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22:31:01

리스본 전차 탈선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철도사고 요약도
파일:GYH2025090400040004400_P4.jpg
사고유형 탈선
사고일시 2025년 9월 3일 오후 6시 5분[현지시각]
사고지점 포르투갈 리스본
사고원인 피로 파괴가 일어나 느슨해진 케이블로 인한 조종불능[조사중]
승차인원 40명 이상
피해 인명 16명 사망, 23명 부상
기타 충돌 지점의 건물 파손
관계기관 Carris
사고열차 열차노선 글로리아 라인
차량번호 1호차(Cabina n.º 1)
출발역 상페드루드알칸타라 전망대
도착역 헤스타우라도르스 광장

1. 개요2. 사고 정황
2.1. 사망자 및 부상자 정황
3. 반응
3.1. 포르투갈3.2. 대한민국3.3. 영국3.4. 우크라이나3.5. 프랑스
4. 기타5. 원인6. 외부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리스본 전차 탈선 사고
포르투갈어 O Acidente do Elevador da Glória em 2025
스페인어 El descarrilamiento del elevador de la Gloria
영어 Ascendor da Glória derailment
(Lisbon funicular accident)
프랑스어 L'accident du funiculaire de Glória
독일어 Die Entgleisung des Ascensor da Glória 2025
우크라이나어 Аварія на фунікулері Глорія

1. 개요

2025년 9월 3일 저녁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전차가 탈선한 사고.

2. 사고 정황

파일:KHVD74Z4EJIMJE6T37GJIUW67A.jpg 파일:_104823038_lisbontram.jpg.webp
심각하게 손상된 전차 구조작업을 벌이는 소방대원들
2025년 9월 3일 오후 6시 5분경 포르투갈 리스본 바이후알투 언덕의 상페드루드알칸타라 전망대에서 도심 저지대 지역에 위치한 헤스타우라도르스 광장에서 사이 275m 구간을 하행 운행하던 글로리아 라인 푸니쿨라[3] 전차가 탈선해 16명이 숨지고 23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중 인명사고가 일어난 1호차는 경사를 내려오는 방향으로 운행중이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1호차와 반대방향으로 상행 운행중이던 2호차는 정거장에서 불과 몇 미터를 올라간 뒤 마찬가지로 아래로 밀려 평소 정차위치를 벗어나 레일이 끝나는 연석에 충돌하며 정차했고, 2호차의 승객들이 하차하려는 순간 내려오던 1호차가 빠른 속도로 내려오며 2호차 정차 위치에서 멀지 않은 위치의 곡선 구간에서 튕겨져나와 탈선했다고 한다.

현지 매체들은 급경사 구간에서 전차가 궤도를 이탈하고 급경사 구간에서 통제력을 상실한 채로 추락하였고 인근 건물에 충돌한 뒤 굉음을 내며 종이 상자처럼 구겨지며 사상자가 대거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사망자들의 사인은 대부분 차량하부 부품[4]에 의한 압사였다.

해당 사고가 발생한 푸니쿨라는 2010년대 후반에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거쳤지만 최근 몇 년간 잦은 고장을 겪어 왔고, 전차 자체의 노후화와 관리 부실 문제도 지적하였다.#, 영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해당 차량의 도입 년도는 1957년으로 무려 사용 연차가 70년이 다 되어가는 물건이다.# 다만 운영사인 Carris는 그간 점검이 정상적으로 이뤄져 왔다고 설명했다.

2.1. 사망자 및 부상자 정황

국적 사망자 수 부상자 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명[5][6] 5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명 0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명[7]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명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3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크라이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0명 2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보베르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보베르데}}}{{{#!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합계 16명 23명
2025년 9월 5일 기준.
  • 리스본의 대표적인 관광 명물 중 하나라 많은 국적의 승객들이 사망 또는 부상을 당했다. 확인된 사상자들의 국적은 한국을 포함하여 도합 16개국이다.
  • 루이스 몬테네그루 포르투갈 총리는 "현 사망자는 16명, 부상자는 23명이며 이 중 5명은 위독한 상황이다." 라고 전했다.
  • 부상자 중 1명은 한국인 여성이며, 이 외에 부상자도 다수 발생했다고 밝혔다. #
  • 포르투갈 전 배구 심판으로 근무하였던 페드루 마누엘 알베스 트린다드 또한 탑승 중 사고로 인해 사망한 채로 발견됐으며, 포르투갈 배구 연맹은 "비극에 깊은 슬픔을 느낀다"며 피해자와 유가족들에게 애도를 표했다.

3. 반응

3.1. 포르투갈

  • 이 사고로 인해 포르투갈 정부는 9월 4일을 국가 애도의 날로, 이후 3일간 국가 애도 기간으로 지정했다.
  • 루이스 몬테네그루 포르투갈 총리는 "이 비극은 국경을 넘어선 것"이라며 "이는 우리 최근 역사상 가장 큰 비극 중 하나"라고 애도했다.#
  • 카를로스 모에다스 리스본 시장은 이번 사고를 "우리가 본 적이 없는 비극"이라며 애도를 표했다.#
  • 포르투갈 민간 항공 및 철도 사고 예방 및 조사국(GPIAAF)은 이번 사고에 대한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 사고 조사가 완료되기 전까지 리스본 푸니쿨라의 전체 노선이 운행중지되었다.

3.2. 대한민국

  • 주포르투갈 대한민국 대사관은 포르투갈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사고를 당한 한국인에게 영사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 이재명 대통령의 SNS 게시물에 따르면 주포르투갈 대사관은 사고 직후 즉시 대책반을 구성했고 대사가 현장에서 직접 상황을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 이재명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머나먼 땅에서 들려온 비보에 비통함을 감출 길이 없다"며 "리스본 전차 탈선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우리 국민과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이어 "큰 슬픔과 충격에 빠져 계실 유가족분들과 포르투갈 국민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하며,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 "정부는 포르투갈 총리께 애도를 표하고, 우리 국민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라며 "언제나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모든 필요한 모든 책임과 조치를 다 하겠다" 고 말했다.

3.3. 영국

  • 영국 외무부는 "사망한 세 명의 영국 국적자의 가족을 지원하고 있다"며 현지 당국과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3.4.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BBC 우크라이나 서비스에 이번 사고로 사망한 사람 중 한 명이 54세의 우크라이나 남성이라고 확인했다.

3.5. 프랑스

  • 프랑스 외무부는 한 프랑스 여성의 사망 이후 큰 슬픔을 표명하여 피해자와 피해자의 유가족들에게 애도를 표했다.

4. 기타

  • 사고 후 인근 병원으로 이송된 다섯 명의 심각한 부상자 중 한 명은 사망했고, 세 명은 통제된 상태였으며, 한 명은 중환자실에 있었다고 병원 측에서 밝혔으며, 퇴원한 경미한 부상을 입은 4명 중 임산부와 어린이가 포함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 포르투갈 보건 서비스 책임자인 알바로 산토스 알메이다는 23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알렸으며, 그들 중 여섯 명은 중환자실에 있었고 세 명은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고 전했다.

5. 원인

보고서에서 두 대의 객차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끊어졌다고 밝혔다. 조사관들은 운전자가 비상 브레이크를 적용하려고 했지만 탈선을 막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6. 외부 링크


[현지시각] UTC+1(WEST, 서유럽 서머타임)[조사중] [3] 푸니쿨라는 포르투갈 리스본의 가파른 언덕길을 오르내리는 케이블식 전차이며, 포르투갈의 국가 기념물로 등재되었다.[4] 전체 차량 중량이 14톤인데, 승객이 부분이 목재와 금속이 섞여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차량 무게의 상당 부분은 하부 대차 부품이 차지했을 것으로 보인다.[5] 이 중 4명은 상부 정거장 바로 옆에 사무실이 위치한 포르투갈 최대 자선 단체의 퇴근하던 직원이다.#[6] 차량 운전원(브레이크 가드로) 일하던 마르크스 또한 사망자 중 한 명이라고 밝혀졌다.[7] 현재까지 밝혀진 정보로는 대한민국 사망자 2명은 각각 남성 1명, 여성 1명이였다고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