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16시 ~ |
19시 ~ |
21시 ~ |
22시 ~ |
23시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nt-size: .9em; padding: 10px" ▶ 50-55분경에 방영이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다음 시간대로 간주하여 분류함. ▶ 같은 시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명의 가나다 순으로 정렬함(한 채널에 2개의 프로그램 존재시 앞선 프로그램 우선). ▶ 틀의 과도한 확장을 방지하고자 아래의 항목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위 편성표에서 제외함.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fff {{{#!folding [ 제외 항목과 프로그램 보기 ] | ▶ 주요 방송사(지상파, 종편, tvN, ENA)를 제외한 케이블 채널 중 개별 문서가 없는 예능. ▶ 단순 정보 전달, 연예 가십 보도, 강연, 시사 토론. ▶ 위 표에 기록된 시간대 이외의 시간에 편성된 예능. ▶ 음악 방송 중 음악 차트쇼 등 단순 공연 프로그램은 별개의 틀로 분류.
|
{{{#!folding [ 방영 예정 ]
{{{#!folding [ 관련 문서 ]
}}}}}} ||}}}}}}}}} ||
<col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5deg, #f26979 32%, #3bc4ee 32%)" | <tablealign=center> | 동상이몽2 너는 내 운명 | }}} | ||
| |||||
<colbgcolor=#f26979> 시청 등급 | |||||
방송 시간 | 월 / 오후 10:10[1] | ||||
방송 기간 | 2017년 7월 10일 ~ ON AIR | ||||
채널 | SBS TV | ||||
제작 | 스튜디오프리즘[2] | ||||
제작진 | <colbgcolor=#f26979><colcolor=#ffffff> CP | 조문주 | |||
연출 | 강형선, 안병욱, 유선명, 정유정, 조은재, 최희정 | ||||
작가 | 김미경, 이도희, 김하영, 송보라, 강수진, 오시은, 주예리, 김나영, 홍태정, 이시은 | ||||
진행 | 김구라, 서장훈, 김숙 | ||||
출연 | 이지혜, 이현이, 조우종 | ||||
스트리밍 | [[Wavve| Wavve ]]
| [3] | ||||
링크 |
1. 개요
2017년 7월 10일부터 방영 중인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의 시즌 2 예능 프로그램이다. 시즌 1 시절과는 달리 일반인이 아닌 셀럽 커플 중심으로 대상이 변경되었고, 유재석의 합류 불발로 패널이던 서장훈은 메인 MC로 승격됐다. 김구라는 그대로 나오고, 부부 싸움 등도 있다.전작과는 전혀 다른 예능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연관성이 없다. 시즌 1이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같은 식의 고민 해결 예능이었다면, 2는 셀럽의 결혼 생활을 보여 주는 생활형 관찰 예능이다. 그 덕택에 시즌 1 때보다는 평이 좋은 편이다.
화제성을 중요시하는 서혜진 PD 답게 첫 화부터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후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부부를 고정 출연시킨 것으로 화제였다.[4][5] 이로서 해당 프로그램은 한국 예능 사상 최초로 대통령 부부를 고정 출연시킨 프로그램이 되었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후 당시 출연분 영상이 재유행하기 시작하면서 sbs 예능 채널에서도 이런 동향을 파악한 듯 당시 출연분을 영상과 쇼츠 등으로 편집해 올리면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2. 출연진
3. 방영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방영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방영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수상 경력
<rowcolor=#ffffff> 날짜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수상자 |
2017년 | |||
12월 30일 | SBS 연예대상 | 방송작가상 | 노윤 |
올해의 핫스타상 | 우효광&추자현 | ||
쇼·토크쇼 부문 최우수상 | 서장훈 | ||
2018년 | |||
12월 28일 | SBS 연예대상 | 베스트 MC상 | 김숙 |
베스트 패밀리상 | 인교진&소이현 | ||
쇼·토크 부문 우수상 | 소이현 | ||
2019년 | |||
12월 28일 | SBS 연예대상 | 방송작가상 | 김미경 |
SBS 패밀리상 | 이윤지 | ||
SNS 스타상 | 강남&이상화 | ||
우수 프로그램상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
리얼리티쇼 부문 우수상 | 윤상현 | ||
2020년 | |||
12월 19일 | SBS 연예대상 | 명예사원상 | 서장훈 |
함께N 팀워크상 | 오지호&은보아 송창의&오지영 전진&류이서 박성광&이솔이 | ||
2021년 | |||
12월 18일 | SBS 연예대상 | 리얼리티 부문 신인상 | 이현이 |
베스트 패밀리상 | 이지훈&미우라 아야네 홍성기&이현이 최우성&김윤지 | ||
올해의 예능인상[6] | 김구라, 서장훈 | ||
리얼리티 부문 여자 우수상 | 이지혜 | ||
2022년 | |||
12월 17일 | SBS 연예대상 | 2022 SBS의 딸상 | 이현이 |
올해의 팀워크상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
토크·리얼리티 부문 소셜스타상 | 임창정&서하얀 | ||
쇼·스포츠 부문 최우수상 | 이현이 | ||
2023년 | |||
12월 30일 | SBS 연예대상 | 2023 SBS의 딸상 | 이현이 |
베스트 커플상 | 이장원&배다해 | ||
남자 우수상 | 오상진 | ||
선한 영향력 프로그램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
여자 최우수상 | 이지혜 | ||
2025년 | |||
1월 29일[7] | SBS 연예대상 | 2024 SBS의 딸상 | 이현이 |
베스트 커플상 | 김민재&최유라 | ||
굿패밀리상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
남자 우수상 | 조우종 |
5. 논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SBS 편성에 따라 10시~11시 사이에서 유동적으로 바뀐다.[2] SBS 내 조직 개편으로 2023년 12월 1일부로 SBS 예능본부가 자회사인 SBS플러스와 통합했다.[3] 넷플릭스가 SBS와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면서 2018년 방영분부터 시청이 가능하다. 대신 후술되어있듯이 대통령 부부의 고정 출연이라는 특수성 때문인지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 이후 출연분인 1회 ~ 11회는 제공하고 있다.[4] 이 프로그램의 패널인 김구라는 썰전에 토론 패널로 출연했던 이재명과 안면이 있었다. 참고로 이 당시 이재명은 전국적인 인지도가 있는 대권 잠룡이기는 했지만 2021년 이후처럼 존재감이 거대하지는 않았다. 심지어 이 시절에는 진보의 비주류인 비문계에서도 박원순에게 밀려있는 아웃사이더 비주류였고 범진보계 주요 대권 주자들 전체로 따져봐도 사실상 꼴찌에 가까운 입지였다. 심지어 문재인 정부 중반기인 2019년까지만 해도 이재명 대신 주목을 받던 대권주자는 당시 국무총리였던 이낙연이나 민주당 대표 추미애였다. 그랬기에 2년 뒤 이재명이 대선 후보로 선출될 것이라는 시각은 거의 없었다. 이후 승승장구한 이재명은 경기도지사, 국회의원, 당대표, 대선후보 등을 거쳐 8년 후인 2025년 대선에서 당선되어 마침내 대통령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된다.[5]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 이후 6월 10일부터 매일 12시, 17시에 출연 방송분을 유튜브로 통해 재업로드 해주고 있다.[6] 실질적인 대상후보에게 주어지는 상[7] 시상식은 2024년 12월 31일에 진행 예정이었으나,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해 2025년 1월 29일에 지연 개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