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08:38:46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


리비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선사 & 고대 중세 & 근세 근대 현대 리비아
T베르베르
리부
페니키아카르타고
누미디아
로마 제국반달 왕국 동로마 제국 우마이야 왕조 피흐리 왕조 무할라브 왕조 아글라브 왕조 파티마 왕조 파티마 왕조 지리 왕조 노르만 무와히드 왕조 하프스 왕조 오스만 제국
카라만리 왕조
이탈리아령 리비아 대영 제국리비아 왕국리비아 아랍 공화국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리비아 내전국민합의정부
C 펜타폴리스 헬레니즘 제국 동로마 제국 압바스 왕조 툴룬 왕조 이크쉬드 왕조 힐랄족,
술라임족
파티마 왕조
가니야족
아이유브 왕조
국민의회
F가라만테스 왕국 베르베르
/
투아레그
프랑스
※ T는 트리폴리타니아 지역, C는 키레나이카 지역, F는 페잔 지역, 붉은색은 튀니지 방면 세력(오스만, 영국 제외), 녹색은 이집트 방면 세력(이탈리아, 카다피 정권 제외)
}}}}}}}}}}}} ||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nopad>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
المجلس الوطني الانتقالي(아랍어)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NTC(영어)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 문장.svg
국기 국장
2011년 2월 27일 ~ 2012년 8월 8일
성립 이전 멸망 이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리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표어 자유, 정의, 민주
본부 벵가지
중심지 트리폴리
언어 아랍어
정치 민주주의(숙고집회 및 숙의 민주주의)
종교 이슬람(수니파)
현재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리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개요

제1차 리비아 내전 초기 때 설립되었던 임시정부반군. 내부에서는 "과도인민평의회"로도 불렸으며, 과도국가평의회가 국가로서 지위를 받은 후부터는 스스로 "리비아 공화국"으로 불렀다.

2. 역사

2011년 리비아 반정부 시위는 내전으로 변한 후 카다피의 일인독재 종식 및 퇴진을 하려고 일부 구 정권 출신 사령관들과 반정부 단체들 중심으로 2월 27일 형성되었다.[1]

2011년 7월 15일, 과도국가평의회는 미국유럽연합, 아랍 대다수 국가들로부터 합법정부로 인정받게 되었다.

2011년 8월 20일, 카다피로부터 트리폴리 함락 및 탈환 후 약 10개월 간 리비아를 통치했으며, 2012년 7월 7일에는 선거를 해서 8월 8일에는 새로 선출된 의회였던 리비아 국민의회에게 권력을 이양했다.

3. 관련 문서


[1] 본격적으로는 2011년 3월 쯤에 집행위원회가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