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5px -1px -11px" | 1990~2007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농촌 드라마 | 2007~2014 산 너머 남촌에는 농촌 드라마 | 1980~2011 TV 문학관 옴니버스 | 1982~1985 주간 드라마 |
1987~1993 TV 손자병법 오피스 극 | 1990 5학년 3반 청개구리들 어린이 극 | 1983~1986 고교생 일기 청소년 극 | 1991~1992 맥랑시대 청소년 극 | |
2003~2007 반올림 청소년 극 | 2001~2002 203 특별수사대 시츄 드라마 | 1985 광장 특집 드라마 | 2015 오!할매 농촌 드라마 |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1990 ~ 2007) | ||
| ||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시청 등급 }}}]] | ||
장르 | 농촌 드라마 | |
프로듀서 | 하강일, 맹만재, 홍성룡, 안영동, 한철경 | |
극본 | 양근승 | |
연출 | 고성원, 엄기백, 박수동, 어수선, 이성주, 신현수, 이원익, 염현섭 | |
방송사 | KBS | |
제작사 | KBS 드라마본부 | |
출연진 | 제 1기 - 김상순, 백수련, 서승현, 김인문 外 제 2기 - 김무생, 남능미, 박인환, 박혜숙 外 제 3기 - 김성겸, 백일섭, 윤미라, 심양홍 外 | |
방송 시간 | - 1990년 9월 9일 ~ 1991년 5월 19일 일 오전 8:50~9:40 - 1991년 5월 26일 ~ 1992년 4월 5일 일 오전 9:00~9:50 - 1992년 4월 12일 ~ 1993년 4월 25일 일 오전 9:00~10:00 - 1993년 5월 2일 ~ 1994년 10월 9일 일 오전 10:00~11:00 - 1994년 10월 26일 ~ 1997년 5월 14일 수 저녁 7:35~8:30 - 1997년 5월 20일 ~ 1998년 2월 10일 화 저녁 7:35~8:30 - 1998년 2월 18일 ~ 1999년 11월 17일 수 저녁 7:35~8:30 - 1999년 11월 24일 ~ 2001년 10월 31일 수 저녁 7:35~8:25 - 2001년 11월 7일 ~ 2007년 10월 10일 수 저녁 7:30~8:25 - KTV 국민방송 재방송 / 2019.1.22~2020.3.16 저녁 22:50~23:35[3], 2021.3.15 ~ 2022.09.04 저녁 22:00~23:00[4] | |
방송 기간 | 1990년 9월 9일~2007년 10월 10일 (총 852부작) | |
링크 | Wavve |
1. 개요
오프닝 영상.[5]
MBC의 전원일기와 더불어 농촌 드라마의 양대 산맥이었던 드라마로, 1990년 9월 9일~2007년 10월 10일까지 방영되었다. 17년의 긴 역사를 자랑하는 드라마로, 전원일기 종영 이후 최고 장수 드라마로 손꼽혔다. 그 뒤 전원일기와 같이 소재고갈이라는 이유로 종영되다가, 산 너머 남촌에는이 그 뒤를 이었다.[6]
전원일기 출연진이 별로 바뀌지 않은 반면에,[7] 이 드라마의 출연진은 크게 2번 바뀌었다.[8] 촬영지도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9]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건평리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 일대로 바뀌었다.[10] 전원일기가 중간에 작가가 교체된 반면 이 드라마는 양근승 작가가 처음부터 끝까지 집필했다는 차이도 있다.
수사반장과 전원일기,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이 3개의 드라마를 비교해보면 뭔가 이상한 느낌이 드는데 마치 반장인 최불암 밑에서 형사를 하던 김상순이 분점을 낸 느낌이 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수사반장 주역 2인방이 각각 전원일기와 이 작품으로 주연을 꿰어찼다. 즉, 이 드라마는 전원일기에서 최불암 포지션에 김상순이 위치해 있다. 심지어 김상순은 전원일기에서 양촌리 이장으로 한동안 고정출연한 적도 있다.
이 드라마의 주제곡[11]도 농촌 풍경을 잘 표현하긴 했지만, 전원일기 주제곡이 워낙 유명한지라 별로 주목을 못 받고 있다.[12]
2019년 1월 22일부터 KTV 국민방송에서 방영되었다가, 2020년 3월 16일을 끝으로 1기 완결과 함께 종영되었다. 그러다가 2021년 3월 15일에 3기 방영을 시작해 2022년 9월 4일까지 방송되었으며 2024년 12월 9일부터 Wavve에서 1기 에피소드 1회부터 300회까지 다시보기 서비스를 시작했다.
2. 등장인물
크게 1기와 2기, 3기로 구분된다. 1기와 2기는 서로 연결되는데, 대철과 묘순 부부가 강화도로 이사오기 때문에 관련된다. 3기는 1기와 2기와 연결되지 않는다. 게다가 양근승 선생이 혼자서 이 긴 시간을 17년동안 쓰다보니 등장인물들이 햇갈릴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13][14]#!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등장인물#|]][[대추나무 사랑걸렸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여담
- 1기의 중심 인물 전원주가 마지막회에 특별출연했으며, 물론 1기와의 연관성은 없다.
- 1대 연출자였던 원로 PD 고성원은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연출 당시 작가로부터 100만원을 받는 등 총 480만원을 받은 혐의 때문에 1995년 2월 9일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된 바 있었다.
- 1990년대 초반 방영분은 야외촬영은 116회까지 필름으로 촬영하였고, 세트장 촬영은 VTR로 촬영하였다. 117회부터 야외촬영도 VTR로 촬영되었다.
- 초반에는 한지붕 세가족에 시청률로 맞불을 놓기 위해 KBS2에서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50분에 한지붕 세가족이 방영하는 시간과 같은 시간에 방영하였으나, 성과가 안 좋았는지 3년 지난 뒤, 1993년 5월에 KBS1로 채널이 변경되었다.
- 1994년 10월부터 1997년 5월의 수요일 방송기간을 제외하고 1997년 5월 20일부터 1998년 2월 10일까지만 화요일에 방송을 했는데 2월 개편에 따라 1998년 2월 18일에 수요일에 방송을 다시 했지만 종영할 때까지 KBS1에서 매주 수요일 저녁에 방영했다.
- 전원일기와 달리 극본은 양근승 한 사람이 고정집필했다.[15]
- 1990년대의 김포시 모습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영상 자료가 됐다. 주로 고촌읍에서 야외 촬영이 이뤄져서 아쉽지만, 김포시가 개발되기 이전 모습을 어느 정도 담고 있어 지금과 다른 김포시의 모습을 담은 얼마 안 되는 자료다.
- 1기 방송분은 KTV 국민방송과 Wavve에서 볼 수 있다. 3기는 공식 홈페이지나 KBS 드라마 유튜브에서 볼 수 있으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저화질로만 서비스 되었다가 2018년 개편으로 사라졌고 KBS 드라마 유튜브에서는 한국에서는 해당 유튜브 채널 시청이 불가능하고 VPN 우회 등을 이용해야만 한다. 2기 방송분은 홈페이지나 유튜브에서는 볼 수 없는데, KBS 미디어를 통해 테이프 주문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Wavve에서 업로드되고 있어 1,2,3기를 모두 볼 수 있다.
- 초창기부터 아날로그 4:3으로 방영되었으나 2000년도 초중반쯤에 HD 16:9로 방영되었다.
"대추나무 사람걸렸네"라고 읽거나 쓰면 훌륭한 고어물이 된다. 이 드라마가 방영되던 인터넷 초창기[16]에는 이런 식의 패러디가 많았다. 심지어 나무위키 로고 공모전 때도 이걸 패러디한 '나무위키 니트걸렸네'가 있었다.
4. 방영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방영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방영 목록#|]][[대추나무 사랑걸렸네/방영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KBS 본방 때인 2001년 1월부터 마지막회까지의 시청등급[2] 2020년 KTV 방영 기준.[3] 1기만 방영하였다.[4] 3기 방영기간이다.[5] 보통의 오프닝 영상이 출연 배우 모습이 나오면서 이름 자막을 띄우는 것과 달리, 이 드라마는 드라마 장면(황놀부 부부가 쓰레기를 태우는 장면, 박달재 부부가 신곡리로 등장하는 장면 등이 있다.)을 보여주면서 오프닝 영상이 진행된다. 3기의 경우 해당 방송분의 주요 내용이 오프닝 영상에 나오며, 마지막에 게스트 출연자가 소개된다.[6] 반면에 전원일기는 후속이 없었다.[7] 메인은 안 바뀌었으나, 자잘하게는 많이 바뀌었다.[8] 이런 경우는 수사반장과 형사 25시의 차이점과 유사하다.[9] 당시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김포시로의 승격은 1998년, 고촌읍으로의 승격은 2009년에 시행되었다.[10] 전원일기는 촬영지의 실제 지명이 아닌 양촌리라는 가상 지명을 사용하나, 이 드라마는 실제 지명이 등장한다. 김포군 신곡리, 진천군 호암 중리 등이 있다.[11] 우리가 알고있는 이 곡은 1기 중반부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12] 이게 생각보다 흔한 게, 2020년 KBS에서 방송한 추석특집 'TV 라떼는'에서 이 드라마가 소개되었는데 MC인 박지원이 아는 거 나왔다며 전원일기 음악을 불렀다가 옆에서 듣던 MC 서경석에게 망신을 당했다.[13] 박경리의토지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박경리 작가도 오랜기간 토지를 쓰다보니 김씨가 박씨로 나오던가 하는 오류가 있었다.[14] MBC에서 방영했던 전원일기는 차범석을 중심으로 여러 작가가 동원 된 반면, 이 작품은 그런 것이 없이 양근승 작가 혼자서 모두 집필하였다. 양근승 작가는 이 작품을 위해 실제로 농촌에 거주하였다고 한다.[15] 2020년 6월 25일에 폐암으로 사망했다.[16] 대략 2000년대 초중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