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8 19:49:38

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


돈파치 시리즈
<rowcolor=#000000> 정규 시리즈 개정판/외전
돈파치
도돈파치 도돈파치 블루 레이블
도돈파치 2
도돈파치 대왕생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 EXTRA
도돈파치 대왕생 혼
도돈파치 대부활 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
도돈파치 맥시멈
A.I am Monster(가제)
도돈파치 최대왕생 도돈파치 일면번장
도돈파치 최대왕생 EXA 레이블
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
怒首領蜂 大復活 ブラックレーベル
DoDonPachi Resurrection Black Label
<nopad> 파일: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케이브
유통
플랫폼 아케이드 | Xbox 360
ESD Microsoft Store
장르 탄막 슈팅 게임
출시 Arcade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0년 1월 20일
XB360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년 2월 3일
한국어 지원 미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파일:Microsoft Store 다크 테마 아이콘.svg

1. 개요2. 변경점3. 스테이지 구성4. 이식판
4.1. 어레인지판의 엔딩
5. 기타

1. 개요

2010년에 발매된 도돈파치 대부활의 블랙 레이블 버전. 2009년 12월 로케이션 테스트, 2010년 1월 실기 가동 시작. 다른 작품들의 블랙 레이블이 대부분 원본에 비해 난이도가 낮은 것과는 이례적으로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가고 어레인지 모드라고 해도 좋을 만큼 갈아엎어졌다.

담당 프로듀서는 일단 IKD지만, 야가와 시노부도 프로그래밍에 참여했다. 포동포동 포크이바라 시리즈의 프로듀싱을 담당한 바로 그 사람. 그런만큼 해당 게임또한 기존의 1.5 버전과는 아예 완전히 다른 게임이 되어버렸기에 케이브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 중에서도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작품중 하나다.

블랙 레이블의 발매로 전 기체 1조 오버는 꿈이 아니라 서서히 현실로 다가오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은 C-S마저 1조를 돌파하면서 현실이 되었다. B-P의 경우 2조까지도 찍었다!

2015년 4월 29일 배포된 MAME 0.161 버전에서 이 게임의 구동이 가능해졌다.

2. 변경점

  • C 버튼(오토 샷)과 A 버튼(샷, 꾹 누르면 레이저)을 동시에 누르면 레이저와 샷이 같이 나간다. 단, 옵션샷과 레이저만 나가고 메인샷은 나오지 않으므로 하이퍼로 탄 소거시 주의해야 한다. 이 기능을 사용시 화면 우상단의 '열로 게이지'(영어판은 'RED 게이지'[1])가 상승하여 랭크가 증가. 열로 게이지가 꽉 차면 히트수가 빠르게 오르면서 적탄의 양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레이저 모드보다도 이동 속도가 느려지며 하이퍼 게이지 상승율이 빨라진다. 이것을 잘 활용해야 히든 익스텐드/진 최종 보스 대면이 가능하다. 이 때문인지 열로 상태가 아닐 때는 하이퍼 게이지가 훨씬 느리게 차오른다.
    • 열로 게이지는 하이퍼 해제시 현재 게이지 수치의 반 만큼 감소하며, 미스가 난 직후나 봄 이펙트가 끝난 후에는 얼마나 차 있었던간에 완전히 초기화된다. 대신 수동으로 봄을 사용하면, 봄 이펙트가 끝나기 전까지 열로 게이지가 무조건 풀게이지인 상태로 변환된다. 이를 이용해 보스 격파 직전에 열로 게이지가 부족하다면 봄이 있는 스타일에 한해 봄을 던져서 열로 상태에서 보스를 마무리하는 테크닉이 있다.
  • 하이퍼 지속시간 감소. 특히 열로모드때는 더욱 짧아지며, 보스전에서는 거의 잠시만 유지될 정도로 더 짧아진다.(중간보스는 해당안함) 하이퍼 샷으로 인한 탄소거가 히트 수에 포함되지 않으며 레이저의 히트 수도 감소. 대신 하이퍼 중 봄을 사용해도 하이퍼가 유지된다.
  • 하이퍼 발동 시 무적시간 대폭 감소. 1.5 버전의 감각대로 오라샷 속공을 시도했다가는 바로 급사 또는 오토봄이 나간다.
  • 대부분의 중형 적들이 파괴될 시 그 적이 쏜 탄이 소거된다. 다만 반드시 열로 모드로 파괴해야만 쏜 탄이 소거되며 소거한 탄은 모두 별 아이템으로 변경되고 소거한 탄의 개수가 히트수에 반영. 공격 모드에 상관없이 처치만 하면 모든 탄을 소거하는 중형 적들도 여전히 존재하며 보스 파괴시에도 모든 탄이 별 아이템으로 변화. 이 때문에 필드전에선 중형 적보다 파괴해도 탄이 소거가 되지 않는 소형 헬기, 탱크가 더 무섭다.
  • 1.5 버전에 비해 봄의 지속시간이 짧아지고 봄 사용시 화면상의 모든 탄환이 별 아이템으로 변화.
  • 2주가 없다. 대신 스트롱 스타일을 선택할 경우 1.5 버전과 마찬가지로 기본 랭크가 올라가는데 이게 2주 난이도 수준으로 올라가서 이 스트롱 스타일 플레이를 하는 것 자체가 2주차 난이도라고 보면 된다. 여기에 열로 모드일 경우 말 그대로 탄막 지옥을 체감 가능. 또한 스트롱 스타일에서 특수한 조건을 만족하면 히바치가 아닌 숨겨진 진정한 최종 보스 Zatsuza가 출현한다.
  • 하이퍼 중 탄소거를 일정 수준 이상 할 때 나오는 방해요소 전기 밥통군은 이제 스트롱 스타일에만 나온다.
  • 5면의 티거 릴리 지대(비트 지대)가 변경되었다. 봄 스타일과 파워 스타일의 경우는 비트의 개수가 무조건적으로 대폭 감소되어 난이도가 크게 하락하나, 스트롱 스타일은 기존 1.5 버전의 비트 개수를 따라가는 것에 더해 5면 이전의 스테이지에서 달성한 최대 HIT 수에 따라서 비트의 개수가 달라지는 숨겨진 기믹이 있다.[2] 그렇기 때문에 패턴이 없으면 이 비트 지대 돌파 난이도가 극악으로 어려워져서, 최종귀축비트라는 별칭까지 붙었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반드시 HIT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 BGM 전부 변경. 1.5 버전과 비교해서 리드믹한 테크노 곡이 많아졌으며 모든 곡이 나미키 마나부가 담당하지 않고 여러 작곡가가 몇 개씩 잡아서 담당하게 됐다. 나미키 마나부는 기체 선택, 1면 필드, 스테이지 클리어 후 정산, 5면 필드, 히든 진 최종 보스 자츠자, 네임 엔트리의 곡만 담당.
  • 벌 아이템이 1.5 버전에서는 녹색→금색 순으로 바뀌었지만 블랙 레이블에서는 금색→녹색 순으로 바뀜. 또한 녹색 벌은 통상 시에는 기존처럼 하이퍼 게이지를 30% 채워주지만, 하이퍼 상태에서는 습득 시 하이퍼 게이지를 60% 채워준다.
  • 벌 아이템이 금색으로(혹은 흰색으로) 빛날 때 획득하면 화면상의 탄이 전부 소거됨. 소거된 탄은 히트수에 반영되고 전부 별 아이템으로 변화.
  • 익스텐드 아이템, 봄 아이템 또한 획득 시 화면 전체에 탄소거 효과를 일으키고 소거된 탄은 히트 수에 반영되며 전부 별 아이템으로 변화.
  • 스코어 단위별로(천점, 만점, 억점 단위별) 글자 크기를 달리해 점수 보기가 더 편해짐.[3]
  • 잔기 표시 아이콘이 대부활 원본보다 작아졌으며 아이콘이 서로 겹쳐져서 화면이 더 잘보이게 됐다.
  • 1면 우라 루트를 진입할 때, 기존 1.5버전 조건에 더해 3대의 중형 전차를 파괴한 직후 시점에서 열로 게이지 MAX 상태일 것 이라는 조건이 추가되었다. 허나 루트 진입 조건을 실패하더라도 낮은 확률로 우라 루트로 진입되는 현상도 일어난다. 파워 스타일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모든 스테이지를 조건 불문 무조건 우라 루트로 진행하게 된다.
  • 3면 후반의 1UP을 내놓는 대형 레이저 터렛은 기존의 1.5 버전 조건에 더해 열로 게이지 MAX 상태에서 파괴할 것 이라는 조건이 추가됐다.
  • 히바치 대면 조건에서 1.5 버전의 벌 수집이나 우라 루트 조건은 사라졌고, 그 대신 1미스 3봄 미만(2봄 사용까지 허용)으로 5스테이지까지 클리어 해야하며 모든 스테이지의 보스를(중간 보스 제외) 열로 게이지가 꽉 찬 상태에서 격파해야 한다.[4] 골든 디재스터 같은 경우는 히바치/자츠자 공통으로 열로 게이지가 어느정도이던 격파에 상관 없으며 히바치 대면이 목표라면 몇 번의 미스를 내더라도 히바치를 대면할 수 있다.
  • 골든 디재스터와 진 최종 보스 히바치의 난이도가 대폭 상승. 열로게이지를 채우지 않으면 데미지를 거의 입힐수 없을 지경으로 내구도가 올라갔으며 자체 탄막량도 엄청나게 늘어났다.
  • 히바치 1-1, 1-2, 1-3패턴에 안전지대가 존재한다. 단, 열로 게이지가 0일 때만 가능하다.[5] 히든 보스인 자츠자또한 1-1 패턴은 안전지대를 비슷하게 써먹을 수 있다.
  • 자츠자는 히바치보다 내구도도 높고 1형태 2패턴과 발악패턴에서 스트롱 레이저를 발사한다.[6] 그리고 약 레이저도 보라색뿐만 아니라 붉은색, 푸른색 레이저까지 전부 사용한다. 즉 4종류의 레이저[7]를 모두 사용하는 셈.
  • 오토봄 On/Off를 고를 수 있으며, 오토봄 Off 경우 봄 아이템을 하이퍼로도 사용할 수 있다. Off를 선택한 경우 봄스톡창에 B와 H가 번갈아 표시된다. 하이퍼 게이지가 100% 차면 1개의 봄/하이퍼가 봄스톡창에 1개가 스톡된다. 봄 맥시멈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은 반복된다.[8] On의 경우에는 봄 아이템을 하이퍼로 사용 불가능하며 오로지 하이퍼 게이지가 차 있을때만 하이퍼 사용 가능. 대신 피격 시 자동으로 봄이 발동되고 미스를 막아준다.
  • 하이퍼 사용 직후 하이퍼 발동 버튼을 다시 누르면 하이퍼 모드를 수동으로 취소할 수 있다. 하이퍼 종료시와 마찬가지로 탄소거와 무적시간이 존재하는데 이 취소될 때의 무적 시간은 하이퍼 발동 시 무적시간보다 훨씬 길어서 이 게임에선 이것을 잘 이용하는 것이 생존의 핵심중 하나.
  • 미스를 낸다고 해서 봄스톡이 자동으로 증가하지 않으며, 봄 맥시멈 상태에서 봄 아이템을 습득해야만 봄스톡이 증가한다. 때문에 기회를 봐서 봄 다 쓰고 폭사하고 봄을 먹어서 봄스톡을 늘리는 전략이 생겼다.
  • 콤보와 배율 제도가 상당히 갈아엎어졌다.

3. 스테이지 구성

2주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외에는 기본적으로는 초기판과 동일하다. 자세한 건 해당 항목을 참조.

4. 이식판

1차 PV
2차 PV
2011년 2월 3일에 Xbox 360으로 발매되었다. 케이브의 게임으로서는 이례적으로 DLC 버전과 패키지 버전이 따로 있다. DLC 버전은 1200포인트이며 도돈파치 대부활 1.5 패키지가 따로 있어야 한다. 어레인지 모드가 없으므로 지를 생각이 있는 사람은 주의할 것. 패키지 버전의 경우는 5040엔이며 케츠이크로스오버된 어레인지 모드가 존재.[9]

어레인지 모드는 1차 PV의 1분 23초부터. 참고로 PV에서 나오는 '결의하라'는 문구는 케츠이시누가요이의 셀프 패러디.

2차 PV에서는 에바카니어 둠의 참전이 확정. 확인 결과 모체는 에바카니어가 아니라 골든 디재스터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군다나 그 후 나오는 문구가 '빛의 날갯짓은 아직 멈추지 않는다'. 저 문구는 도돈파치 대부활의 스토리에서의 '벌의 날개소리는 아직 멈추지 않는다'의 셀프 패러디이다.

오퍼레이터의 대사에 'Just a couple of more shots입니다'[10]라는 대사도 추가되었다.

도전 과제가 발매되기 거의 한 달 전에 공개되었는데 지금까지 이식된 슈팅 게임에 항상 있었던 도전 과제인 전 캐릭터로 클리어 혹은 엔딩 보기가 없기 때문에 직접 플레이해보기 전까지는 어레인지 모드에 케츠이의 B타입 기체 판저 예거가 나오는지 어떤지는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자 플레이 가능한 기체는 오직 A타입 기체 티겔 슈베르트 뿐. 엔딩에서도 A타입 캐릭터인 앨리스 블랙번과 로이드 에반스만밖에 안 나왔다.

흑부활의 티겔 슈베르트는 간단히 표현하면 스트롱 스타일+봄스타일의 랭크+케츠이의 A타입의 확산형 샷+B타입의 스피드를 혼합한 기체라고 볼 수 있다.

샨테 시리즈의 제이크 카우프만이 어레인지한 케츠이의 BGM도 상당히 호평.

현재 우라 루트건 오모테 루트건 케츠이 보스의 등장은 없다고 밝혀졌다. 게다가 케츠이에는 보스곡이 하나뿐이라서 BOSS2-FRENZY에 대응하는 곡이 없기 때문에 보스 엘리먼트 도터들+5면의 두 번째 중보스+슈티 격파 후 특정 조건 만족 시 골든 디재스터 등장 전의 수령님 씬에서는 전부 DARKENED가 흘러나온다.

지루하다 싶은 사람은 그냥 BGM을 바꾸면 된다. 대부활은 흑판이나 백판이나 원하는 부분의 BGM만을 바꾸는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다만 대부활 1.5의 경우는 무조건 한 세트에다가 블랙 레이블 DLC를 구입해야 겨우 2개가 된다.

어레인지판에서의 우라 루트는 10배율 칩 300개 수집과 동시에 백판처럼 물탱크 3개를 격파해야 한다.

참고로 본작의 진 최종 보스인 _@-zv_@ (zatsuza) 격파 도전 과제가 있는데 노비스 모드에서는 달성이 불가능하다.

이후 원판이 PC판으로 발매되면서 블랙 레이블의 모든 모드(오리지널, 어레인지)도 같이 동봉된 채로 출시되었다. 백판에 비해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빡빡하고 도전 과제도 1.5와 분리되어 있어 스팀판 경험자들은 보통 1.5(1.51, 어레인지 A 포함)의 공략이 안정된 뒤 블랙 레이블에 도전하는 것을 추천하는 편.

혹시 케이브는 케츠이돈파치 시리즈의 세계관을 합쳐보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일부의 의견이 나오고 있었다. 그런데...

4.1. 어레인지판의 엔딩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attachment/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ketsuipachi 1.jpg

"Mission Complete! 대성공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오퍼레이터의 음성이 울려 퍼졌다.
머나먼 과거에,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을 토대로 제작한, 기체 테스트 시뮬레이션.
목숨이 걸린 계획에 실패는 용납되지 않는다. 무리한 훈련은 아니다.
그리고 현재의 기체라면, 그들과도 충분히 맞설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파일:attachment/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ketsuipachi 2.jpg

"마지막의 기체는, E 사에서 개발 중인 특수전투기지? 그 당시에도 저런 것이 있었던가?"
그것은, 데이터가 손상된 기체.
수수께끼 투성이의 그 기체를 조사해 보아도, "Hi-...VA...C"라는 문자와 어슴푸레한 외형 뿐.
무서울 정도의 전투력을 발휘하고, 밝게 빛나면서 불길하고도 신과도 같은 모습이었던 것 같다.

파일:attachment/도돈파치 대부활 블랙 레이블/ketsuipachi 3.jpg

....
"하이 바카니어...? 하이 바 ㅋ...히 바...,시..."
...?

엔딩에 따르면 패키지판 어레인지 모드는 케츠이의 시대(2054년)로부터 46년 전에 일어난 사건(그러니까 2008년에서 돈파치 부대와 엑시 패거리가 충돌한 사건)을 토대로 만든 기체 테스트 시뮬레이션이었다.

그런데 46년 전의 역사를 토대로 만들었다는 시뮬레이션에 패키지판 어레인지 모드 시점으로 아직 개발 중이라는 둠이 왜 들어가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 어쩌면 앨리스가 EVAC 인더스트리즈에서 두 가지 기체만 빼돌린 게 아니라 둠에 대한 자료까지 빼돌려놓고 엔딩에서 일부러 모르는 척하고 있는 거라든지...

애초에 대부활의 사건은 2008년 당시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그저 웬 정체불명의 세력들이 갑툭튀해서는 지들끼리 치고 박고 싸우는 것으로만 보였을 텐데 어째서 사건의 진상이 하나도 빠짐없이 세세하게(엘리먼트 도터들은 물론 고드윈 롱게나의 존재까지) 시뮬레이션에 구현되어 있는 건지도 미스터리. 어쩌면 설정상으로는 2008년의 사건과 히바치의 존재만 반영되고 나머지는 그냥 게임상의 표현일 뿐일 수도...[11]

5. 기타

히바치 이후 숨겨진 존재가 있을 거라는 추측이 나오게 된 건 블랙 레이블의 사운드트랙의 리스트에 현재까지 코빼기도 비치지 않은 곡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곡은 바로 진 최종 보스의 이름이기도 한 'Zatsuza'인데, 각 글자를 8글자 다음의 알파벳으로 바꿔보면[12] 이 제목은 'Hibachi'가 된다.

실제로 케이브의 게임 중 미사용 사운드트랙의 존재로 히든 보스의 등장 여부를 추정해 들이맞은 사례가 두 가지 있다. 하나는 벌레공주님 후타리의 OST에 있던 미사용 트랙이 벌레공주님 후타리 블랙 레이블스피리추얼 라사에 쓰인 것. 다른 하나는 데스 스마일즈 OST의 지르바 보이스에서 본편에서 안 나오던 보이스가 데스 스마일즈 메가 블랙 레이블에서 블러디 지르바 개막 보이스로 나온 것이다.
[1] 열로라는 한자 대신 RED라는 글자가 붙어있다. 단, 케츠이 크로스오버 어레인지에서는 열로 그대로 표기.[2] 비트 개수가 변하는 조건은 5스테이지 이전 스테이지에서 달성한 최대 히트수가 0 HIT를 기준으로, 3000 HIT 단위로 올라갈때마다 비트가 1개씩 늘어난다. 참고로 베타 로케 테스트 당시엔 전 스타일 공통으로 아무 조건없이 1.5 버전의 비트 개수의 2배로 나와서 말도 안되는 난이도를 보여줬기 때문에 정식에서 수정됐다.[3] 이는 이후 발매되는 아케이드용 케이브 슈팅 게임에도 적용된다.[4] 열로 게이지 MAX 격파 성공 여부는 보스 격파 시 큰 별이 나오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5] 다만 1-3패턴의 안전지대는 열로 게이지에 상관없이 가능하다. 다만 스트롱 스타일은 1-3패턴 안전지대를 사용하지 못한다. 그리고 노비스 모드는 왜인지 안전지대가 없다...[6] 이 때문에 무조건 레이저가 강화 상태인 스트롱 스타일만 자츠자를 대면할 수 있게 되어있다.[7] 보라색 약 레이저, 붉은색 약 레이저, 푸른색 약 레이저, 강 레이저.[8] 즉 봄/스트롱은 봄 스톡+하이퍼 게이지 합해서 7연속, 파워스타일은 2연속 하이퍼가 가능.[9] 표면의 아이의 포즈가 앨리스 블랙번의 패러디인 것은 물론이요, 기체와 BGM까지 케츠이와 같다.[10] 도돈파치 대왕생까지는 보스의 체력이 얼마 안 남으면 오퍼레이터가 'Just a couple of more shots'라는 대사를 했다. 하지만 대부활에서는 해당 대사가 없었다.[11] 아니면 EVAC 인더스트리즈의 전신이 돈파치 부대라는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12] 왜 8글자냐면 일본어로 8이 '하치'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