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2:10:51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AS 로마/가스페리니 체제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세리에 A 로고.svg
2025-26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aaa
안토니오
콘테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마우리치오
사리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에우제비오
디 프란체스코

파일:US 레체 로고.svg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

파일:AS 로마 로고.svg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올로
자네티

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
빈첸초
이탈리아노

파일:볼로냐 FC 1909 로고.svg
파비오
그로소

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
이반
유리치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코스타
루냐이치

파일:우디네세 칼초 로고.svg
이고르
투도르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크리스티안
키부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파트리크
비에라

파일:제노아 CFC 로고.svg
파비오
피사카네

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
세스크
파브레가스

파일:코모 1907 로고.svg
다비데
니콜라

파일:US 크레모네세 로고.svg
마르코
바로니

파일:토리노 FC 로고.svg
카를로스
쿠에스타

파일:파르마 칼초 1913 로고.svg
알베르토
질라르디노

파일:피사 SC 로고.svg
스테파노
피올리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세리에 B 구단별 감독 ▶
<col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클럽
파일:제노아 CFC 로고.svg

101대, 110대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14~2021).svg

71대
파일:US 치타 디 팔레르모 로고.svg

125대, 127대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70대
파일:AS 로마 로고.svg

73대
}}} ||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AIC_logo.png
2018-19 · 2019-20
베스트팀
}}} ||
AS 로마
Associazione Sportiva Roma S.p.A.
파일:Gian Piero Gasperini(25-26).png
<colbgcolor=#990a2c><colcolor=#fbba00> 이름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
Gian Piero Gasperini
출생 1958년 1월 26일 ([age(1958-01-26)]세)
피에몬테주 토리노현 그룰리아스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7cm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경력 <colbgcolor=#990a2c><colcolor=#fbba00> 선수 유벤투스 FC (1976~1977)
AC 레지아나 1919 (1977~1978)
US 팔레르모 (1978~1983)
카베세 1919 (1983~1984)
US 피스토이에세 1921 (1984~1985)
페스카라 칼초 (1985~1990)
US 살레르니타나 1919 (1990~1991)
비스 페사로 칼초 (1991~1993)
감독 유벤투스 FC 유스 (1994~2003)
FC 크로토네 (2003~2006)
제노아 CFC (2006~201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1)
US 팔레르모 (2012~2013)
US 팔레르모 (2013)[1]
제노아 CFC (2013~2016)
아탈란타 BC (2016~2025)
AS 로마 (2025~ )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전술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가스페리니에 대한 언사7. 둘러보기

1. 개요

이탈리아축구 감독. 현재 AS 로마의 감독직을 맡고 있다.

공격적인 전술로 유명한 감독으로, 과거 제노아 감독을 맡아 호성적을 내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고 2016년부터는 아탈란타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유로파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2. 선수 경력

9살부터 유벤투스 유소년 구댜에서 뛴 가스페리니는 끝내 세리에 A에서 데뷔하지 못하고 몇 차례의 코파 이탈리아 출전 기록만을 남긴 채 2부 리그의 AC 레지아나로 임대됐다. 이후 한 시즌 만에 팔레르모로 적을 옮겨 다섯 시즌간 활약하였으며 1978-79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 결승에서 친정 구단 유벤투스를 만나 열의를 불태우기도 했으나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2부 리그의 카베세와 3부 리그의 US 피스토이에세에서 두 시즌을 보낸 뒤 페스카라로 이적한 가스페리니는 1987년 팀의 승격으로 세리에 A에서 뛸 수 있는 첫 기회를 얻었다. 그는 AC 피사와의 홈 경기에서 세리에 A에 데뷔했으며 데뷔 골을 기록해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1990년, 서른두 살의 가스페리니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나 살레르니타나에 새 둥지를 틀었다. 1993년에는 하부 리그를 전전하던 비스 페사로 칼초와 계약하였으며조용한 두 시즌을 보낸 뒤 35세의 나이로 은퇴하였다.

3. 지도자 경력

1994년, 선수로서의 커리어를 마감한 가스페리니는 20여년 만에 유벤투스 유소년 구단에 돌아왔다. 그 외에도 지역 유소년 구단의 감독직을 겸임했고 서서히 지도자 경력을 쌓아갔다.

2003년, 다시 한번 친정 유벤투스를 떠나 세리에 C1 클럽 크로토네의 감독으로 부임한 그는 한 시즌 만에 팀을 세리에 B로 승격시켰다. 세리에 B에서도 순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켰으며, 조금씩 감독으로서 주목을 받았다.

2006년부터 제노아의 감독을 맡아 다시 한번 부임 첫 번째 시즌에 팀의 승격을 이루어냈다. 이번에는 세리에 A였다. 2008-09 시즌 가스페리니는 제노아를 19년 만에 가장 높은 순위로 이끌며 UEFA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확보했고 이 시기 디에고 밀리토티아고 모타 등을 주축으로 한 3-4-3 포메이션과 화려한 전술로 이탈리아 전역에서 찬사를 받았다. 당시 챔피언 인테르의 감독이던 주제 무리뉴는 상대하기 가장 까다로운 감독으로 가스페리니를 꼽기도 했다. 그러나 승승장구하던 가스페리니는 2010년 여름 이적 시장에서 루카 토니, 하피냐, 카카베르 칼라제, 미겔 벨로주 등을 영입해준 구단의 전폭적인 지원에도 불구, 10경기에서 승점 11점만을 기록하는 최악의 부진을 보이며 5년 만에 제노아에서 경질됐다.

2011년 6월 24일, 인테르 구단주 마시모 모라티는 팀을 떠난 레오나르두 아라우주의 후임으로 가스페리니가 클럽의 새로운 감독이 될 것임을 공식 발표했다. 인테르에서의 부임 첫 공식경기이자 밀라노 더비로 치러진 2011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에서 인테르는 2:1로 무릎을 꿇었고, 리그 첫 경기에서는 팔레르모에게 4:3으로 패한 뒤 홈에서 로마와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어진 챔피언스 리그 트라브존스포르와의 홈경기에서 당한 1:0 패배는 신임 감독의 상황을 더 악화시켰으며, 결국 가스페리니는 승격팀 노바라에게마저 3:1로 패배한 뒤 부임 3개월 만에 파면되었다. 커리어의 유일한 빅클럽 경력[2]인 인테르에서의 실패 이유로는, 세리에의 통상적인 분위기와는 확실하게 구별되는 가스페리니의 전술 특성 상 선수들을 적응시켜 팀을 만들려면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한데, 당장의 성적이 요구되는 빅클럽에서는 그걸 기다려줄 여유가 없다는 점. 또 3백을 즐겨쓰는 가스페리니의 성향과 달리 당시 인테르의 스쿼드는 기본적으로 3백에 부합하지 않았다는 점이 꼽힌다.

2012년 9월, 한동안 무직 상태로 있던 가스페리니는 시즌 개막 3개월 만에 경질된 주세페 산니노의 뒤를 이을 팔레르모의 새로운 감독으로 또 다른 친정에 복귀했다. 그러나 감독을 쉽게 갈아치우기로 악명 높은 구단주 마우리치오 잠파리니는 2013년 2월 4일 아탈란타에게 2:1로 패배하자 가스페리니를 경질했다. 2013년 2월 24일, 가스페리니는 세 경기 만에 경질된 자신의 후임 알베르토 말레사니를 대신하기 위해 재차 팔레르모에 부임했지만 2013년 3월 11일 다시 경질됐다. 참고로 후임은 이 촌극의 첫 번째 감독이었던 산니노.

2013년 9월 29일, 제노아는 3년 만의 가스페리니 재선임을 발표했다. 복귀한 가스페리니는 전 시즌 17위였던 제노아를 2013-14 시즌 14위, 2014-15 시즌 6위로 이끌지만 2015-16 시즌 11위로 추락하며 팀을 떠났다.

3.1. 아탈란타 BC 감독

파일:가스페리니.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탈란타 BC/가스페리니 체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탈란타 BC/가스페리니 체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탈란타 BC/가스페리니 체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AS 로마 감독

파일:가스페리니 로마.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S 로마/가스페리니 체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S 로마/가스페리니 체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S 로마/가스페리니 체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전술 스타일

가스페리니 감독 하면 아탈란타 BC에서 보여준 굉장히 공격적인 윙백을 사용한 축구가 대표적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전술적인 전략가로 꼽힌다. 물론 가스페리니 감독에게 플랜 B가 부족하고 기본 플랜 A 전술도 실점에 대한 리스크가 상당한 전술인지라 어느 정도 기복이 있다. 하지만 아탈란타 BC에 부임한 이후로 단 한 시즌을 제외하면 만년 세리에 A 중하위권 및 강등 후보였던 아탈란타를 매시즌 유럽 대항전에 진출시키고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3]유로파 리그 우승까지 시킨 이탈리아 최고의 감독 중 한 명이다.

가스페리니 감독은 공격과 수비를 할 때 4백과 3백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편이다. 수비 시에는 포백을 사용해 안정적인 빌드업을 추구하면서 강한 맨투맨 마킹과 압박으로 상대의 볼을 빼앗아 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격 시에는 대중에게 흔히 알려져 있는 스리백 체계로 라인을 높게 올려서 강한 압박과 세컨볼 경합 및 탈취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이와 같은 가스페리니 볼의 핵심에는 좋은 공격력을 가진 윙백, 전방에서 공중볼 경합에 매우 능한 체격이 좋은 스트라이커, 윙백진이 올라갔을 때 그 공간을 후방에서 영리하게 커버해 줄 수 있는 미드필더진이 자리 잡고 있다.

단점으로는 강한 압박을 요구하는 축구답게 선수들의 체력이 금방 바닥난다는 점과 맨투맨 마킹 수비의 단점인 개인 기량으로 뚫릴 때에는 순식간에 팀이 무너진다는 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아탈란타는 득점이 많은 만큼 실점도 많은 팀으로 한때 유명했다.

공수 가리지 않고 강한 압박과 빠른 전환, 맨투맨 마킹 등을 활용한 전술 덕에 기복이 있지만 이와 별개로 세리에A에서 가장 보는 맛이 있는 축구를 구사하는 팀과 감독을 꼽으라고 하면 가스페리니의 아탈란타가 매번 꼽힐 정도로 화끈한 축구, 3골을 먹히면 4골을 넣는다는 축구의 대명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뒤가 없는 축구를 구사하는 감독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 세리에 A 올해의 감독: 2018-19, 2019-20
  • 세리에 A 이달의 감독: 2021년 11월, 2024년 5월 · 11월
  • 판키나도로: 2018-19, 2019-20
  • 가제타 스포츠 어워드 올해의 감독: 2017

6. 가스페리니에 대한 언사

가스페리니 감독의 부임 말인가요? 정말 훌륭한 결정입니다. 누구나 어떤 지도자인지 알고 있죠. 아탈란타를 무에서 시작해 챔피언스리그 단골 팀으로 만들었고, 심지어 스쿠데토 경쟁까지 이끌었으니까요. 그분과 함께하는 고강도 훈련이요? 전혀 두렵지 않습니다. 어떤 훈련이든, 어떤 육체적 고됨이든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어요.
- 엘도르 쇼무로도프

7. 둘러보기

{{{#fff,#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A870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151e2d,#DDD
파일:c5d76b0d190a-rensch.png
파일:61237c3e52da-angelino.png
파일:크리스탄테 25-26.png
파일:은디카 25-26.png
파일:0fea1f46f476-pellegrini.png
2 3 4 (VC) 5 7
데빈 렌스
Devyne Rensch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3.01.18([age(2003-01-18)])
2025~2029
앙헬리뇨
Angelinõ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7.01.14([age(1997-01-14)])
2024~2028
브라얀 크리스탄테
Bryan Cristant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1995.03.03([age(1995-03-03)])
2019~2027
에방 은디카
Evan N'Dicka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DF
1999.08.20([age(1999-08-20)])
2023~2028
로렌초 펠레그리니
Lorenzo Pellegr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1996.06.17([age(1996-06-17)])
2017~2026
파일:엘 아이나위 25-26.png
파일:도우비크 25-26.png
파일:퍼거슨 25-26.png
파일:bae94cfde1cb-tsimikas.png
파일:코네 25-26.png
8 9 11 12 17
닐 엘 아이나위
Neil El Aynaoui
파일:모로코 국기.svg | MF
2001.07.02([age(2001-07-02)])
2025~2030
아르템 도우비크
Artem Dovby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1997.06.21([age(1997-06-21)])
2024~2029
에반 퍼거슨
Evan Ferguson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FW
2004.10.19([age(2004-10-19)])
2025~2026[2]
코스타스 치미카스
Kostas Tsimikas
파일:그리스 국기.svg | DF
1996.05.12([age(1996-05-12)])
2025~2026[3]
마누 코네
Manu Kone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1.05.17([age(2001-05-17)])
2024~2025
파일:소울레 25-26.png
파일:a273dd537b6b-celik.png
파일:디발라 25-26.png
파일:bda6eb236585-hermoso.png
파일:dc0c2e2a2143-mancini.png
18 19 21 22 23
마티아스 소울레
Matías Soulé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2003.04.15([age(2003-04-15)])
2024~2029
제키 첼리크
Zeki Çeli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DF
1997.02.17([age(1997-02-17)])
2022~2026
파울로 디발라
Paulo Dybala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1993.11.15([age(1993-11-15)])
2022~2025
마리오 에르모소
Mario Hermoso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5.06.18([age(1995-06-18)])
2024~2027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6.04.17([age(1996-04-17)])
2019~2027
파일:e77176d056ee-ziolkowski.png
파일:ae03561bd4e5-bailey.png
파일:880d57aaefb0-vasquez.png
파일:c7f72a3e107e-baldanzi.png
파일:9f50bbbc4fc9-wesley.png
24 31 32 35 43
얀 지올코프스키
Jan Ziolkowski
파일:폴란드 국기.svg | DF
2005.06.05([age(2005-06-05)])
2025~2030
레온 베일리
Leon Bailey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 FW
1997.08.09([age(1997-08-09)])
2025~2026[4]
데비스 바스케스
Devis Vasquez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GK
1998.05.12([age(1998-05-12)])
2025~2027
톰마소 발단치
Tommaso Baldanz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3.03.23([age(2003-03-23)])
2024~2028
웨슬리
Wesley Franca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2003.09.06([age(2003-09-06)])
2025~2030
파일:3e57ec47ba9b-pisilli.png
파일:581484b60d97-sangare.png
파일:daf3a53925f2-ghilardi.png
파일:a4cd6c9b24f2-zelezny.png
파일:0915955e23f6-el-shaarawy.png
61 66 87 91 92 (C)
니콜로 피실리
Niccolò Pisill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4.09.23([age(2004-09-23)])
2022~2026
부바 상가레
Buba Sangaré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7.08.06([age(2007-08-06)])
2024~2027
다니엘레 길라르디
Daniele Ghilard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3.01.06([age(2003-01-06)])
2025~2030
라도스와프 젤레즈니
Radoslaw Żelezny
파일:폴란드 국기.svg | GK
2006.09.06([age(2006-09-06)])
2025~2029
스테판 엘샤라위
Stephan El Shaarawy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1992.10.27([age(1992-10-27)])
2023~2025
파일:c307d7e8429d-gollini.png
파일:5aceaa95bd64-svilar.png
파일:AS 로마 로고.svg
95 99 #
피에를루이지 골리니
Pierluigi Goll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5.03.18([age(1995-03-18)])
2025~2030
밀레 스빌라르
Mile Svilar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GK
1999.08.27([age(1999-08-27)])
2022~2027
에도아르도 보베
Edoardo Bov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2.05.16([age(2002-05-16)])
2021~2028
AS 로마 2025-26 시즌 임대 명단
<colbgcolor=#990a2c> 구단 정보
회장: 댄 프리드킨 / 감독: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 / 홈 구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출처: 영어 위키백과

[간략]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2]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에서 임대[3] 리버풀 FC에서 임대[4] 아스톤 빌라 FC에서 임대
}}}}}}}}}}}}}}}}}} ||
[1] 경질 후 재선임 후 경질[2] 당시 인테르는 2010 클럽 월드컵 우승으로 세계 챔피언 뱃지를 유니폼에 달고 있었다.[3] 2018-19, 2020-21, 2023-24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