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02:28:31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라니에리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라니에리'''{{{#!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ACF 피오렌티나의 축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루카 라니에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루카 라니에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루카 라니에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ACF 피오렌티나의 축구선수: }}}[[루카 라니에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루카 라니에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루카 라니에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AS 로마/라니에리 체제(3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파일:세리에 A 로고.svg세리에 A
구단별 감독 (2024-2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61e8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안토니오
콘테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마르코
바로니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마르코
잠파올로

파일:US 레체 로고.svg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파일:AS 로마 로고.svg
알레산드로
네스타

파일:AC 몬차 로고.svg
세르지우
콘세이상

파일:AC 밀란 로고.svg
에우제비오
디 프란체스코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
파올로
자네티

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
빈첸초
이탈리아노

파일:볼로냐 FC 1909 로고.svg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로베르토
다베르사

파일:엠폴리 FC 로고.svg
코스타
루냐이치

파일:우디네세 칼초 로고.svg
이고르
투도르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시모네
인자기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파트리크
비에라

파일:제노아 CFC 로고.svg
다비데
니콜라

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
세스크
파브레가스

파일:코모 1907 로고.svg
파올로
바놀리

파일:토리노 FC 로고.svg
크리스티안
키부

파일:파르마 칼초 1913 로고.svg
라파엘레
팔라디노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세리에 B 구단별 감독 ▶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2 렌스 · 3 앙헬리뇨 · 4 [[브라얀 크리스탄테|크리스탄테
3C
]] 파일:부상 아이콘.svg · 5 은디카 · 7 [[로렌초 펠레그리니|펠레그리니
C
]] · 11 도우비크 · 12 압둘하미드
14 쇼무로도프 · 15 후멜스 · 16 파레데스 · 17 코네 · 18 소울레 · 19 첼리크 · 21 디발라 파일:부상 아이콘.svg · 23 [[잔루카 만치니|만치니
VC
]]
25 넬손 · 27 구르나두아트 · 34 살라에딘 · 35 발단치 · 56 살레마커스 · 61 피실리 · 66 B. 상가레
72 나르딘 · 89 레나토 벨루치 · 92 [[스테판 엘샤라위|엘샤라위
4C
]] · 95 골리니 · 99 스빌라르
파일:UEFA EURO ITA.png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AS 로마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를 수정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AS 로마
Unione Sportiva Roma
파일:36754251d811-ranieri.png
<colbgcolor=#990a2c> 이름 <colbgcolor=#ffffff,#191919>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Claudio Ranieri
출생 1951년 10월 20일 ([age(1951-10-20)]세)
이탈리아 로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2cm
직업 축구 선수 (라이트백 / 은퇴)
축구 감독
경력 <colbgcolor=#990a2c> 선수 AS 로마 (1973~1974)
US 카탄차로 1929 (1974~1982)
칼초 카타니아 (1982~1984)
US 팔레르모 (1984~1986)
감독 비고르 라메치아 (1986~1987)
캄파니아 푸테올라나 (1987~1988)
칼리아리 칼초 (1988~1991)
SSC 나폴리 (1991~1992)
ACF 피오렌티나 (1993~1997)
발렌시아 CF (1997~1999)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999~2000)
첼시 FC (2000~2004)
발렌시아 CF (2004~2005)
파르마 FC (2007)
유벤투스 FC (2007~2009)
AS 로마 (2009~2011)
인테르나치오날레 (2011~2012)
AS 모나코 FC (2012~2014)
그리스 대표팀 (2014)
레스터 시티 FC (2015~2017)
FC 낭트 (2017~2018)
풀럼 FC (2018~2019)
AS 로마 (2019)
UC 삼프도리아 (2019~2021)
왓포드 FC (2021~2022)
칼리아리 칼초 (2023~2024)
AS 로마 (2024~ )[1]
기타 AS 로마 (2025~ / 고문)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감독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4.3. 수훈
5. 라니에리에 대한 헌사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이탈리아축구 감독.

레스터 시티를 이끌고 2015-16 시즌 프리미어 리그를 제패하는 이변을 일으킨 감독이다.

2. 선수 경력

파일:external/img.thesun.co.uk/c5_2689462a.jpg

고향팀인 AS 로마에서 1973년 22살의 나이로 데뷔하였으나 고작 6경기 뛰고 1974년 당시 세리에 B클럽인 카탄자로로 이적 후 9시즌 동안 225경기에 나오며 시즌당 평균 25경기 정도 출장하며 주전 선수로 활동했다. 카탄자로가 비록 2부 리그 클럽이었지만 1977년에는 1부 리그 승격을 하기도 했고 라니에리가 이적한 후 한 시즌 만에 다시 세리에 B로 강등되어 지금까지 1부 리그 승격은 없으니 타이밍 좋게 이적한 셈이다.

1982년 당시 세리에 B에 소속돼 있던 카타니아로 이적하여 한 시즌 만에 1부 리그로 승격시켰고 1984년에는 카타니아의 지역 라이벌인 팔레르모로 이적하여 2시즌 동안 활약한 뒤 35살의 나이로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3.1. 초창기

은퇴후 1986년에는 라메치아, 1987년에는 푸테올라나 같은 아마추어 리그 소속팀 감독을 경험한 라니에리는 1988년 당시 3부 리그(세리에 C1) 팀인 칼리아리 감독으로 부임하고 2년 만에 연속 승격(3부 리그→2부 리그→1부 리그)시켜 1990/91 시즌 세리에 A에 올라가고 첫 1부 리그 시즌인 1990-91 시즌 리그 14위를 기록한다. 나폴리는 이런 괄목한 성적을 기록한 라니에리를 주목하였고 1991-92 시즌 라니에리를 나폴리의 감독으로 임명한다. 첫 시즌인 1991-92 시즌에는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그 다음 시즌 리그 11위를 기록하며 성적 부진으로 사임한다. 다만 이 당시 지안프랑코 졸라라는 나폴리의 레전드를 발굴하기도 하였고 당시 19살의 어린 수비수인 파비오 칸나바로를 1군으로 승격시켜 경험을 쌓게 해주기도 하였다.

3.2. ACF 피오렌티나

곧바로 2부 리그로 강등되어 있던 ACF 피오렌티나의 감독으로 부임하였고 1993-94 시즌 세리에 B 우승을 차지하여 그 다음 시즌 바로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가브리엘 바티스투타의 11경기 연속골로 1994-95 시즌은 중위권에 안착한다.

3시즌 동안 10위-4위-9위로 중위권 성적을 꾸준히 유지하였고 1995-96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차지하였다. 재임시 후이 코스타프란체스코 톨도를 영입하여 주전으로 발돋움시키기도 하였다.

3.3. 발렌시아 CF

1997-98 시즌에는 발렌시아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부임 후 곧바로 미겔 앙헬 앙굴로, 가이스카 멘디에타, 프란시스코 파리노스를 1군으로 승격시켰고 산티아고 카니자레스를 영입하여 팀의 기반을 다지기에 들어간 라니에리는 첫 시즌에는 리그 9위를 기록했지만 두 번째 시즌인 1998-99 시즌에는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고 코파 델 레이 우승을 차지했다. 라니에리가 만들어놓은 발렌시아는 후임 감독인 헥토르 쿠페르가 그대로 이어 받아 1999-00, 2000-01 두 시즌 연속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이라는 기록을 남기게 되고, 뒤이어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의 리그 우승까지 이어진다.

3.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파일:20190102_003915.jpg
1999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감독으로 감독직을 옮기지만 그 전 클럽에서의 좋은 모습과는 달리 썩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2000년 3월에 해임당했고, 종국에는 세군다 리가로 강등을 당했다. 솔라리, 바라하, 하셀바잉크, 호세 마리, 발레론 같은 선수들이 포진되어 있었지만 선수들을 잘 융합시키지 못한 면도 있고 1999년 12월에 헤수스 힐 회장과 이사진이 방만한 팀 운영으로 영업 정지령을 받고 팀 자체가 재정적인 문제를 겪으면서 혼란스러웠던 부분과 프런트 진과의 불화 또한 강등의 이유 중 하나다.

그나마 이 시기에 이룬 유일한 업적은 1999년 10월 29일에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원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3:1 승리를 이끌어낸 것이었는데, 이는 2013-14 시즌 전까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승리한 마지막 경기로 기록되어 있었다.

3.5. 첼시 FC

파일:claudio-ranieri-chelsea-leeds-united_2966388.jpg
곧바로 2000년 9월에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한다. 당시 영어를 쓰는데 제한이 있었던 라니에리지만 운 좋게도 이탈리아와 스페인 출신의 선수와 코칭 스태프들이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지는 않았고 2000년과 2001년에 프랭크 램파드, 엠마누엘 프티, 바우더베인 젠던, 예스페르 그룅키에르, 윌리엄 갈라스 등을 영입하며 팀의 기반 다지기에 들어갔고 기존에 첼시에 머물면서 팀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맡았던 지안프랑코 졸라를 중심으로 팀을 운영한다.

2000-01, 2001-02 시즌 연속 6위를 기록하며 중위권을 꾸준히 유지하였고 2002-03 시즌에는 극적으로 리그 4위를 기록 챔피언스 리그 진출 티켓을 따낸다. 리그에서의 꾸준한 성적과는 달리 팀은 재정적인 문제로 빚이 많았었는데 이 당시에 축구에 흥미를 가진 로만 아브라모비치가 첼시의 인수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고 인수 후 수많은 빚은 해결이 되었다. 그리고 로만의 재정을 바탕으로 스콧 파커, 클로드 마켈렐레, 에르난 크레스포, 조 콜, 아드리안 무투, 글렌 존슨,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웨인 브리지, 데미안 더프 등을 영입하였고 2003/04 시즌엔 리그 준우승과 챔피언스 리그 4강이라는 호성적을 거두지만 로만이 기대했던 챔피언스 리그 우승에는 미치지 못하자 라니에리를 경질시킨다.[2] 하지만 라니에리가 첼시 시절 영입하였던 램파드와 조 콜, 마켈렐레, 브리지, 더프, 갈라스 등은 이후 무리뉴 감독 체제 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로만 체제 이후 첼시에도 상당한 공헌을 한 셈이다. 게다가 첼시 역사상 최고의 주장인 존 테리를 본격적으로 1군에서 활약을 한 것도 라니에리 감독이 부임하기 시작한 2000-01 시즌 때임을 감안하면 첼시에서도 라니에리의 리빌딩 능력은 발휘된 셈.

먼 훗날 2016년 라니에리는 레스터 시티의 감독으로 첼시에서 이루지 못한 우승을 일궈내는데, 공교롭게도 라니에리의 우승은 첼시가 2위 토트넘과 무승부를 거두면서 확정되었다. 이날 스탬포드 브리지의 첼시 홈 관중들은 경기 종료 직전 오랫동안 불리지 않았던 라니에리의 응원가를 부르면서 라니에리의 쾌거를 축하해 주었다. 또 재미있는 점이라면 레스터 시티 우승의 숨은 주역 중 하나인 센터백 로베르트 후트가 라니에리가 첼시 감독을 할 때 1군으로 승격시켰던 유망주라는 것이다. 어린 유망주였던 제자를 어느덧 30이 넘은 노장으로 다시 만나 우승이라는 쾌거를 이룬 것.

3.6. 발렌시아 CF 2기

해임된지 1년도 안 돼서 발렌시아의 부름을 받고 5년 만에 발렌시아로 복귀한다. 이탈리안 커넥션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당시 세리에 A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준 마르코 디 바이오, 베르나르도 코라디, 스테파노 피오레, 에밀리아노 모레티 등 이탈리안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였다. 시즌 초반에 UEFA 슈퍼컵에서 포르투를 꺾고 우승을 차지, 그 후 초반 6경기에서 승점 14점을 얻는 등 순항을 보였으나 그 이후 팀이 급격히 무너져 리그 막판에는 리그 7위로 추락하였다. 한 시즌만에 발렌시아에서 물러난다. 발렌시아에서의 급격한 부진의 이유는 전 시즌인 2003/04 시즌 리그 우승과 UEFA컵 우승을 하며 더블을 차지할 정도로 완성된 스쿼드를 가지고 있었는데 여기에 라니에리가 이탈리안 커넥션을 구축하고자 데려왔던 이탈리아 선수들이 기존 발렌시아 선수들과 융화되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3.7. 세리에 A 감독 시기

파일:hth.jpg

2005년 이후로 감독직을 시작한지 19년 만에 백수생활을 즐기게 된 라니에리는 1년 반 뒤인 2007년 2월에 파르마의 감독으로 10년 만에 세리에 A로 복귀한다. 파르마 부임 당시 파르마의 승점은 겨우 15점으로 강등권이었다. 그런 파르마를 라니에리는 당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임대 중인 주세페 로시를 내세워 남은 10경기에서 17점의 승점을 따내 극적으로 1부 리그 잔류에 성공한다. 그 뒤 풀럼과 맨체스터 시티, 팔레르모와 연결이 되었으나 모두 무산되었다.

라니에리는 그 후 2007년 6월에 유벤투스의 부름을 받아 감독에 임명된다. 이 때는 유벤투스 팬들 사이에서도 찬반이 심했는데 2006년 칼초폴리 사태로 2부 리그로 강등된 유벤투스를 (비록 델 피에로, 네드베드, 트레제게, 부폰 같은 핵심들이 남아있었지만) 재빠른 팀 수습으로 2006/07 세리에 B 우승으로 1년 만에 승격시킨 디디에 데샹 감독이 프런트와의 불화로 한 시즌 만에 경질되었기 때문. 프런트와의 불화는 그렇다 쳐도 능력 자체는 팬들도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데샹의 후임으로 라니에리가 임명된 것에 의구심을 품는 팬들도 있었다. 유벤투스 감독직 부임 이후 빈첸초 이아퀸타, 즈네덱 그리게라 등을 영입하고 조르조 키엘리니를 레프트백에서 센터백으로 주요 포지션을 바꾸는 등 첫 시즌에 리그 3위를 기록하며 곧 바로 챔피언스 리그 티켓을 거머쥔다. 2008/09 시즌에는 애증의(?) 관계인 주제 무리뉴 감독이 인테르의 감독으로 부임되어 상당한 화제거리가 되었다. 2008/09 시즌에도 순항 중이었으나 리그 막판 두 달 동안 리그 7경기에서 6무 1패를 기록하는 부진에 빠져 리그 우승컵을 인테르에게 넘겨준 라니에리는 결국 시즌 종료 후 유벤투스 이사진에 의해 경질된다.[3]

경질된지 4달도 채 되지 않아 2009년 9월 고향팀인 AS 로마의 감독으로 부임한다. 시즌 초반 제노아와 유벤투스에게 패배하며 전임자 루치아노 스팔레티가 경질되자, 그 후임으로서 부임해 첫 경기에 시즌 첫 승을 거뒀다. 한때 25경기 무패 행진을 기록하며 무리뉴의 인테르와 리그 우승 레이스를 벌였고 시즌 막판 맞대결에서 승리하며 잠시 선두에 오르기도 했으나 35라운드 삼프도리아와의 홈경기에서 1-2 역전패를 당한 것이 빌미가 되어 승점 2점이 부족하여 준우승에 머무른다. 코파 이탈리아에서도 인테르에게 패배하여 리그와 컵대회 모두 준우승을 기록했다. 리그 무패 행진과 컵대회 준우승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그 다음 시즌은 2010/11 시즌에서는 챔피언스 리그 16강전에서 샤흐타르 도네츠크에게 패배하였고 리그에서는 중반 이후 계속되는 부진 끝에 2011년 2월 이사진에 의해 경질된다.
파일:Clau.jpg

2011년 10월 가스페리니의 뒤를 이어 시즌 중반에 인테르 감독으로 부임한다. 초반에 리그 8연승을 기록하고 가스페리니 체제에서 약체 취급받던 트라브존스포르전 충격패로 시작한 챔피언스리그에서도 조1위를 이끌어내며 네라주리의 재건을 이끄나 싶었지만 귀신같이 7연패를 당하며 이도저도 아닌 모습을 보여주며 부임한지 1년도 안 되어 2012년 3월 해임된다.[4]

3.8. AS 모나코, 그리스 대표팀

해고된지 두 달도 안 되어 곧바로 AS 모나코 감독으로 부임했다. 당시 모나코는 2부 리그에 있었는데, 공개된 재산만 11조 원이 넘는 러시아 갑부의 구단주 취임으로 강팀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라니에리를 선임한 것. 첫 시즌에 곧바로 2부 리그 우승을 하며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고 2013/14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으로 이끌었다. 하지만 2014년 5월, 경기력이 좋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질되었다.

그 후 2014년 7월,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 4경기 연속 무승에 결정타로 유럽 최약체인 피파랭킹 187위 페로 제도에 안방에서 0:1로 패하는 등의 수모를 당하며 조 꼴찌로 추락, 결국 부임 4개월 만인 11월 16일, 전격 해임당했다.

2015년 2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제의를 받았으나 고사하였다. 결국 이 자리로는 바히드 할릴호지치 감독이 부임했다.

3.9. 레스터 시티 F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스터 시티 FC/라니에리 체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스터 시티 FC/라니에리 체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스터 시티 FC/라니에리 체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FC 낭트

파일:1440.jpg
프랑스 리그 1의 낭트의 감독으로 부임하는 것이 유력했지만 65세 미만인 감독만이 리그 앙 팀을 이끌 수 있다는 규정 때문에 계약이 지연되었다. 마침내 프랑스축구협회(FFF)의 승인을 받았고 낭트는 15일 구단 홈페이지를 통해 라니에리 감독과 2년 계약을 맺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9라운드 종료 시점에서 승점 17점으로 팀을 5위까지 올려놓았다. 아직 시즌 초반이고 9위 EA 갱강과 단 4점 차이밖에 안 나는 아슬아슬한 5위지만 그래도 준수한 성과임에는 틀림없다. 그 후에 3위까지 순위가 상승했으며 3~5위를 매 라운드마다 왔다갔다하고 있다.

3.11. 이후

2018년 7월 이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후보로 거론되었다. 그리고 7월 11일 골닷컴 코리아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 제안을 받은 뒤 고심했으나, 클럽팀을 맡고 싶어서 정중히 거절했다."라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 대표팀 감독 의향이 없음을 공식적으로 밝힌 최초의 감독이 됐다.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은 것을 제외하고는 대표팀 감독을 맡은 경험이 없다는 걸 고려한다면[5] 진정으로 클럽팀 감독을 원해서 거절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같은 강팀 이상이 아니면 라니에리 자신이 원하는 선수단으로 구성하는 게 쉽지 않고, 특히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의 경우 거스 히딩크 혹은 히딩크의 이상의 성과를 거둔 감독이 아니라면 여론의 움직임에 크게 요동쳐서 임기를 채우기도 벅차서 거절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 이외의 내용은 벤투호/선임 과정 문서 참조.

레스터 시티의 비차이 회장이 갑작스러운 사고로 사망한 이후 추모 현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본인에게 있어서 클럽의 한 페이지를 함께 한 인물 중 한 명이기에 꽤나 착잡한 심정일 듯하다.

3.12. 풀럼 FC

슬라비샤 요카노비치의 후임으로 강등권에 머물고 있던 풀럼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축구팬들은 12월 6일 레스터 시티와의 경기를 기대하고 있다. 부임 후 첫 경기인 PL 13R 사우스햄튼전에서 3:2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 좀처럼 승리를 거두지 못하며 팀을 강등권에서 구해내지 못하고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FA컵에선 3라운드에서 EFL 리그 원올덤 애슬레틱에게 홈에서 1:2로 역전패를 당하며 조기탈락을 당해버렸다.[6]

리그 15경기에서 단 12점밖에 수확하지 못한 그는 결국 PL 28R 소튼원정에서 0:2 패배를 당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시간으로 3월 1일 새벽,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

3.13. AS 로마 2기

디프란체스코 감독이 경질되고 감독 자리가 공석인 AS 로마에서 라니에리 감독에게 잔여시즌을 맡긴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예전에도 로마 감독을 맡기도 했었고 그 당시 성적 또한 나쁘지 않았기 때문에 로마측에서 자리가 비어있는 라니에리에게 빠르게 접촉했다. 그리고 로마에 있는 참피노 공항에 도착하였다. 사실상 공식 발표만 남은 상황. AS 로마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식 발표가 됐다. 계약은 3개월 계약으로 잔여 시즌 계약.

취임 후 12경기에서 6승 4무 2패를 기록하며 흔들리던 팀을 빠르게 안정시켜 시즌을 6위로 마감했다. 결국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팀이 어려운 상황에서 3개월간의 잔여시즌 감독직을 흔쾌히 승낙하고 불안정했던 팀의 중심을 다시 잡아 서포터들의 지지를 받았다. 본인이 인터뷰에서 이번 시즌까지가 자신의 임무이며 다음 시즌 감독은 맡지 않겠다고 말하면서 로마와 아름다운 이별을 하게 되었다.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서포터들이 라니에리의 헌정문구를 걸었고 그것을 본 라니에리 감독이 울먹이는 모습이 중계카메라에 포착됐다.

3.14. UC 삼프도리아

파일:bandiere.jpg
운명의 장난인지 2019년 10월 12일, 로마 시절에도 자신의 선임자로 중도 경질되었던 디프란체스코가 삼프도리아에서도 중도경질된 뒤 2년 계약으로 감독자리에 앉았다.

부임 후 그렇게 순탄치만은 않은 앞날을 보내고 있는데 첫 리그 3경기에서 2무 1패에 그치며 손쉽게 첫 승을 따내지 못했다.[7] 그렇게 한달이 지난 후 11월 4일 SPAL과의 원정 경기에서 잔루카 카프라리의 결승골로 겨우 부임 첫 승을 거둘 수 있었다.

이후 우디네세와 제노아를 잡고 AC 밀란과 비기면서 6경기 2승 1무 3패를 기록, 팀 순위를 2020년 1월 6일 기준으로 강등을 피할 수 있는 16위까지 끌어올렸다. 코로나19로 인한 리그 중단이 끝나고, 리그가 재개된 이후, 7월 무려 리그 9경기에서 5승을 쓸어담으며 반등해 리그 15위로 극적 잔류에 성공했다.# 세리에A 전문 소방수로서의 명성을 이번 시즌에도 이어나간 셈이다.

20-21 시즌에도 안정적인 운영으로 리그 9위를 차지하며 선수단과 팬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재정이 악화된 구단은 라니에리의 고액 연봉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 결국 재계약을 하지 않으면서 1년 반의 임기만을 채우고 이별하게 된다.

삼프도리아 측에서는 지난 시즌 디 프란체스코가 꼬라박기 전까지만 해도 몇 시즌 간 안정적으로 중위권을 마크해 오고 있었던 만큼 감독을 교체하더라도 현재의 위치를 보전하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한 듯 하며, 바꿔말해 부담스러운 몸값을 지불해가면서까지 라니에리와 계약을 연장할 메리트를 느끼지 못했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후 릴 OSC에서 데려오기 위해 오퍼를 넣었고 곧 부임이 임박하다고 한다. 하지만 OSC 릴에서 조셀린 구르방네크를 영입하게 되면서 없던 일이 되어 버렸다.

2021년 10월 2일 왓포드 감독직을 두고 협상 중이다.#

3.15. 왓포드 FC

파일:FA3dR_kX0AguQie.jpg
2021년 10월 5일, 성적 부진으로 경질된 시스코 무뇨스 감독의 후임으로 부임했고, 2년 계약을 맺었다. # 이후 부임을 위해 구단에 모습을 보였다.

데뷔전 8R 리버풀전 홈경기에서 마누라 라인의 대활약으로 인해 0:5로 크게 깨졌다.

하지만 9R 에버튼 원정경기에서 조슈아 킹의 활약으로 5:2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후로 부진하여 리그 17위까지 내려가며 강등권으로 추락했다. 그런 와중에 12R 홈 경기에서 맨유를 4:1로 잡는 이변을 일으켰다.[8]

하지만 이후 연패를 거듭하면서 구단의 신뢰를 잃어버렸고, 하위권 순위 경쟁 팀이였던 노리치 시티에게마저 3대0으로 완파당하며 2022년 1월 25일자로 부임 3개월만에 경질되었다.

이후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4강 레스터vs로마전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양쪽 팬들에게 박수를 받았다.

2022년 9월 AC 몬차의 감독직을 거절했다.

3.16. 칼리아리 칼초 2기

파일:cd8.jpg
2022년 12월 24일, 31년 만에 칼리아리로 복귀했다. 계약 기간은 2025년까지이며 2023년 1월 1일부터 감독직을 수행하고 있다.# 초반 6경기는 4승 1무 1패로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후 아쉽게 리그 5위를 차지하며 승격 플레이오프 예선에 진출했다.[9][10] 그리고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베네치아, 파르마를 잡으며 결승에 진출했고 1차전 홈에서 아쉽게 무승부를 거둔 후 2차전 바리 원정에서 레오나르도 파볼레티의 극장골로 칼리아리를 한 시즌 만에 승격시켰다. 이때 경기가 끝나고 라니에리 감독이 오열하는 모습이 찍혀 축구팬들의 심금을 울렸다.#

2023-24 시즌, 팀을 15위로 세리에 A에 잔류시켰다. 그리고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라니에리 감독은 칼리아리 감독직을 내려놓음과 동시에 클럽 감독 은퇴를 선언했다. 또한 국가대표 감독으로의 복귀는 생각하고 있다고도 한다.#

3.17. AS 로마 3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S 로마/라니에리 체제(3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S 로마/라니에리 체제(3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S 로마/라니에리 체제(3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감독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4.3. 수훈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2등급[14]: 2016

5. 라니에리에 대한 헌사

영국 윌리엄 윈저 왕세손이 최근 레스터의 승리에 기뻐했다. 라니에리 감독은 이 같은 존중을 받은 자격이 있다.
라니에리는 내가 존중하는 감독이다. 그도 내가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과거 우리 사이에 사소한 다툼이 있기도 했지만, 나는 라니에리가 우승컵을 들기를 바란다.
모두 프리미어 리그의 역사적인 감독이다.하지만 프리미어 리그 우승에 있어 가장 전설적인 감독은 라니에리다.
[15]
주제 무리뉴
축구계는 고마워해야만 한다. 정말로 중요한 인물이다.
라니에리 감독이 한 일은 엄청나다. 레스터 시티는 그의 기준점이다. 하지만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등 어느 곳에서도 그런 일을 했다.
난 이런 유형의 사람을 존경한다. 그런 사람들이 한 일들은 열정, 에너지와 함께 한다.

펩 과르디올라
라니에리 감독님 말씀이시죠? 감독님은 정말 훌륭한 분이십니다. 감독님이 제게 무엇을 원하시는지 이해하고, 감독님이 원하시는 대로 하려고 노력합니다.
엘도르 쇼무로도프
라니에리? 저에게 그는 최고입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저를 찾아주셨고, 덕분에 저는 발전하고 경기장에서 다시 좋은 기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는 라니에리 시스템에서 윙어로 뛰는 것을 좋아합니다.
앙헬리뇨
그는 훌륭한 사람이고, 매우 훌륭한 감독입니다. 제 생각에 그는 로마를 마땅히 있어야 할 곳으로 되돌려 놓은 올바른 선택이었습니다.
제레미 메네즈
라니에리는 어디를 가든 팀의 사고방식을 바꿔놓았다.
뱅상 캉델라
그는 로마를 다시 일으켜 세웠다.
다비드 피사로
라니에리는 날 매료시킨다. 나이가 몇 살이냐고? 73세인데, 나보다 세 살이나 어리다. 그는 자신을 밀어붙이는 극도의 열정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잠시 멈췄지만, 로마는 그에게 열정을 불어넣었다. 그리고 그는 로마에 합류했다. 축하한다
마르첼로 리피

6. 여담

  • 대부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샌님 신사의 이미지가 강하고, 실제 성격도 퍼거슨 등의 감독과 다르게 굉장히 조용하고 차분하다.
  • 백수 생활이 길지가 않고 여기저기 많은 클럽을 오가는데, 그게 A급 감독에 비해 몸값이 1/7 수준인 것도 한 몫 했다. 하지만 레스터 감독직 이후 몸값이 많이 올랐다. 특히 AS 로마에선 팀이 위험할때마다 등판하는 구원투수에 가까운 이미지다.
  • 감독 경력 초창기에는 특이한 선수 교체로 유명했다. 경기가 안 풀린다 싶으면 3명을 동시 투입하는 일이 많았다.[16]
  • 02/03 시즌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이 걸려 있던 리버풀과의 경기에서 선수단에게 경기에서의 승리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서 무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을 경기전 선수단 앞에 불러 베트콩 상대로 전투한 썰을 풀게 한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당시 첼시가 빚으로 허덕이고 있고 아브라모비치가 인수하기 직전이라 챔피언스리그 진출이 재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었기에 이런 독특한 처방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는 월남전과 다르게 첼시는 리버풀 상대로 승리하며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게 된다.
  • 무언가 자신만의 전술적인 철학이 있다기보다는 그때 그때 상황에 맞게 팀을 운영하는 편이다. 주로 4-4-2를 사용하지만, 이것이 라니에리의 전술이라고 불리는 전술은 없다. 해외에서도 라니에리의 전술을 분석한 칼럼을 찾기 힘들다.
  • 2015-16 시즌 레스터의 전술은 경기장을 극도로 좁게 사용하면서 일시적인 수적 우위를 꾸준히 얻어내는 토탈 사커이다. 레스터가 공격할 때는 경기장 한쪽으로 쏠려서 상대가 레스터의 선수들을 마크하기 위해 움직이면서 수비 진형에 불균형을 유발하게 된다. 상대 수비가 자기 자리를 잃은 틈을 타 마레즈나 바디 등이 프리하게 마무리하는 게 기본 공격 형태. 물론 이런 전술을 사용할 경우 자기네 진영도 한쪽 공간이 비게 되어 역습에 취약해 지는데 이를 은골로 캉테가 중심이 돼서 단단하게 막아주고 있다. 정말 날카로운 역습을 하지 않는 한 노리기 쉽지 않다.[17][18] 강팀들도 대처하기 어려운 공격 전술에 웬만한 수준이 아니면 약점을 노리기도 힘든 까다로운 전술을 완성해낸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 물론 마레즈가 있기에 더 위협적이지만 작년과 별반 다르지 않은 팀을 강등권에서 우승으로 끌어올린 것은 라니에리의 업적이 분명하며 진정한 의미의 명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애초에 프리미어 리그는 선수 한두명이 잘한다고 1등을 차지할 수 있을 만큼 만만한 리그가 아니다.
  • 맨시티를 압도하는 경기력에서 그가 얼마나 리빌딩으로 선수들에게 동기부여를 확실하게 주는 감독인가는 증명되었다. 반할의 맨유와 무리뉴의 첼시 모두 정상적인 폼을 유지하지 못했다고는 하지만, 레스터는 분명히 전력적으로 훨씬 우위에 있는 팀들을 모두 압도했다. 이러한 점은 그의 능력이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말하기 어렵다 정도가 아니라 그냥 라니에리의 능력이다. 반할이 레스터에 있다고 생각해보자.
  • 레스터에서와 이전 구단에서 크게 달라진 점으로 휴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것을 꼽았다. 레스터의 선수들은 이 이탈리아 감독이 진행할 혹독한 전술 훈련을 우려했으나, 라니에리는 부임 후 선수단 면담에서 1주일에 2회 휴식을 선수진에 약속했다. 1주일 동안 경기 1회, 강훈 2회, 회복/가벼운훈련 2회, 휴식 2회를 갖는 것을 루틴으로 가능한 시즌 내내 반복하였다고 하며, 특히 경기 다음날은 선수들이 뭘 해도 터치하지 않았다.
  • 아르센 벵거 아스날 감독과는 천적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극상성이다. 프리미어 리그에 있는 동안 14번을 붙어서 단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레스터 시티가 돌풍을 일으키는 2015-16 시즌에서 2패를 기록하며 시즌 상대전적 더블을 헌납한 유일한 팀이 아스날이다. 다만 아스날이 무패우승을 기록한 2003-04 시즌 챔피언스리그 8강에서 아스날에 승리하여 첼시를 4강으로 이끌기도 했다.
  • UEFA 대회 총괄이사 조르지오 마르케티[25]와 닮은 꼴로 유명하다. 국내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추첨 방송이 나오면 관련 드립이 끊이지 않을 정도. 이외에도 한국의 소설가 윤흥길과도 닮았다.
    파일:external/www3.pictures.zimbio.com/Giorgio+Marchetti+UEFA+Qualifying+Round+Draw+uCW5fHE9Tf_l.jpg
  • 포체티노와 함께 신태용호 시절의 플랜 A에 큰 영향을 준 감독이다. 어떤 전술을 써도 허우적대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바로 라니에리가 레스터시티에서 사용한 두줄수비 4-4-2를 사용함으로써 손흥민의 사용법과 경기력 상승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것이다. 라니에리가 사용한 4-4-2는 두 줄의 수비로 수비를 단단히 하고 역습을 하는 축구로 주로 약팀들이 강팀을 상대로 많이 사용하는 전술인데, 이것이 상대적으로 축구 약소국인 한국팀에게는 잘 맞는 이유. 그래서인지 한국 대표팀 감독으로 후보에 올랐다는 카더라가 있다. 2018년 7월, 바히드 할릴호지치가 한국 국대 대표 감독으로 후보에 올랐다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다시 4년만에 돌아가려 검토한 뒤로[26] 알제리 알 타스 지는 한국 감독 후보로 루이 판할,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클라우디오 라니에리가 거론되고 있다는 보도를 했다. 그러나 라니에리가 클럽팀을 맡고 싶어 거절했다라는 인터뷰를 하며 대한민국 축구 협회의 오퍼가 있었음을 공식으로 인정했다.#
  • 매주 미사에 참례하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다.

7. 둘러보기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4대
클럽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49대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50대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57대, 60대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85대
파일:첼시 FC 로고.svg

25대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44대
파일:AS 로마 로고.svg

59대, 67대, 72대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14~2021).svg

72대
파일:AS 모나코 FC 로고(2013~2021).svg

35대
파일:레스터 시티 FC 로고.svg

44대
파일:풀럼 FC 로고.svg

47대
파일:왓포드 FC 로고.svg

50대
파일:파르마 칼초 1913 로고.svg

86대

UC 삼프도리아 역대 감독
에우세비오 디프란체스코
(2019)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2019~2021)
로베르토 다베르사
(2021~2022)

칼리아리 칼초 역대 감독
파비오 리베라니
(2022)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2023~2024)
다비데 니콜라
(2024~ )
}}} ||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FIFA 로고.svg
파일:월드사커 로고.png
파일:프리미어 리그 심볼.svg
}}} ||
[1] 감독직 은퇴를 번복하고 시즌 도중 부임했다. 계약 기간은 2024-25 시즌이 끝날 때까지다.[2] 사실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못해서 경질당했다고 보기에는 이전부터 라니에리의 경질은 첼시 내에서 알게 모르게 나오고 있었다. 이 감독이 보여준 호성적과는 별개로 로만은 장기적인 플랜과 함께 결국 강팀을 원하고 있었고, 라니에리를 이 프로젝트에 적합한 인물로 보지 않았던 것. 라니에리가 훌륭한 감독이 아니라는 것은 아니지만 첼시를 최강의 팀으로 이끌 인물로는 생각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미 이 당시에 스벤예란 에릭손 감독이 물망에 올랐었고 면접까지 봤었지만 결국 포르투를 이끌며 챔피언스리그 우승이라는 엄청난 성과를 이룬 주제 무리뉴를 영입하게 된다.[3] 그러나 그 이후 유벤투스는 2시즌 연속 7위를 찍는, 일명 잭팟투스라고 불리는 암흑기를 거치게 된다.[4] 사실 이건 라니에리 탓을 하긴 좀 그런 게 티아고 모타를 미드필드 핵심으로 놓는 플랫 4-4-2를 통해 상당한 호성적을 거뒀으나, 보드진에서 모타를 겨울 이적시장에서 파리 생제르맹에 팔아넘기면서 추락하기 시작했다.[5] 또 그리스 대표팀 감독 당시 성적이 매우 좋지 않았다.[6] 올덤은 해당 시즌 EFL 리그 2로 강등되었다.[7] 라니에리 부임 이전 팀은 리그에서 1승 6패를 기록하며 리그 최하위까지 내려왔다.[8] 이 경기 직후 맨유의 올레 군나르 솔샤르 감독이 경질 되었다.[9] 세리에 B의 순위 결정 방식은 골득실이 아닌 승자승을 먼저 보는데 파르마와 승점 동률에 골득실도 7점 앞섰으나 맞대결에서 1무 1패를 기록하는 바람에 5위를 기록하게 되었다.[10] 4위에서 5위로 내려간 것이 뼈아픈게 세리에 B 승격 플레이오프는 5~8위끼리 승격 플레이오프 예선을 치러 이긴 두 팀이 준결승에 직행하게 되는 3,4위랑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 여기서 이긴 두 팀이 결승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루기 때문이다. 즉 이 한끗 차이로 칼리아리는 1경기를 더하게 된 셈이다.[11] C1(3부 리그), C2(4부 리그) 팀만 참여했던 코파 이탈리아[12] League Managers Association (리그감독협회)[13] Hall of fame del calcio italiano[14] 레스터 시티의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이룬 것만으로 단번에 2등급 대장군장을 수훈받았다. 이탈리아의 2006 월드컵 우승을 이끈 마르첼로 리피가 3등급 장교장을 수훈받았는데, 이는 이탈리아에서도 레스터 시티로의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그만큼 대단한 업적으로 평가했다는 의미다.[15] 펩과 퍼거슨 누가 더 나은 감독인지 묻자[16] 코로나 19가 전세계를 강타한 2020년 이후 부터는 최대 5명까지 교체가 가능하지만, 2020년 이전에는 최대 3명까지 교체가 가능했다. 역전을 위해 한 번에 모든 것을 쏟아붓는 용병술을 사용한 셈이다.[17] 덕분에 아스날 FC 같이 스피드로는 만만치 않은 팀에 되려 털리기도 했다.[18] 대부분 축구팬의 관심이 경이적인 골행진을 기록한 바디에 쏠렸지만, 상당수 축구 전문가들은 15-16 시즌 레스터의 핵심으로 캉테를 꼽았다. 캉테가 중원에서 버텨주기 때문에 무너지지 않고 역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 유럽축구 전체를 돌아보면 바디와 비슷한 공격수들은 여럿 있지만, 은골로 캉테는 그야말로 유일무이한 유형이다.[19] 2015-16 시즌 레스터 시티 FC[20] 2012-13 시즌 AS 모나코[21] 1993-94 시즌 ACF 피오렌티나[22] 1988-89 시즌 칼리아리 칼초[23] 잉글랜드, 프랑스, 이탈리아[24] 2, 3부리그도 엄연히 프로 리그이다.[25] 챔피언스리그유로파리그 조추첨 및 토너먼트 대진 추첨을 진행하기 때문에 자주 볼 수 있는 분이다.[26] 하지만 이후 할릴호지치도 결국 알제리 팀 감독직을 거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