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wiki style="margin: -12px 0" | <tablebordercolor=#009d8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letter-spacing: -1px" | <colcolor=#fff><colbgcolor=#009d85> 시공사 선정이 완료된 곳은 괄호 표시 | |||
최초 입주 | <rowcolor=#fff> 재건축 | 단계 | 비고 | |
1차 | 아크로리버파크 | 완료 | ||
2차 | (디에이치 르블랑) | 조합설립인가 | ||
3차 | 래미안 원베일리 | 완료 | [A] | |
4차 | (래미안 헤리븐 반포) | 조합설립인가 | ||
5차 | 아크로리버뷰 | 완료 | ||
6차 | 반포센트럴자이 | 완료 | ||
7차 | (아크로 리버마크) | 조합설립인가 | 공공재건축 | |
8차 | (메이플자이) | 시공중 | [B] | |
9차 | ||||
10차 | ||||
11차 | ||||
12차 | (르엘) | 사업시행인가 | ||
13차 | 신반포 르엘 | 완료 | ||
14차 | 반포르엘 2차 | 완료 | ||
15차 | 래미안 원펜타스 | 완료 | ||
16차 | (신반포 써밋 라피움) | 사업시행인가 | ||
17차 | (메이플자이) | 시공중 | [B] | |
18차 |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 | 완료 | 335, 336동[C] | |
(오티에르) | 시공중 | 337동 | ||
19차 | - | 조합설립인가 | ||
20차 | - | 조합설립인가 | ||
21차 | (오티에르) | 시공중 | ||
22차 | (디에이치) | 철거 | ||
23차 | 래미안 원베일리 | 완료 | [A] | |
24차 |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 | [C] | ||
25차 | - | 조합설립인가 | ||
26차 | - | 조합설립인가 | ||
27차 | - | 사업시행인가 | ||
28차 | - | - |
[A] 신반포 3차, 23차, 반포 경남아파트, 반포 우정에쉐르, 경남상가와 통합재건축[B] 신반포 8차, 9차, 10차, 11차, 17차,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 거목상가, 매일상가 통합재건축[B] [C] 신반포 18차 335동, 336동, 24차 통합재건축[A] [C]
}}}}}}}}}}}} ||<nopad> | |
조감도 |
| |
<colbgcolor=#009EA1><colcolor=#fff> 명칭 | 래미안 헤리븐 반포 |
영문 명칭 | RAEMIAN HERIVEN BANPO |
종류 | 아파트 |
브랜드 | 래미안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70 |
입주 | 미정 |
동수 | 7개동 |
층수 | 지하 3층, 지상 48층 |
세대수 | 1,828세대 |
면적 | 59㎡, 84㎡, 95㎡, 110㎡, 115㎡, 125㎡, 153㎡PH, 165㎡PH, 179㎡PH, 239㎡PH |
주차대수 | - 대 (세대당 2.19대) |
설계 | SMDP | 나우동인건축사무소[1] |
시공 | 삼성물산 건설부문 |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할 예정인 아파트. 신반포 4차를 재건축해 지어진다.헤리븐(HERIVEN)은 Heritage(문화유산)과 River(강), Seven(숫자 7)의 결합어로 신반포4차의 독보적 가치와 한강 프리미엄을 담은 7개 주동에서 7성급 라이프스타일을 누리는 정상을 의미한다.[2]
공사비가 1조 310억 원(평당 950만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2. 연혁
2025년 3월 29일, 총회를 열고 삼성물산을 최종 시공사로 선정하였다.3. 특징 및 시설
3.1. 특징
<nopad> | |
래미안 헤리븐 반포 by SMDP |
단지 외관은 커튼월룩, 세라믹 타일, 알루미늄 패널 등 최상급 외부 마감재를 활용한 '모던클래식' 디자인을 적용했다. 170m 높이, 100m 길이의 스카이 브릿지와 한강의 곡선을 모티브로 한 단지 입구 230m 길이의 초대형 문주가 설치된다.
층고 역시 2.7m로 일반 아파트 대비 20~40cm 이상 높다.
서초구에서 가장 높은 170m, 49층 아파트가 될 예정이다. 이는 현재 서초구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인 현대슈퍼빌의 161m보다 9m가 더 높아질 예정이다.[5]
3.2. 주민시설
<nopad> | |
스카이 브릿지 |
3.2.1. 조경
서울시청 잔디광장 6배에 달하는 대규모 조경 공간은 한강 주변으로 열린 자연과 어우러지도록 했으며 단지 내 중앙광장에 조성되는 천 평의 대형 호수는 독창적 아트리움과 함께 하나의 예술적 경관을 선보인다.<nopad> |
|
아트리움[6] |
3.3. 상업시설
신세계 백화점∙뉴코아∙서울성모병원4. 주변 환경
4.1. 교통
지하철 3∙7∙9호선 환승역인 고속터미널역과 도보 100m 이내로 인접해 있다.4.2. 교육
반원초∙경원중∙청담고(예정)5. 논란 및 사건사고
5.1. 삼성물산 설계지침 위반 논란
삼성물산은 최근 신반포4지구 조합에 제출한 '래미안 헤리븐 반포' 설계안을 통해 해당 사업장 남동측 가각부(도로 모서리)에 48층짜리 아파트 동(棟)을 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이 아파트 동이 들어서는 부지는 서울시에서 40층 이상 높이의 건물을 올려선 안 된다고 결정한 곳이다.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2023년 12월 열린 심의에서 신반포4차 재건축사업과 관련해 '남동측 가각부 주동의 높이 계획(49층)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어 지난해 8월 정비계획 고시에선 남동측 가각부 주동 높이 계획을 10개층 이상 축소하는 배치안으로 검토해 반영할 것을 공식 확정한 바 있다.
즉, 서울시에서 해당 부지에 49층짜리 건물 배치를 허용할 수 없으며 설계를 조정해야 한다는 방침을 명확히 했음에도, 삼성물산은 이를 무시한 채 48층짜리 아파트 동을 짓겠다는 내용이 담긴 설계안을 제안한 것이다. 서울시 정비계획을 정면으로 위반했다고 볼 수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비계획 변경이 필요한 설계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다시 거쳐야 한다. 서울시에선 이미 49층 배치를 허용할 수 없다고 결정한 상태여서 승인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이와 비슷한 사례도 존재한다. 지난해 6월 남영2구역 재개발사업 현장에선 삼성물산이 서울시의 설계 지침을 어긴 대안설계를 제출해 적잖은 논란이 일었다. 당시 삼성물산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정한 용적률(477%)을 50%p 가까이 초과하는 514%를 적용한 설계를 제출했다. 이 또한 명백한 정비계획 위반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관련기사
6. 여담
- 반포 일대를 대표하는 래미안 퍼스티지, 원베일리, 원펜타스 등 독보적 '래미안 타운'과 2026년 준공을 앞둔 래미안 트리니원에 이어 또 하나의 상징이 될 시그니처 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라고 삼성물산은 밝혔다. 다만, 2010년대 이후 반포동에 준공된 단지들에 펫네임에 '원'이 들어가는 것과는 달리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처럼 잠원동에 속해있기 때문에, 펫네임에 따로 '원(ONE)'을 넣지않고 반포를 펫네임에 넣은 것이 특징이다.
- 신반포 2차를 현대건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수주해갔기 때문에, 삼성물산이 전략적으로 수주에 나선 사업장[7]이다. 아직 시공사 선정이 끝나지않은 반포 미도 1차 정도를 제외하면 2025년 기준, 반포동과 잠원동 일대에 재건축이 가능한 대단지 사업장이 아예 없고 두 건설사 모두 압구정 재건축 수주 경쟁전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조합과 삼성물산 모두 Win-Win할 수 있는 사업장이기 때문이다.
- 바로 옆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붙어 있고, 9호선 입구쪽을 통해 이동하면 신호등 한번 거치지 않고 바로 이동가능하다.
- 반포 최대 규모의 펜트하우스(99평, 239㎡)가 설계되어 있다. 펜트에는 100평의 프라이빗 테라스를 비롯해 1 Room 1 Bath 배치, 개방감을 극대화한 3.5m의 천장고와 세대분리 기능 등 설계를 적용한다.
7. 관련 문서
[1] 외관은 SMDP가 내부는 나우동인이 맡았다.[2] 7개의 각동마다 마련되는 호텔식 출입구·복층 로비·프라이빗 커뮤니티 등 총 12개의 전용 어메니티(Amenity)가 구성된다.[3] 세계 3대 산업디자이너 중 한 명이다. 단지의 상징적인 조형물을 디자인할 것으로 예상된다.[4] 이탈리아 하이엔드 리빙 브랜드 몰테니앤씨 (Molteni&C)의 아트 디렉터로 활동했으며, 하이엔드 가구 및 인테리어에서의 협업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래미안 더 컴포지션 상표를 출원하였다.(이 상표는 가구, 붙박이장, 서랍장 등 다양한 가구류에 적용될 예정)[5] 다만 현대슈퍼빌은 주상복합이기 때문에 일반 아파트와 비교한다면 아크로리버파크의 131m보다 약 40m가 높아질 예정이다.[6] 아트리움은 유리 지붕 등을 통해 개방된 천장 공간을 구현한 미술 작품이다.[7] 시공자 선정을 위한 1, 2차 모집공고 모두 삼성물산 단독으로 참여하였고, 결국 수의계약으로 전환한 뒤, 삼성물산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지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