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2d62>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2d62><colcolor=#fff> 투수 | 39 웨스네스키 · 41 아리게티IL-15 · 43 맥컬러스 Jr.IL-15 · 48 오커트 · 52 아브레우 · 53 하비에르IL-60 · 54 스캇 · 55 휘틀리 · 56 블랑코 · 58 브라운 · 59 발데스 · 61 고든40인 · 62 소사 · 63 오트IL-15 · 64 밴와이 · 66 더빈IL-15 · 67 구스토 · 68 프랭스IL-60 · 71 헤이더 · 72 에르난데스40인 · 73 콘트레라스40인 · 74 킹 · 77 가르시아IL-60 · # 로버트슨40인 | |
포수 | 17 카라티니 · 18 살라사르40인 · 21 디아스 | ||
내야수 | 1 로저스 · 3 페냐 · 8 워커 · 10 위트컴40인 · 14 듀본 · 15 파레데스 | ||
외야수 | 4 레온IL-10 · 6 마이어스 · 9 데젠조 · 11 스미스 · 20 맥코믹 · 26 트래멀IL-10 · 27 알투베 · 44 알바레즈 · 89 코로나40인 | ||
''' | |||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17 | 2022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2017 |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3번 | ||||
브래드 피콕 (2013) | →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 (2015~) | → | 현역 |
}}} ||
| |
<colbgcolor=#002d62><colcolor=#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No.43 |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 Lance McCullers Jr. | |
본명 | 랜스 그레이 맥컬러스 주니어 Lance Graye McCullers Jr. |
출생 | 1993년 10월 2일 ([age(1993-10-02)]세) |
플로리다 주 탬파 | |
국적 |
|
학력 | 예수회 고등학교 |
신체 | 185cm / 91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입단 | 2012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41번, HOU) |
소속팀 |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5~) |
계약 | 2022 - 2026 / $85,000,000 |
연봉 | 2025 / $17,000,000 |
가족 | 아버지 랜스 맥컬러스 |
SNS |
1. 개요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우완 선발 투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 | |||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피칭 스타일
리그 최고의 변화구를 가지고 있는 투수. 특히, 너클커브는 리그를 대표하는 마구로, 그 자체의 위력부터 엄청난데, 201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7차전에서 24구 연속 너클커브를 던져도 먹힐 정도의 괴력을 보여줬다.[1]
게다가 이 커브는 피치 터널 이론[2]에 의거하여 위력이 배가 되는데, 그의 높은 쪽에 구사되는 90마일 중반대의 포심 패스트볼은 커브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굉장히 유사한 궤적을 보이기 때문에 다른 구종을 던질 때보다 패스트볼 이후 커브를 던질 경우, 헛스윙 확률이 30% 이상 높아진다. 이런 피칭 전략을 통해 21시즌 아메리칸 투수 중 최소 피안타, 피홈런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브레이킹볼과 패스트볼을 던질 때의 투구폼이 차이가 많이 난다는 단점이 존재하기에 이를 고친다면 더 나은 투구를 할 것으로 보인다.[3]
이를 바탕으로 전체 투구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너클커브와 패스트볼을 적절히 조합한 덕분에 2017 시즌 2스트라이크 이후 100번 이상 상대 타자의 스윙을 끌어낸 투수 가운데 가장 높은 헛스윙 삼진 비율(36.8%)를 기록하고 있다.
단점은 이닝 소화력과 체력으로 선천적으로 강골이 아닌지 규정 이닝도 채우기 버거워하는 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어느 정도냐면 2021년을 제외하고 커리어에서 단 한 번도 규정이닝을 채운 적이 없다. 그리고 2022년부터는 부상으로 인해 거의 사이버 투수화했다. 2023년부터 내리 2년을 부상으로 통째로 날려먹으며 사실상 없는 선수로 취급되는 중이다.
여러모로 블레이크 스넬과 비슷한데, 피치 터널이 길다는 점, 이닝 소화에서 약점을 드러낸디는 점이 특히 비슷하다. 하지만, 제구에 하자가 있는 스넬과 다르게 맥컬러스는 제구에 하자가 딱히 없는 대신 부상이 훨씬 잦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5. 여담
- 부친 랜스 맥컬러스는 샌디에이고의 셋업맨으로 활약했다.
- 리스 호스킨스와 같은 고등학교 출신이다.
- 국내에서 불리는 별명은 이름에서 따온 '랜맥주', '맥주' 등이 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