돗대기새우 영명 : glass shrimps | |
<colbgcolor=#f93,#620> 학명 | Pasiphaeidae Dana, 1852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아문 | 갑각아문Crustacea |
강 | 연갑강Malacostraca |
목 | 십각목Decapoda |
하목 | 생이하목Caridea |
상과 | 돗대기새우상과Pasiphaeoidea |
과 | |
돗대기새우과Pasiphaeidae |
1. 개요
십각목Decapoda 돗대기새우과Pasiphaeidae에 속하는 새우의 통칭.2. 상세
돗대기새우상과Pasiphaeoidea에 속하는 유일한 과로, 아래로는 7개 속으로 나뉜다.체색은 보통 붉은색이거나 투명한 편이며[1], 이러한 특성 때문에 ‘glass shrimps(유리 새우)’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3. 국내 서식종 목록
「2024 국가생물종목록」에 따르면 국내에는 2속 3종이 서식하고 있다.- 돗대기새우속Leptochela
- 파시파에아속Pasiphaea
- 큰돗대기새우 Pasiphaea japonica (Oori, 1976)
4. 활용
대개 국내에서 잡히는 물량은 돗대기새우만 따로 취급하기보다는, 크기나 형태가 비슷한 젓새우나 중국젓새우와 함께 묶여서 취급된다. 이에 따라 새우젓으로 주로 소비되며, 그 중에서도 추젓이나 대떼기젓에 많이 들어있는 편이라고 한다. # 이 외에도 경기도 등에서 김장할 때 김치에 넣는 생새우로 쓰이기도 한다. #또한, 일본에서는 큰돗대기새우P. japonica를 회나 초밥, 튀김, 센베이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5. 좁은 의미에서의 돗대기새우
돗대기새우 | |
학명 | Leptochela gracilis Stimpson, 1860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 Arthropoda |
강 | 연갑강 Malacostraca |
목 | 십각목 Decapoda |
과 | 돗대기새우과 Pasiphaeidae |
속 | 돗대기새우속 Leptochela |
종 | 돗대기새우 L. gracilis |
5.1. 상세
몸은 반투명하며, 이마뿔은 짧고 곧다. 2쌍의 등가시와 5쌍의 뒷가시가 나있으며, 제1~3배마디는 매끈하고, 제4배마디의 뒷부분에는 등중앙마루가 짧게 있다.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의 얕은 바다부터 수심 194m 정도의 깊은 바다까지 걸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등지에 서식한다. # # #강화도 연안의 개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포란성기는 5월~7월이며, 수명을 기준으로 3개월 정도 사는 단기 세대와 1년 정도 사는 장기 세대로 나뉜다고 한다.
크기가 작은 만큼, 자주 삼치 등의 육식성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