 앨런 S. 보이드 | |
주유엔대사 | 애들레이 E. 스티븐슨 → 아서 골드버그 → 조지 볼 → 제임스 러셀 위긴스 | }}} }}}}}}}}} |
3. 주요 사건
3.1. 1963년
- 11월 22일 - 제36대 대통령 린든 B. 존슨 취임 및 행정부 출범
- 11월 23일 - 라파예트급 잠수함 USS 네이던 헤일 취역
- 11월 24일 - 리 하비 오즈월드 피살 사건 및 피살범 잭 루비 체포
- 12월 7일 - 라파예트급 잠수함 USS 제임스 먼로 취역
- 12월 8일 - 팬 아메리칸 항공 214편 추락 사고
- 12월 27일 - 라파예트급 잠수함 USS 우드로 윌슨 취역
3.2. 1964년
- 2월 20일 - 라파예트급 잠수함 USS 헨리 클레이 취역
- 3월 13일 - 키티 제노비스 사건
- 3월 28일 - 1964년 알래스카 지진
- 4월 9일 - 라파예트급 잠수함 USS 대니얼 웹스터 취역
- 4월 23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대니얼 분 취역
- 5월 22일 - 라파예트급 잠수함 USS 존 애덤스 취역
- 5월 29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테쿰세 취역
- 7월 2일 - 1964년 미국 연방 민권법 발효
- 7월 2일 - 짐 크로우 법 폐지
- 7월 13일 ~ 7월 16일 - 1964년 공화당 전당대회, 배리 골드워터 대통령 후보 지명[2]
- 7월 17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율리시스 S. 그랜트 취역
- 7월 28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제임스 매디슨 취역
- 8월 2일 - 통킹만 사건
- 8월 7일 -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 8월 14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카시미르 풀라스키 취역
- 8월 24일 ~ 8월 27일 - 1964년 민주당 전당대회, 린든 B. 존슨 대통령 후보 지명[3]
- 8월 26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스톤월 잭슨 취역
- 9월 7일 - 데이지 걸
- 9월 15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존 C. 칼훈 취역
- 9월 30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폰 슈토이벤 취역
- 10월 15일 - 니키타 흐루쇼프 실각,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정권 장악
- 10월 20일 - 제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 사망
- 11월 3일 -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2월 2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샘 레이번 취역
- 12월 19일 -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 USS 너새니얼 그린 취역
- 날짜 미상 - SM-65 아틀라스 퇴역
3.3. 1965년
- 1월 3일 - 제89대 미국 의회 개원
- 2월 21일 - 말콤 엑스 암살 사건
- 3월 2일 ~ 1968년 11월 2일 - 롤링썬더 작전
- 4월 24일 ~ 9월 3일 - 도미니카 내전
- 5월 16일 ~ 5월 26일 - 박정희 대통령 방미, 박정희-존슨 한미정상회담
- 9월 9일 - 미국 주택도시개발부 설립
- 10월 2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벤저민 프랭클린 취역
- 10월 2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시몬 볼리바르 취역
- 11월 3일 - 야머스 캐슬호 화재 사고
- 11월 14일 ~ 11월 18일 - 이아드랑 전투
- 12월 5일 - 필리핀해 핵폭탄 분실사고
- 12월 10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카메하메하 취역
- 12월 22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루이스&클라크 취역
- 날짜 미상 - SM-68 타이탄 I 퇴역
- 날짜 미상 ~ 2006년 - LGM-30F 미니트맨 II 운용
3.4. 1966년
- 1월 17일 - 팔로마레스 B-52 추락사고
- 1월 20일 - A_004 발사 시험
- 1월 22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조지 밴크로프트 취역
- 4월 16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제임스 K. 포크 취역
- 4월 29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조지 C. 마셜 취역
- 6월 15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조지 워싱턴 카버 취역
- 7월 9일 - 한미행정협정 체결
- 8월 1일 - 텍사스 대학교 시계탑 총기난사 사건
- 8월 9일 ~ 8월 10일 - 두코 전투
- 8월 18일 - 롱딴 전투
- 8월 20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헨리 L. 스팀슨 취역
- 10월 15일 - 흑표당 창당
- 10월 31일 ~ 11월 2일 - 린든 B. 존슨 대통령 방한, 박정희-존슨 한미정상회담
- 12월 3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프랜시스 스콧 키 취역
- 12월 16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마리아노 G. 발레 취역
3.5. 1967년
- 1월 3일 - 제90대 미국 의회 개원
- 1월 27일 - 아폴로 1호 시험 도중 화재 발생, 발사 취소
- 4월 1일 -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USS 윌 로저스 취역
- 4월 1일 - 운수부 설립
- 6월 5일 ~ 6월 10일 - 제3차 중동전쟁
- 7월 1일 ~ 1970년 8월 7일 - 소모전
- 7월 29일 - USS 포레스탈 화재 사건
- 8월 25일 - 조지 링컨 록웰 암살 사건
- 11월 3일 ~ 11월 23일 - 닥토 전투
- 11월 9일 - 아폴로 4호 발사 및 귀환
3.6. 1968년
- 1월 5일 ~ 8월 21일 - 프라하의 봄
- 1월 21일 ~ 7월 9일 - 케산 전투
- 1월 23일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1월 30일 ~ 9월 23일 - 구정 공세
- 3월 8일 - K-129 침몰 사건
- 3월 16일 - 미라이 학살
- 4월 4일 - 마틴 루터 킹 목사 암살 사건
- 4월 17일 ~ 4월 20일 - 박정희 대통령 방미, 박정희-존슨 한미정상회담
- 6월 5일 -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
- 7월 1일 - 피닉스 프로그램
- 8월 5일 ~ 8월 8일 - 1968년 공화당 전당대회, 리처드 닉슨 대통령 후보 지명[4]
- 8월 26일 ~ 8월 29일 -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 휴버트 험프리 대통령 후보 지명[5]
- 11월 - 브레즈네프 독트린
- 11월 5일 -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2월 20일 ~ 1969년 10월 11일 - 조디악 킬러 활동 기간
3.7. 1969년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44C9> | 린든 B. 존슨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생애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가족 | 아버지 새뮤얼 일리 존슨 주니어 · 어머니 리베카 베인스 존슨 · 아내 레이디 버드 존슨 · 딸 린다 존슨 · 딸 루시 존슨 | |||
역대 선거 |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
관련 정치인 | 휴버트 험프리 · 에드먼드 머스키 · 존 코널리 · 로이드 벤슨 | |||
기타 | 데이지 걸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
LBJ 행정부 | ||||
사상 | 자유주의 · 현대자유주의 | |||
정책 | 아폴로 계획(A_004) | |||
사건사고 | 오일 쇼크 · 키티 제노비스 사건 · 실비아 리킨스 살인 사건 · 텍사스 대학교 시계탑 총기난사 사건 · 알래스카 지진 · 야머스 캐슬호 화재 사고 · USS 포레스탈 화재 사건 · 팔로마레스 B-52 추락사고 · 펜타곤 페이퍼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필리핀해 핵폭탄 분실사고 · 조디악 킬러 | |||
전쟁 | 베트남 전쟁(통킹만 사건) | |||
기타 | 1968년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 | |||
| }}}}}}}}} |
[1] 그의 2번째 취임선서이다. 첫번째 선서는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으로 사망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시신을 싣고 워싱턴 D.C.로 향하는 에어 포스 원에서 취임 선서를 거행했다. 참고로 1번째 선서는 음성은 있지만 영상은 없다. 그후 존슨이 재선에 성공해 2번째 취임선서를 했고 이것이 존슨의 공식 취임선서로 불린다.[2] 부통령 후보는 윌리엄 E. 밀러.[3] 부통령 후보는 휴버트 험프리.[4] 부통령 후보는 스피로 애그뉴.[5] 부통령 후보는 에드먼드 머스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