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대한민국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bgcolor=#cd313a,#cd313a><colcolor=#fff,#fff>일반 | 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
| 기타 | 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역사왜곡 |
- [ 지리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cd313a,#cd313a><colcolor=#fff,#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섬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도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해면동물 · 피낭동물 · 극피동물 · 곤충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 고유종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 군사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cd313a,#cd313a><colcolor=#fff,#fff><width=20%>일반
대한민국 국군 ·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주한미군(KATUSA · 주한미군 구성 · 주한미군 기지) · 유엔군사령부(재한유엔기념공원 · 주한영연방군) · 해외 주둔 한국군 본부 국방부 · 합동참모본부 · 육군본부 · 해군본부 · 공군본부 · 해병대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기타 국군 의전서열 · 병역의무 · 국방개혁 · 핵무장 · 모병제 찬반론
- [ 정치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cd313a,#cd313a><colcolor=#fff,#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국새 · 홍익인간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내각제 담론)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 경제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0047a0,#0047a0><colcolor=#fff,#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 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중진국 함정 · 선진국 담론
- [ 사회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0047a0,#0047a0><colcolor=#fff,#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 장점 민족 한국인 · 외국계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시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 황금 티켓 증후군
- [ 외교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0047a0,#0047a0><colcolor=#fff,#fff><width=20%>일반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0047a0,#0047a0><colcolor=#fff,#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UTC+9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 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유산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유산 · 등록문화유산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 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성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국인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 코리아 그랑프리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장르문학 (장르 판타지 · 웹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혁필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 영화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10만 관객 돌파 독립·예술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1. 개요
1993년 출범한 김영삼 정부 임기 초중반에는 달러화의 움직임에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임기 후반으로 갈수록 아시아 외환위기로 변동성이 심해졌고 결국 1997년 외환위기로 1997년 12월 3일부터 IMF 관리 체제로 들어가면서 1997년 12월 16일 정부는 환율변동제한폭을 폐지했고 불과 7일 후 달러화는 장중 1,995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후 달러화는 김영삼 정부 임기 종료 때까지 큰 폭의 등락을 반복했다.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 후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경제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 드라이브가 가속화되었고 금융과 산업 등의 빠른 구조조정과 이에 따른 경제 안정으로 큰 폭으로 등락을 거듭하던 달러화도 점차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1999년 1월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한국의 신용등급을 투자 적격으로 올리면서 달러화는 1,200원대에서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 이후 2000년의 닷컴버블 붕괴와 이에 따른 불황, 2001년 9.11테러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중되며 달러화는 다시 1,300원대로 상승했다. 하지만 2002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달러화는 다시 하락하면서 김대중 정부 임기 마지막에는 1,200원대 아래에서 움직였다.
2003년 출범한 노무현 정부 초반부터는 국제 유가의 고공행진과 미국의 대규모 재정 적자로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다. 이를 막기 위해 당국은 환율시장 개입을 지속했다. 기준금리 인하와 당국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2006년 말 원/달러 환율 1,000원 선이 무너졌고 2007년 10월, 장중 900원 선이 붕괴되는 등 노무현 정부 임기동안 원화 강세 기조는 지속되었다. 원화 강세 기조와 이에 따른 부작용은 차기 이명박 정부가 출범 이후 고환율 정책을 펼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받는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원화 강세에 따른 무역적자, 여행 수지 적자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고환율 정책을 폈다. 당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이 환율 정책은 정부가 맡아야 한다며 환율 주권론을 주장했다. 이에 더해 2008년 세계 경제를 휩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2008년 세계금융위기로 달러화는 2009년 3월, 1,600원대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고환율 정책으로 인해 수입물가가 급속히 올라갔고, 오락가락한 환율정책으로 오히려 외환보유고가 거덜났고, 대기업만 이익을 봤다는 비판이 고조되자, 정부의 정책 기조는 한풀 꺾였다. 이후 유럽 재정위기를 거치며 상대적으로 경제적 펀더멘털이 탄탄한 한국으로의 자금 유입이 빨라지자 달러화는 꾸준히 하락했다.
2022년 출범한 윤석열 정부에서는 12년 11개월만에 환율 1,300원을 돌파했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이 일어나자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올렸는데 한국은 금리를 올리지 않아 달러화의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통화정책회의가 5월, 7월이고 연준의 통화정책회의는 5, 6, 7월 세 달 연달아있기 때문에 6월에 연준에서 금리를 인상하면 한국은행의 통화정책회의가 있는 7월까지 달러화의 강세는 별도의 금리인상이 없다면 불가피한 일이다.
2022년 7월 12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16원을 넘어서며 13년 2개월여 만에 최고치로 뛰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8.2원 오른 달러당 1,312.1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종가보다 7.1원 오른 1,311.0원에 개장한 환율은 오전 9시 52분쯤 1,311원대로 올라서며 지난 6일 장중 기록한 연고점(1,311.0원)을 4거래일 만에 갈아치웠다. 환율은 이후 지속해서 상단을 높이며 장중 1,316.4원까지 고점을 높였다. 이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30일 장중에 기록한 고점인 1,325.00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결국 다음날 한은은 빅스텝을 단행했다.#
2022년 7월 12일 원/달러 환율은 1325.4원까지 급등했다. 고가 기준으로 2009년 4월 29일(고가 1357.5원) 이후 13년 3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 8월 22일 원/달러 환율이 13년 4개월 만에 1,330원을 돌파했다.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9.6원 오른 달러당 1,335.5원에 개장한 뒤 장 초반 1,338.5원까지 고점을 높였으며 장중 1,330원과 1,340원선을 연이어 돌파해 장중 1,340.2원까지 고점을 높였다가 13.9원 오른 달러당 1,339.8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이 1,340원을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29일(고가 기준 1,357.5원) 이후 약 13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1, #2, #3, #4, #5, #6 다음날은 1,346.6원까지 치솟았다.# 2022년 8월 29일 원/달러 환율은 13년 4개월 만에 장중 1,350원을 돌파해 1,350.4원까지 치솟았다.#1, #2, #3, #4, #5, #6 9월 1일에는 오전 11시 58분 기준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15.8원 오른 달러당 1,353.4원까지 치솟으며 전날 기록한 장중 연고점(1,352.3원)을 하루 만에 갈아치웠다.# 오후에는 달러당 장중 한 때 1,355.1원까지 치솟았다.#
2022년 9월 2일 오후 3시 16분 원/달러 환율은 2009년 4월 21일(고가 기준 1,367.0원) 이후 약 13년 4개월여 만에 장중 1,360.6원까지 치솟았다.# 이 날 환율은 1,362.6원에 거래를 마쳤다.#1 #2 2022년 9월 5일 오전 11시 13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370.1원까지 올라 13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1,370원을 돌파했다. 이 날 환율은 1,375.0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이 1,370원을 돌파한 것은 2009년 4월 1일(고가 기준 1,392.0원) 이후 13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1, #2, #3, #4, #5 다음날은 1,377.0원까지 올랐다.# 2022년 9월 7일 1,380원을 돌파해 1388.4원까지 올랐다.#1, #2, #3, #4 2022년 9월 14일 원/달러 환율은 2009년 3월 이후 13년만에 1391.3원까지 올랐다.#1, #2, #3, #4 2022년 9월 15일 원/달러 환율은 2009년 3월 이후 13년만에 1,397.9원까지 올랐다.#1, #2
2022년 9월 22일 원/달러 환율 오전 9시 13분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9.9원 오른 달러당 1,404.1원이다. 환율이 1,400원대를 기록한 것은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31일(고가 기준 1,422.0원) 이후 13년 6개월여 만에 처음이다.#1, #2, #3, #4, #5, #6, #7, #8, #9, JTBC MBC SBS KBS 다음날은 1,411.2원까지 올랐다.# 9월 26일에는 1,434.8원까지 올랐다. 이제 목전에 둔 직전 최고치는 2009년 3월 16일 장중 기록한 1,488.0원이 됐다.# 2022년 9월 28일 원/달러 환율은 1,442.2원까지 올랐다.#1, #2
2024년 내수 경제 침체, 달러 강세 등 여러 이유로 다시 환율이 상승 중이며, 1300 ~ 1400 초반을 왔다 갔다 하다가 12월 12.3 비상계엄 이후 폭등, 2008 금융 위기 이후 최대치인 1480원대를 찍었다. 이번 환율 폭등은 상당히 치명적인데, IMF는 현대사 가장 큰 타격을 입었던 경제 위기였고, 금융 위기는 전세계가 타격을 입었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번 폭등은 계엄이라는 특수한 상황 전부터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여주면서 원화 약세가 점점 심해지고 있던 것이 크게 작용했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하락한 것이 작용했다. #1 #2 #3 #4 #5 #6 #7 #8
그리고 2025년 5월 말부터 환율이 내려가 2025년 6월 초 기준 1370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2. 상세
미군정 당시에 1달러를 15원 정도로 책정했던 것이 최초의 환율 책정이었다. 그러나 미군정의 경제정책이 개판으로 진행되어 혼란이 극심했던 탓에 고정환율은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으며 1948년에 1달러를 450원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시장환율을 따로 신설하는 이중환율제도를 채택했다. 그러다가 1950년 4월 10일 외국환의 경매에 의해 환율이 결정되는 가중평균 단일 환율제를 채택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6.25 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경제가 다시 황폐화되고 이에 따라 공식환율과 암시장 환율간의 괴리가 커지면서 1955년 1월 10일에 복수환율제도를 재도입하였다. 그러나 이것도 부작용이 심해서 1955년 8월 8일 단일 공정환율제를 통합했고, 1961년 1월에 복수환율제도를 다시 시행했다가 1961년 2월 2일자로 단일환율제를 재도입하는 등 환율정책의 혼란상은 심했다. 이 당시 한국은 외화가 부족한 나라였기 때문에 외화수급이 원활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환율제도의 부침이 매우 심했던 것이었다.이후 1964년부터는 수출증대와 경상수지 적자 감축을 위해 원화 절상을 한 뒤 단일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했다. 다만 변동환율제라고 해도 사실상 달러가치에 고정되어 있던 것은 일종의 페그제였다. 참고로 당시 1달러당 255원이었다. 하지만 연 10%대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했고 오일쇼크의 영향으로 물가가 고공행진했던 이유도 있었기 때문에 여러 번의 평가절하를 거쳤으며 1980년 들어서는 1달러당 580원의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1980년 전두환 정권 들어서는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도입했고 여하튼 1980년대 중반까지도 환율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경향이 있었고 1985년 들어서는 1달러당 890원까지 올랐지만, 1986년부터 1989년까지 3저 호황의 영향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보기 시작하자 유입되는 외화의 영향으로 환율이 하락했으며 1달러당 600원 선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런 환율제도도 시시각각 변하는 세계 경제상황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3저 호황이 점차 끝나면서 약발이 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1990년대 시장평균환율제도를 채택했으며 1일 0.4%의 환율변동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90년대 초반 당시에 물가상승의 압력이 상당했던 것도 있기 때문에 물가안정을 위해서 정부의 개입이 이루어졌다는 것만은 변함이 없었다. 여하튼 1992년 이후로는 점차 환율변동폭 규제가 완화되었다가 1997년 외환위기로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음에 따라 처음에는 환율 변동폭을 1일 10%로 확대하고 12월에는 아예 변동환율제로 완전히 이행되었다. 이때 원달러 환율은 최대 1,900원 선까지 치솟는 등 혼란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 시기를 기점으로 수출경쟁력이 급속히 향상되면서 지속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보기 시작하자 원달러 환율은 다시 떨어져서 성장률 둔화와 9.11 테러로 뒤숭숭했던 2001년도를 제외하면 환율은 안정세를 찾아가서 2005년까지 1,000~1,200원 사이를 왔다갔다 하다가 2006년에는 원달러 환율이 1,000원 밑으로 떨어져서 2008년 3월까지 지속되었다.
17대 정부에 들어와서 환율, 특히 IMF 시절보다 더 심각한 수준으로 원-엔 환율이 급등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전에는 1,050원 선이었던게 2008년 9월 말부터 뛰면서 2009년 3월에는 달러당 1,600원 선까지 뛰기도 했다. 이로 인해 취미 생활 영위에 타격을 받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었었다. 특히 정발시장이 비실비실한 게임계에서 심했다고 한다. 불과 2년만에 곱배기에 가깝게 뛰었다. 덕후들의 적 그 분(...)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이후에 차츰 안정이 되어가나,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환율을 2009년 하반기에 1,250원 선으로 보호하였고, 이후에 1,150원으로 다시 마지노선을 잡는다. 2009년 후반~2010년에는 환율은 1,150원에서 절대 요지부동이었다. 이후 2011년 초에는 1,100원 아래로 내려갔다.
다만, 한 가지 생각해봐야 할 게, 대침체가 터지자 당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환율이 폭등하는 외환시장에 달러를 쏟아부어서 잠시 환율을 억제하려 했다. 이른바 도시락 폭탄. 다만 2008년 5월 이후의 상황에선 고환율 드립은 어디가고 오히려 급등하는 환율에 맞서서 달러를 매도했다.
그러나 시장은 정부의 외환보유액 방출을 전부 흡수했고 오히려 더 가파르게 올라갔다. 정부가 시장에 역행하는 짓거리를 하면 어떻게 혼나는지 보여주는 사례.
실제로, 리만 브라더스가 파산했을 때에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 채권에서 대량으로 돈을 빼내고 있었다. 정부에서 환율을 틀어막으려 했던 시도 자체가 안 되었던 상황. 이런 상황에서는 그냥 가만히 시장을 놔두고 환율이 폭등하는 것을 지켜보기만 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되었음에도 오히려 도시락 폭탄을 던져대면서 외환보유액을 날려먹음과 동시에 정부의 전략부재를 드러낸 꼴이 되어서 외환시장 딜러나 경제학계 쪽에서 신나게 까였다. 특히 비슷한 정책을 추진하다 헤지펀드한테 개발살난 영국의 파운드화 사례와 엮여서 더더욱 까였다.
여담으로 많은 사람들의 인식과는 다르게 지금까지의 데이터를 한국은행이 조사한 결과, 원화가치가 절상[1]되는 것이 절하[2]되는 것보다 경제에 훨씬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3]
각국은 자국통화가치를 평가 절하하여서 수출을 늘리려는 의도를 다분히 펼치고 있지만 한국 원화의 환율은 유독 그중에서 정도가 심하다고 평가하는 국가들이 적지 않다. 특히 미국은 대한민국을 환율조작 감시대상국으로 보고 있다.[4] 자국통화의 가치상승에 환율을 아예 유로화에 맞춰 고정시켜버린 스위스도 비슷하다. 수출 위주 국가들에게 있어서 환율이 매우 중요하다는 게 나타나는 부분이다.[5] 그런데 2017년 상반기에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경고가 국책연구기관들로부터 잇따라 제기됐다.#
3. 기간별 미국 달러화의 대원화 환율 통계
3.1. 월별 원달러 환율 통계
3.1.1. 2004년 3월~2014년 6월 원달러 환율 통계
"출처: Oanda
3.1.2. 2015년~2021년
#3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9.6원 오른 1,1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6년 2월 23일 오전 8시, 1달러당 1,23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6년 4월 18일 1달러당 1,14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7년 1월 1일, 1달러당 1,205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7년 1월 20일, 1달러당 1,169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7년 4월 8일 오전 9시, 1달러당 1,131원에 거래되고있다
2018년 2월 9일 오후 7시, 1달러당 1,088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8년 10월 11일 오후 4시, 1달러당 1,143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9년 4월 30일 오전 5시, 1달러당 1,160.5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9년 5월 29일 오후 8시, 1달러당 1,194.5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9년 7월 1일 오전 9시, 1달러당 1,149.79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9년 8월 5일 오전 11시, 1달러당 1,212.09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9년 8월 23일 오후 1시, 1달러당 1,212원에 거래되고 있다.
2020년 11월 18일, 장중 최저 1,103.5원에 거래되었다. 2달 전 최고 1,190원을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급격한 변동이다.
2021년 4월 8일 오후 3시, 1달러당 1,11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21년 8월 19일 오후 9시, 1달러당 1176.0원에 거래되고 있다.
3.1.3. 2022년
2022년 하반기 들어, 미국의 금리 인상에 의한 영향이 커지며 파죽지세로 환율이 오르기도 했다.2022년 1월 6일 오후 4시, 1달러당 1,20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2개월만에 장중 1,200원을 돌파한 것이다.
2022년 4월 25일 오전 10시, 1달러당 1,247.3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22년 5월 12일 오전 6시, 1달러당 1,289.96원에 거래되고 있다.
2022년 6월 22일 오후 4시, 1달러당 1,297.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마감 이후 1,302원을 돌파하며 2020년 3월 1,296원을 넘고, 1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 7월 15일 오전 7시, 1달러당 1,328.74원에 거래되고 있다. 다시 한번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 8월 22일 오후 1시 51분쯤 1,340원을 넘어섰다. 환율이 1,340원을 넘어선 것은 대침체 당시인 2009년 4월 29일(고가 기준 1,357.5원) 이후 약 13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다음날은 1,346.6원까지 치솟았다.
2022년 8월 29일 원/달러 환율은 13년 4개월 만에 장중 1,350원을 돌파해 1,350.8원까지 치솟았다. 이날 환율은 19.1원 오른 1,350.4원에 마감되었다.
9월 1일에는 오전 11시 58분 기준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15.8원 오른 달러당 1,353.4원까지 치솟았다. 이날 환율은 1,355.1원까지 치솟았다.
2022년 9월 2일 오후 3시 16분 원/달러 환율은 2009년 4월 21일(고가 기준 1,367.0원) 이후 약 13년 4개월여 만에 장중 1,360.6원까지 치솟았다. 이날 환율은 1,362.6원에 거래를 마쳤다.환율, 금융위기 후 첫 1,360원 돌파…1,362.6원 마감
2022년 9월 5일 원/달러 환율은 1375.0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이 1,370원을 돌파한 것은 2009년 4월 1일(고가 기준 1,392.0원) 이후 13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2022년 9월 6일 원/달러 환율은 1,377.0원까지 올랐다. #
2022년 9월 7일 원/달러 환율은 1388.4원까지 올랐다.#
2022년 9월 14일 원/달러 환율은 1391.3원까지 올랐다.
2022년 9월 15일 원/달러 환율은 1,397.9원까지 올랐다.#1, #2
2022년 9월 22일 원/달러 환율은 오전 9시 13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보다 9.9원 오른 달러당 1,404.1원이다. 환율이 1,400원대를 기록한 것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31일(고가 기준 1,422.0원) 이후 13년 6개월여 만에 처음이다. #1 #2 #3 #4 #5 #6 #7 #8 #9 JTBC MBC SBS KBS
2022년 9월 23일 원/달러 환율은 1,411.2원까지 올랐다.#
2022년 9월 26일 원/달러 환율은 1,434.8원까지 올랐다. 이제 목전에 둔 직전 최고치는 2009년 3월 16일 장중 기록한 1,488.0원이 됐다. #, #, #, #, #
2022년 9월 28일 원/달러 환율은 1,442.2원까지 올랐다. #, #
10월 즈음에서 정점을 찍었으나 11월 이후 안정화 되었다.
자세한 것은 #를 참조
3.1.4. 2023년
2023년 1월 6일 원/달러 환율은 1,260원이다. #2023년 2월 17일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00원을 돌파하며 여전히 불안한 금융시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
환율이 지속적으로 올라서 2023년 5월 2일 원/달러 환율은 1,342.1원이 되었다. #
2023년 11월 20일 원/달러 환율은 1289.9원이다. #
자세한 것은 #를 참조
3.1.5. 2024년
2024년 8월 27일 원/달러 환율은 1334.56원이다.2024년 11월 12일 원/달러 환율은 1400.30원이다.
2024년 12월 12일 원/달러 환율은 1431.00원이다. 12.3 비상계엄의 여파로 인해 휘청인 탓이다.
2024년 12월 19일 원/달러 환율은 1458.00원이다. 이는 2009년 3월 16일 이후 15년 9개월 만으로, 계엄 사태 이후 정국이 안정되지 않으면서 급등한 것이다.#
2024년 12월 24일 원/달러 환율은 1460.00원이다. 이는 2009년 3월 16일 세계 경제위기 이후, 15년 9개월 만에 처음으로 기록한 1460원대 원/달러 환율이다.[6]
2024년 12월 26일 원/달러 환율은 1466.00원이다. 12월 24일 시작한 1460원대 환율이 26일까지 3일 연속으로 지속되는 상황이다.#1 #2 #3 #4
2024년 12월 27일 원/달러 환율은 1486.70원이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최대치이다. #1 #2 #3 #4 #5 #6 #7 #8
3.1.6. 2025년
2025년 1~2월에는 달러 약세로 1450원 이하로 내려가며 다소 안정세를 보였고 2월 25일엔 1429.20 원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트럼프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다시 환율이 올라가기 시작했고 탄핵 선고 2일전 1471.70원으로 다시 최대치에 근접했다.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날 8:0 만장일치로 파면되면서 환율이 1439.30원까지 폭락하는 일이 벌어졌으나, 그 다음주에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발표하자마자 무섭게 폭등, 4월 9일 1486.83원까지 상승했다. 트럼프가 며칠 안가 관세를 유예하면서 다시 1450원 대로 내려갔으나 이 역시 일시적인 현상으로 다시 1460원대로 올라갔다. 여러 상황에 따라 크게 요동치긴 하나 얼마 안가 다시 1470원대로 복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고, 엔화가 1000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이후에는 달러화의 덤핑이 이어지면서 1420원대로 하락했다.
5월 말부터 환율의 하락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6월 5일 기준 1360~1370원 대를 유지하고 있다.
8월 14일 기준 1,380원으로 계속해서 1,400원 선을 하회하고 있다.
9월 중순부터 환율이 계속 오르더니 하순이 되자 심리적 저항선인 1,400원을 돌파하였다.
9월 27일 기준 환율은 1,410원.
10월 8일 기준 환율은 1,423.23원. 이를 두고 언론에서도 우려하는 기사가 보도되고 있다. # #
10월 12일 환율이 1430원대에서 계속 올라가자 다음날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으로 급한 불은 껐으나 여전히 1427원으로 높다.
3.2. 다른 외국 통화별 원화 환율 흐름
연도별 평균치만 적용한다.항간에 따르면, 2024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기준으로 미국 달러화를 제외하고 거래량이 많은 통화는 다음과 같다.
유럽: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스위스 프랑
아시아: 일본 엔, 중국 위안, 홍콩 달러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
아프리카: 남아공 랜드.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참고사이트: http://www.smbs.biz/ExRate/StdExRate.jsp
3.2.1. 아시아
| 통화명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
| 일본 엔(천엔당) | 2022년 | 9,834.4 | 2023년 | 9,312.4 | 2024년 | 9,003.6 | |
| 중국 위안 | 2022년 | 191.57 | 2023년 | 184.22 | 2024년 | 189.2 | |
| 대만 달러(백달러당) | 2022년 | 4,334 | 2023년 | 4,192 | 2024년 | 4,248 | |
| 홍콩 달러(10달러당) | 2022년 | 1,694.4 | 2023년 | 1,667.5 | 2024년 | 1,748.1 | |
| 마카오 파타카(10파타카당)[7] | 2022년 | 1,649.8 | 2023년 | 1,618 | 2024년 | 1,696.2 | |
| 인도네시아 루피아(천루피아당) | 2022년 | 869 | 2023년 | 857 | 2024년 | 861 | |
| 태국 바트(10바트당) | 2022년 | 368.3 | 2023년 | 375.5 | 2024년 | 386.8 | |
| 싱가포르 달러[8] | 2022년 | 936.47 | 2023년 | 972.16 | 2024년 | 1020.35 | |
| 말레이시아 링깃 | 2022년 | 293.47 | 2023년 | 286.43 | 2024년 | 298.33 | |
| 필리핀 페소(10페소당) | 2022년 | 236.9 | 2023년 | 234.7 | 2024년 | 23.79 | |
| 베트남 동(100동)[9] | 2022년 | 5.51 | 2023년 | 5.48 | 2024년 | 5.44 | |
| 브루나이 달러[10] | 2022년 | 936.47 | 2023년 | 972.17 | 2024년 | 1030.35 | |
| 네팔 루피[11] | 2022년 | 10.46 | 2023년 | 9.88 | 2024년 | 10.39 | |
3.2.2. 오세아니아
| 통화명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
| 호주 달러 | 2022년 | 895.43 | 2023년 | 867.29 | 2024년 | 899.64 | |
| 뉴질랜드 달러 | 2022년 | 818.96 | 2023년 | 801.56 | 2024년 | 824.83 | |
| 피지 달러[12] | 2022년 | 604.8 | 2023년 | 583.88 | 2024년 | 604.87 | |
3.2.3. 아메리카
미국 달러는 위의 기간별 미국 달러화의 대원화 환율 통계 참고로| 통화명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연도 | 수치 | ||
| 캐나다 달러 | 2022년 | 991.82 | 2023년 | 967.38 | 2024년 | 995.49 | ||
| 멕시코 페소(10페소당) | 2022년 | 643 | 2023년 | 737 | 2024년 | 747.9 | ||
| 칠레 페소(천페소당)[13] | 2022년 | 1,490 | 2023년 | 1,560 | 2024년 | 1,450 | ||
3.2.4. 중동
쿠웨이트, 바레인, 오만 국가의 최소(지폐)단위가 0.1 ~ 0.25이기 때문이다.| 통화명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
| 쿠웨이트 디나르(0.1디나르당) | 2022년 | 421.549 | 2023년 | 424.697 | 2024년 | 444.44 | ||
| 바레인 디나르(0.1디나르당) | 2022년 | 342.659 | 2023년 | 346.326 | 2024년 | 361.83 | ||
| 오만 리얄(0.1리얄당) | 2022년 | 355.063 | 2023년 | 339.064 | 2024년 | 354.29 | ||
| 요르단 디나르 | 2022년 | 1,822.04 | 2023년 | 1,840.36 | 2024년 | 1,923.58 | ||
| 아랍토후국 디르함 | 2022년 | 351.74 | 2023년 | 355.42 | 2024년 | 371.36 | ||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 2022년 | 344.05 | 2023년 | 347.95 | 2024년 | 363.51 | ||
| 카타르 리얄 | 2022년 | 353.23 | 2023년 | 357.78 | 2024년 | 374.09 | ||
| 이스라엘 세켈 | 2022년 | 384.46 | 2023년 | 354.45 | 2024년 | 368.71 | ||
3.2.5. 아프리카
| 통화명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연도 | 수치 | |
| 남아공 랜드(10랜드당) | 2022년 | 789.6 | 2023년 | 708.3 | 2024년 | 744.6 | |
| 이집트 파운드[14] | 2022년 | 67.99 | 2023년 | 42.61 | 2024년 | 30.93 | |
| 케냐 실링(10실링당)[15] | 2022년 | 112.4 | 2023년 | 93.7 | 2024년 | 101.7 | |
3.2.6. 유럽
| 통화명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연도 | 평균치 | |
| 유럽 유로 | 2022년 | 1357.38 | 2023년 | 1,412.36 | 2024년 | 1,475.05 | |
| 영국 파운드[16] | 2022년 | 1592.33 | 2023년 | 1,624.19 | 2024년 | 1742.68 | |
| 스위스 프랑(10프랑당) | 2022년 | 13,520.5 | 2023년 | 14,541 | 2024년 | 15,490.6 | |
| 폴란드 즈워티(10즈워티당) | 2022년 | 2,898.5 | 2023년 | 3,114.5 | 2024년 | 3,425.7 | |
| 러시아 루블[17] | 2022년 | 19.32 | 2023년 | 15.46 | 2024년 | 14.74 | |
| 체코 코루나(100코루나당) | 2022년 | 5,528 | 2023년 | 5,887 | 2024년 | 5,873 | |
| 헝가리 포린트(100포린트당) | 2022년 | 348 | 2023년 | 370 | 2024년 | 373 | |
| 튀르키예 리라 | 2022년 | 78.96 | 2023년 | 56.56 | 2024년 | 44.44 | |
| 카자흐스탄 텡게(100텡게당)[18] | 2022년 | 280 | 2023년 | 286 | 2024년 | 291 | |
4. 관련 문서
[1] 원화가치가 오름. 환율(달러 가치))이 떨어짐[2] 환율이 오름[3] 즉, 환율이 내려가는 게 올라가는 것보다 더 나았다는 뜻이다. 환율이 인하되면 가치가 절상되고 환율이 인상되면 가치가 절하된다.[4] 그럼 일본은 뭐냐고 반박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일본은 지진피해 등의 특수한 상황으로 이미 미국은 물론 G7, G20에서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서 넘어갔다.[5] 참조[6] 참고로 2009년 최고 환율은 무려 1570.30원이었다.(2009년 3월 2일) #[7] 사실상 환전은 신한은행 본점, 특수, 공항점이나 명동/부산 서면 일부 사설환전소 또는 홍콩/마카오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사설환전소에서만 가능[8] 브루나이 달러와 매매기준율이 사실상 1:1이지만 가끔가다 최소 1전에서 최대 10원까지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9] 실제 환전할 때는 지폐는 1만동 이상이지만 국내 사설환전소이나 시중은행에서 100 ~ 5천동 지폐가 있다면 말만 잘하면 보유 한도 내에서 제한적 가능[10] 싱가포르 달러와 매매기준율이 사실상 1:1이지만 가끔가다 최소 1전에서 최대 10원까지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11] 사실상 환전은 신한은행 본점, 특수, 공항점이나 네팔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사설환전소에서만 가능[12] 우리은행 본점이나 공항지점에서 고객이 보유한 현금 매각만 가능[13] 환전하려면 하나은행 본지점으로 갈 것[14] 환전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본점, 공항점으로 갈 것[15] 사실상 환전은 신한은행 본점, 특수, 공항점이나 케냐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사설환전소에서만 가능[16] 잉글랜드 발행권만 한정[17] 지정된 시간에 제한적 환전만 가능[18] 환전하려면 국민은행 본점/공항지점, 명동/동대문의 일부 사설환전소에서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