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21년 3월 9일 ~ 2021년 4월 8일 | ||
출범 이전 | 이후 | ||
이낙연 지도부 | 도종환 비대위 | }}} | |
<colbgcolor=#004ea2> 대표 직무대행 | <colbgcolor=#fff,#1F2023>이낙연 / 제4대 (사퇴) 김태년 / 제6대 (직무대행) | ||
원내대표 | 김태년 / 제6대 (2020.5.8. ~ 2021.3.9.) | ||
최고위원[1] | 김종민 / (2020.8.29. ~ 2021.3.9.) 염태영 / (2020.8.29. ~ 2021.3.9.) 노웅래 / (2020.8.29. ~ 2021.3.9.) 신동근 / (2020.8.29. ~ 2021.3.9.) 양향자 / (2020.8.29. ~ 2021.3.9.) | ||
사무총장 | 박광온 / 제4대 (2020.8.29. ~ 2021.3.9.) | ||
정책위의장 | 홍익표 / 제7대 |
1. 개요
이낙연 당대표가 사퇴하여 만들어진 체제.2. 상세
2021년 3월 9일 이낙연 당대표가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 참여하기 위해 사퇴하여 만들어졌다.3. 주요 사건
3.1. 2021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불어민주당/2021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불어민주당/2021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지도부 구성
2021년 3월 9일 - 2021년 4월 8일
- 대표
- 최고위원
- 중앙당직자
- 중앙당직자 (전국위원회 위원장)
- 정책위원회
- 비상설 특별위원회
- 우리 민간인이 북한해역에서 사살된 사건과 관련된 공동조사 및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위원회 위원장: 황희
- 전략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 김민석
- 스마트플랫폼위원회 위원장: 윤영찬
- 2020 더혁신위원회 위원장: 김종민
- 자본시장특벽위원회 위원장: 김병욱
- 새만금그린뉴딜위원회 위원장: 안호영
- 소확행위원회 위원장: 신동근
- 탄소중립위원회 위원장: 이낙연
-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
- 【 위원회 조직도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ea2><tablewidth=450><nopad>
||
[1] 전당대회 당시 선출된 선출직 최고위원만 기재.[2] 한국노총 산하 전국금융산업노조 위원장[3] 전 경향신문 편집국장[4] 전 정책위원회 부의장[5] 前 더불어민주당 전국장애인위원회 부위원장[6] 前 더불어민주당 전국노동위원회 위원장[7] 방역TF, 백신 · 치료제TF[8] 실업대책TF, 휴 · 폐업대책TF[9] 교육TF, 보육(가정)TF, 문화예술체육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