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e82ee> | V-리그 여자부 구단별 2024-25 시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color: #ee82e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2024-25 시즌 |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24-25 시즌 | |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2024-25 시즌 | |
| GS칼텍스 서울 KIXX/2024-25 시즌 | |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2024-25 시즌 | |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2024-25 시즌 | |
|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2024-25 시즌 | |
남자부 2024-25 시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0029><tablewidth=100%> ◀ 2023-24 시즌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 시즌 | 2025-26 시즌 ▶ | }}} | |||||||
| |||||||||||
THE RED FORCE | |||||||||||
<rowcolor=#fff> 순위 | 경기 | 승 | 패 | 승점 | 승률 | 세트 득실률 | 점수 득실률 | ||||
2 / 7 | 36 | 23 | 13 | 64 | 0.639 | 1.323 | 1.023 |
1. 개요2. 오프시즌
2.1. FA2.2. 아시아쿼터 트라이아웃2.3.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2.4. 선수 IN & OUT2.5. 트레이드2.6. 코치진 IN & OUT2.7. 국가대표 차출2.8. 신인 드래프트2.9. 인도네시아 올스타 친선경기2.10. 2024 상하이 배구 미래 스타 챔피언십2.11. 타이중 은행 2024 Formosa 여자클럽 초청 토너먼트
3. 2024 KOVO컵4. 2024-25시즌 선수단5. 유니폼6. 정규 시즌7. 포스트시즌8. 상대 전적9. 총평1. 개요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의 2024-25 시즌을 정리한 문서.2. 오프시즌
2.1. FA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FA 대상자 | |||||
<rowcolor=#fff> 대상 선수 | 포지션 | 등급 | 계약 | 금액 | 보상선수 |
노란 | 리베로 | A | 재계약 | 1억 8000만원 | - |
박은진 | 미들 블로커 | A | 재계약 | 3억 5000만원 | - |
박혜민 | 아웃사이드 히터 | A | 재계약 | 2억 1000만원 | - |
이소영 | 아웃사이드 히터 | A | IBK기업은행 | 3년 21억 | 표승주 |
7년 만에 봄배구를 맞이했지만, 시즌이 끝나고 맞이한 건 FA의 칼바람이었다. 이소영, 박은진, 박혜민, 노란이 죄다 FA 시장에 나가게 된 것. 그리고 1주일도 안되어 주장 이소영이 IBK기업은행 이적을 선택하며 팀을 떠나게 되었다.
다행히 나머지 선수들과는 재계약에 성공했으며 이소영의 보상선수로 지난 시즌 IBK기업은행 국내 1옵션인 표승주를 지명하는 행운으로 큰 전력 유출은 없을 예정이다.
2.2. 아시아쿼터 트라이아웃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아시아쿼터 트라이아웃 | ||||
<rowcolor=#fff> 순위 | 지명 선수 | 국적 | 포지션 | 비고 |
6순위 | 메가왓티 퍼티위 |
| 아포짓 스파이커 | 재계약 |
이변이 없다면 메가와 재계약이 유력한 상황이고 4월 30일 재계약이 확정되었다.
2.3.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 | |||
<rowcolor=#fff> 순위 | 지명 선수 | 국적 | 포지션 |
2순위 | 반야 부키리치 |
| 아포짓 스파이커 |
지아가 미국 팀과 계약하며 트라이아웃에 불참하여 새로운 외국인 선수를 지명해야 한다. 구슬이 정배 순번보다 빠르게 나오자 고민끝에 2순위로 23-24시즌 도로공사에서 뛰었던 반야 부키리치를 지명했다.
2.4. 선수 IN & OUT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선수 IN & OUT | ||||
<rowcolor=#fff> 구분 | 대상 선수 | 포지션 | 이전 구단 | 비고 |
IN | 표승주 | 아웃사이드 히터 | IBK기업은행 | FA 보상 이적 |
신은지 | 아포짓 스파이커 | 한국도로공사 | 트레이드 | |
이예담 | 미들 블로커 | 트레이드 | ||
<rowcolor=#fff> 구분 | 대상 선수 | 포지션 | 이적 구단 | 비고 |
OUT | 이소영 | 아웃사이드 히터 | IBK기업은행 | FA 계약 |
한송이 | 미들 블로커 | - | 현역 은퇴 | |
하효림 | 세터 | 한국도로공사 | 임의해지 해제 후 트레이드 | |
김세인 | 아웃사이드 히터 | 트레이드 | ||
이예솔 | 아포짓 스파이커 | 대구시청 | 자유 신분 선수 | |
서유경 | 리베로 | 양산시청 | ||
강다연 | 아웃사이드 히터 | - | 임의 해지 |
한송이 선수가 23년간의 선수생활을 마무리 짓고 은퇴하였다.
2.5. 트레이드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오프시즌 트레이드 | ||||
<rowcolor=#fff> 팀명 | 선수명 | ↔ | 선수명 | 팀명 |
2024년 6월 3일 | ||||
정관장 | 하효림 김세인 2024-25시즌 2라운드 지명권 | ↔ | 이예담 신은지 | 한국도로공사 |
2.6. 코치진 IN & OUT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코치진 IN & OUT | ||||
<rowcolor=#fff> 구분 | 코치진 | 보직 | 전 소속 구단 | 비고 |
IN | 공태현 | 코치 | GS칼텍스 서울 KIXX | |
<rowcolor=#fff> 구분 | 코치진 | 보직 | 이적 구단 | 비고 |
OUT | 이숙자 | 수석코치 | 계약 만료 |
이숙자 수석코치가 계약이 만료된 이후 KBS N SPORTS 해설위원으로 복귀하였다.
2.7. 국가대표 차출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국가대표 차출 선수 | ||||
<rowcolor=#fff> 등번호 | 선수명 | 포지션 | 출전 대회 | 비고 |
17 | 정호영 | 미들 블로커 | 2024 VNL | |
19 | 표승주 | 아웃사이드 히터 |
2.8. 신인 드래프트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신인 드래프트 | ||||
<rowcolor=#fff> 순위 | 지명 선수 | 학교 | 포지션 | 신장 |
1라운드 7순위 | 전다빈 | 중앙여고 | 아웃사이드 히터 | 175.3cm |
수련선수 | 손혜진 | 부개여고 | 세터 | 171.1cm |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에서는 순번보다 구슬이 빠르게 나왔지만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구슬이 쭉 밀리며 가장 마지막 순번으로 신인 픽을 행사하게 되었다.
2.9. 인도네시아 올스타 친선경기
2024년 3월 12일 시즌이 거의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인도네시아 청소년체육부의 초청을 받게 되었다.# 4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4박 5일의 일정으로 정관장 선수단 전체가 인도네시아를 방문하며, 국내 선수들은 물론 메가와 지아도 합류할 예정이다.[1] 사유는 역시나 인도네시아에 불어온 메가 열풍. 초청 기간 중에는 기자회견, 공식만찬, 팬미팅 등이 진행되며 4월 20일 인도네시아 아레나에서 인도네시아 올스타와 친선 경기가 열릴 예정이다. 경기장이 16000석으로 적은편이 아님에도 전석이 매진되었다. 2024 LPDUK 초청 인도네시아 올스타 친선경기 2024년 4월 20일 20:30 | 인도네시아 아레나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인도네시아 올스타 | 17 | 15 | 25 | 25 | 12 | 2 |
정관장 | 25 | 25 | 19 | 18 | 15 | 3 |
본 경기에서는 인도네시아 올스타로 온 선수가 단 11명으로 적었던 관계로 메가를 비롯한 정관장 몇몇 선수들이 인도네시아 올스타로 넘어가서 경기를 펼치기도 했다. 특히 1, 2세트 이후 정관장이 압살하고 3세트에 염혜선이 인도네시아 올스타 쪽으로 넘어가니 경기가 확 인도네시아 올스타쪽으로 넘어간 건 덤.(...) 한편 인도네시아 리그에 참가하게 되어 먼저 인도네시아로 넘어간 지아는 현지에서 장염에 걸려 입원해 있다가 경기에 참여했다. 다만 경기는 뛰지 않았다.
2.10. 2024 상하이 배구 미래 스타 챔피언십
7월 22~27일에 복단대학 정대체육관(正大體育館)에서 열린 2024 상하이 배구 미래 스타 챔피언십(上海明日之星排球爭霸賽, Shanhai Volleyball Future Stars Championship)에 참가하기 위해 18일에 출국했다. 7월 22~24일에 B조에서 상해시 청소년 배구팀(Shanghai Youth Team), 베트남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캐나다 유스팀(Canadian Elite U21)을 상대했다.조별 리그에서 중국 상하이 유스팀(3:1 승), 캐나다 유스팀(2:3 패), 베트남(3:1 승)을 상대하여 2승 1패로 B조 1위를 차지했다. 하루 휴식 후 A조 2위였던 브라질 팀을 3:1로 이겨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중국의 U-17 팀을 3:0으로 이겼다. 정관장 팀은 이 대회에서 신인 및 비주전에게 실전 경험을 선물한 데다 우승을 기록하여 기분 좋게 귀국했다.
더 스파이크 9월호 70~73쪽은 이 대회의 후기를 수록했다(김희수 기자): 신구조화로 오른 정상! 정관장의 2024 상하이 발리볼퓨처스타즈 챔피언십 도전기
- 특별 초청 팀 정관장, 미래 자원들과 함께 멋진 미래 그렸다.
- 박혜민과 최효서의 긍정적인 후기 "강하고 높은 팀 상대하는 경험 소중했어요."
- 코트 밖에서도 배움은 계속됐다! 곽선옥-염혜선이 느끼고 배운 것들
2.11. 타이중 은행 2024 Formosa 여자클럽 초청 토너먼트
9월 9~12일에 대만에서 열리는 타이중 은행 2024 포모사 여자클럽 초청 토너먼트(2024 台中銀行福爾摩沙女排俱樂部邀請賽)에 출전했다.2024 Taichung Bank Formosa Women's Volleyball Club Invitational Tournament
Taipei City University Gymnasium(台北市立大學體育館, 타이베이 시립대학 체육관)
대만의 King Whale Taipei(臺北鯨華女子排球隊) 및 New Taipei City CMFC(新北中纖女排), 일본의 Kanoa Laulea's Fukuoka(カノアラウレアーズ 福岡), 한국의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正官庄紅火花), 필리핀의 대학 팀 De La Salle Lady Spikers(DLSU Women's Volleyball), 홍콩의 Victory Club(青嵐排球會)이 출전한다. 정관장 팀은 A조에서 10일에 King Whale Taipei를 3-0으로, 11일에 필리핀 팀을 3-1로 이겼다. A조의 1위 자격으로 12일에 B조의 1위 팀 Kanoa Laulea's Fukuoka를 상대하여 3-1로 승리했다. 그리고 우승했다.
3. 2024 KOVO컵
3.1. 조별 예선
3.1.1. 9월 30일 @ IBK기업은행 2-3 승
2024 통영·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 여자부 B조 2경기 2024년 9월 30일 19:00 | 통영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IBK기업은행 | 20 | 25 | 23 | 25 | 11 | 2 | |
정관장 | 25 | 18 | 25 | 23 | 15 | 3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ddd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선발 라인업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
김채원 L | 빅토리아 OP | 최정민 MB | 표승주 OH | 염혜선 S | 노 란 L |
이소영 OH | 육서영 OH | 정호영 MB | 박은진 MB | ||
이주아 MB | 천신통 S | 메 가 OP | 부키리치 OH |
- 프리뷰
- 리뷰
3.1.2. 10월 2일 VS 흥국생명 3-2 승
2024 통영·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 여자부 B조 4경기 2024년 10월 2일 19:00 | 통영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정관장 | 25 | 20 | 23 | 25 | 15 | 3 | |
흥국생명 | 17 | 25 | 25 | 20 | 11 | 2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ddd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노 란 L | 메 가 OP | 정호영 MB | 루이레이 MB | 정윤주 OH | 신연경 L |
부키리치 OH | 표승주 OH | 이고은 S | 투트쿠 OP | ||
박은진 MB | 염혜선 S | 김연경 OH | 김수지 MB |
- 프리뷰
- 리뷰
3.1.3. 10월 4일 VS 아란마레 1-3 패
2024 통영·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 여자부 B조 5경기 2024년 10월 4일 15:30 | 통영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정관장 | 18 | 25 | 21 | 22 | - | 1 | |
아란마레 | 25 | 23 | 25 | 25 | - | 3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ddd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최효서 L | 박혜민 OH | 신은지 OP | 돈 폰 OH | 메루모 S | 쿠 도 L 쿠사지마 |
이예담 MB | 이지수 MB | 나나미 MB | 이 토 MB | ||
김채나 S | 이선우 OH | 빗센코 OP | 키무라 OH |
- 프리뷰
- 리뷰
3.2. 준결승 @ GS칼텍스 2-3 승
2024 통영·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 여자부 준결승 1경기 2024년 10월 5일 13:30 | 통영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GS칼텍스 | 25 | 20 | 25 | 17 | 10 | 2 | |
정관장 | 23 | 25 | 23 | 25 | 15 | 3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c1d1f,#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선발 라인업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
한수진 L | 와일러 OH | 실 바 OP | 표승주 OH | 염혜선 S | 노 란 L |
최가은 MB | 오세연 MB | 정호영 MB | 박은진 MB | ||
김지원 S | 권민지 OH | 메 가 OP | 부키리치 OH |
- 프리뷰
- 리뷰
3.3. 결승 VS 현대건설 1-3 패
2024 통영·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 여자부 결승 2024년 10월 6일 13:30 | 통영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정관장 | 25 | 15 | 14 | 18 | - | 1 | |
현대건설 | 23 | 25 | 25 | 25 | - | 3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c1d1f,#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노 란 L | 부키리치 OH | 메 가 OP | 위파위 OH | 김다인 S | 김연견 L |
박은진 MB | 정호영 MB | 양효진 MB | 이다현 MB | ||
염혜선 S | 표승주 OH | 모 마 OP | 정지윤 OH |
- 프리뷰
예선 및 준결승에서 압도적인 높이와 강한 공격력을 바탕으로 상대한 모든 팀을 깨부수고 올라왔기 때문에 주전 멤버의 변화가 거의 없는 현대건설을 상대로 승리를 따올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그러나... - 리뷰
현대건설의 목적타 작전에 제대로 말려 리시브부터 미친듯이 말아먹고 바닥을 찍은 탓에 높이의 우위는 단 한번도 못 살려보고 경기가 그대로 터졌다. 무려 아포짓이었던 부키리치를 아예 OH로 포지션 변환시키고 메가왓티와 코트 내에서 공존시키며 '리시브는 조금 포기하더라도 일단 공을 코트 위에 띄워놓고 강한 공격력으로 해결하자'는 게 이번 시즌 정관장의 주된 작전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현대건설을 만나며 이 전략의 밑천이 제대로 드러나 버렸다.[2] 리시브가 코트 위로 올라오기는 커녕 어떤 위치에서든 아주 개박살이 나는 통에 오픈도 제대로 못 올리고 현대건설 코트로 공을 넘기기 바빴던 것이다. 멸망한 리시브 덕분에 세터 염혜선은 코트 내에서 이리저리 바쁘게 뛰며 배드리시브 커버를 시도하다 아주 제대로 퍼져버렸고, 부키와 메가에게 올라가는 다른 선수들의 이단 연결도 아주 형편없는 퀄리티를 자랑한 탓에 현대건설 선수들에게 블로킹 점수와 찬스볼을 헌납했다. 특히 리시브가 위로 붕 떴거나 상대의 강공을 디그한 이후 연결하는 선수들의 움직임은 마가 낀 듯 우당탕탕의 연속이라 온갖 창의적인 범실이란 범실은 다 나왔다. 무려 27개의 범실을 기록했으니 아예 현대건설에게 범실로만 한 세트를 통째로 갖다 바친 셈. 부키리치는 리시브효율 12.5%에 공격성공률이 27.8%로 말도 안 되게 경기력이 수직하락했고, 메가는 19득점에 공격성공률이 40%가 안 됐으며 상대팀 정지윤에게 많은 블로킹 점수를 헌납했다. 게다가 노란은 주전 리베로임에도 불구하고 무려 27.8%라는 한심한 리시브 성공률과, 산업 스파이 수준의 디그와 이단연결을 시전하며 경기 내내 정관장 팬들의 눈을 썩게 했다. 급하게 불을 끄러 교체로 들어온 이선우 역시 16.7%라는 믿기 힘든 리시브 효율을 기록하며 소방수 역할을 하긴 커녕 불을 더 키웠고, 표승주가 간신히 30.8%의 리시브 효율을 기록하긴 했으나 공격성공률과 득점력이 바닥을 기며 팀에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았다. 멘탈이 나간 건 감독과 코치진도 마찬가지였는지 주전 리베로의 경기력이 대놓고 삽을 들고 사경을 헤매는데도 선수교체 한번 안 하고 경기를 그대로 진행했다. 이쯤 되면 대체 비시즌에 어떤 훈련을 한 건지 의심스러운 수준이다.
리시브 효율이 이러니 미들블로커인 정호영과 박은진의 공격은 경기 내내 아예 삭제된 옵션이나 다름이 없었다. 현대건설의 블로커들이 경기 내내 중앙은 쳐다도 안 봤으니 말 다했다. 그나마 정호영이 블로킹 3개, 박은진이 블로킹 1개를 잡긴 잡았는데, 공격득점은 각각 2점, 1점이 끝. 경기를 4세트나 진행했는데도 이 정도면 대참사다. 정호영+박은진 조합이면 리그 내에서도 최상위권의 높이인데도 둘의 득점을 합해봐야 꼴랑 7점밖에 안 나왔다는 것은 심각한 수준이다.[3] 부키리치와 메가, 표승주의 공격성공률이 바닥을 기는 상황이라 중앙에서라도 어느 정도 커버를 쳐줬어야 하는데 그 대단한 높이를 가지고도 위파위와 정지윤과 모마에게 블로킹 하이패스를 선사했으니 이것 또한 나름대로 대단하다면 대단한 부분이다.
요약하자면 서브, 리시브, 공격, 블로킹, 수비, 이단연결 뭐 하나 제대로 된 게 단 하나도 없었다. 대체 어떻게 김연경의 흥국생명을 꺾은 건지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다. 비시즌에 훈련을 하긴 한 건지 조직력은 여전히 돌아올 길이 요원해 보이고, 지난 시즌 경기당 20득점은 가볍게 찍던 부키리치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다. 리시브와 후위 수비에 가담하느라 부키리치의 득점력과 공격성공률이 세트를 거듭할수록 내려가고 있는데, 노란과 표승주도 상태가 영 좋지 않은건 마찬가지라 부키리치를 도와주지도 못 하고 있다. 선수단 구성도 엉망진창이라 부키리치와 표승주, 노란의 후위 교체를 위한 멤버도 없는 상황. 도로공사가 정줄놓고 버린 부키리치를 냉큼 잡아온 것 까지는 좋았는데, 문제는 그 외의 것들을 보강할 계획도, 가능성도 전무하다는 것이다. 사실상 다가올 모든 경기를 삼각편대 세 명의 주사위 6 상황에 의존하겠다는 거나 다름이 없다. 그나마 부키리치와 메가, 표승주의 공격력이 리그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강해서 중-하위권 팀들은 어떻게 상대가 될 지 모르지만 이대로라면 흥국생명과 현대건설을 상대로는 얄짤 없이 승점자판기 신세 확정이다.
4. 2024-25시즌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5-26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ddd | <colbgcolor=#d70029><colcolor=#fff> 감독 | 고희진 |
코치 | 이강주 · 김정환 · 공태현 | |
스태프 | 송찬욱 · 허은서 · 정소희 · 박창배 · 노혜진 · 최민지 · 이소정 | |
아웃사이드 히터 | 4 전다빈 · 10 박혜민 · 11 곽선옥 · 15 이선우 · # 위파위 | |
아포짓 스파이커 | 16 신은지 | |
미들 블로커 | 6 박은진 · 12 이예담 · 17 정호영 · 18 이지수 | |
세터 | 2 안예림 · 3 염혜선 '''[[주장| C ]] · 7 손혜진 · 14''' 김채나 | |
리베로 | 5 노란 · 13 정수지 · 20 최효서 | |
타 V-리그 여자부 구단 명단 |
2024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선수 등록 현황 | ||||||||
<rowcolor=#fff> 번호 | 선수명 | 포지션 | 생년월일 | 신체 | 연봉 | 비고 | ||
<colcolor=#d70029> 2 | 안예림 | 세터 | 2001.09.21 | 183cm, 72kg | 70,000,000원 | |||
3 | 염혜선 | 세터 | 1991.02.03 | 177cm, 64kg | 410,000,000원 | |||
4 | 전다빈 | 아웃사이드 히터 | 2006.07.08 | 175.3cm, 72.5kg | 40,000,000원 | 신인 선수 | ||
5 | 노란 | 리베로 | 1994.03.17 | 167cm, 58kg | 180,000,000원 | FA 계약 | ||
6 | 박은진 | 미들 블로커 | 1999.12.15 | 187cm, 75kg | 350,000,000원 | FA 계약 | ||
7 | 손혜진 | 세터 | 2006.04.19 | 171.1cm, 64.1kg | 40,000,000원 | 신인 선수 | ||
8 | 메가 | 아포짓 스파이커 | 1999.09.20 | 185cm, 65kg | $120,000 | 외국인 선수 | ||
10 | 박혜민 | 아웃사이드 히터 | 2000.11.08 | 181cm, 65kg | 210,000,000원 | FA 계약 | ||
11 | 곽선옥 | 아웃사이드 히터 | 2005.01.01 | 178.3cm, 66.2kg | 56,000,000원 | |||
12 | 이예담 | 미들 블로커 | 2003.08.20 | 185cm, 74kg | 62,000,000원 | 트레이드 | ||
13 | 정수지 | 리베로 | 2005.01.31 | 166.5cm, 59kg | 33,000,000원 | |||
14 | 김채나 | 세터 | 1996.05.04 | 173cm, 59kg | 80,000,000원 | |||
15 | 이선우 | 아웃사이드 히터 | 2002.07.12 | 184cm, 69kg | 110,000,000원 | |||
16 | 신은지 | 아포짓 스파이커 | 2005.06.29 | 176cm, 73kg | 48,000,000원 | 트레이드 | ||
17 | 정호영 | 미들 블로커 | 2001.08.23 | 190cm, 68kg | 210,000,000원 | |||
18 | 이지수 | 미들 블로커 | 2003.06.18 | 183cm, 68.9kg | 62,000,000원 | |||
19 | 표승주 | 아웃사이드 히터 | 1992.08.07 | 182cm, 78kg | 300,000,000원 | 보상선수 영입 | ||
20 | 최효서 | 리베로 | 2004.05.20 | 170.5cm, 62.8kg | 55,000,000원 | |||
33 | 부키리치 | 아포짓 스파이커 | 1999.06.13 | 198cm, 89kg | $300,000 | 외국인 선수 |
5. 유니폼
지난 시즌과 동일하다.홈 : 검정색
어웨이 : 하얀색
리베로 : 붉은색
6. 정규 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시즌 진행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5라운드 | 6라운드 |
6.1. 1라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 시즌 1라운드 |
<rowcolor=#fff> 경기 시간 | 경기장 | HOME | 결과 | AWAY | 방송사 | |
10월 20일 16: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0 | GS칼텍스 | |
10월 25일 19:00 | 페퍼스타디움 | 페퍼저축은행 | 2 | 3 | 정관장 | |
10월 30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2 | 3 | IBK기업은행 | |
11월 3일 16:00 | 김천실내체육관 | 한국도로공사 | 0 | 3 | 정관장 | |
11월 8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1 | 3 | 현대건설 | |
11월 12일 19:00 | 삼산월드체육관 | 흥국생명 | 3 | 2 | 정관장 | |
참고하십시오. |
6.2. 2라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 시즌 2라운드 |
<rowcolor=#fff> 경기 시간 | 경기장 | HOME | 결과 | AWAY | 방송사 | |
11월 16일 16:00 | 수원실내체육관 | 현대건설 | 3 | 1 | 정관장 | |
11월 20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0 | 3 | 흥국생명 | |
11월 23일 16:00 | 장충체육관 | GS칼텍스 | 2 | 3 | 정관장 | |
11월 27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1 | 3 | 페퍼저축은행 | |
11월 30일 16:00 | 화성실내체육관 | IBK기업은행 | 0 | 3 | 정관장 | |
12월 4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0 | 한국도로공사 | |
참고하십시오. |
6.3. 3라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 시즌 3라운드 |
<rowcolor=#fff> 경기 시간 | 경기장 | HOME | 결과 | AWAY | 방송사 | |
12월 7일 16:00 | 김천실내체육관 | 한국도로공사 | 1 | 3 | 정관장 | |
12월 12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2 | 현대건설 | |
12월 17일 19:00 | 삼산월드체육관 | 흥국생명 | 1 | 3 | 정관장 | |
12월 21일 16: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1 | GS칼텍스 | |
12월 26일 19:00 | 페퍼스타디움 | 페퍼저축은행 | 2 | 3 | 정관장 | |
12월 31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0 | IBK기업은행 | |
참고하십시오. |
6.4. 4라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 시즌 4라운드 |
<rowcolor=#fff> 경기 시간 | 경기장 | HOME | 결과 | AWAY | 방송사 | |
1월 10일 19:00 | 장충체육관 | GS칼텍스 | 2 | 3 | 정관장 | |
1월 14일 19:00 | 화성실내체육관 | IBK기업은행 | 2 | 3 | 정관장 | |
1월 18일 16: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0 | 한국도로공사 | |
1월 22일 19:00 | 수원실내체육관 | 현대건설 | 2 | 3 | 정관장 | |
1월 26일 16: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1 | 페퍼저축은행 | |
1월 30일 13:55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2 | 3 | 흥국생명 | |
참고하십시오. |
6.5. 5라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 시즌 5라운드 |
<rowcolor=#fff> 경기 시간 | 경기장 | HOME | 결과 | AWAY | 방송사 | |
2월 2일 16:00 | 삼산월드체육관 | 흥국생명 | 3 | 1 | 정관장 | |
2월 7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1 | 현대건설 | |
2월 12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0 | IBK기업은행 | |
2월 15일 16:00 | 김천실내체육관 | 한국도로공사 | 2 | 3 | 정관장 | |
2월 19일 19:00 | 페퍼스타디움 | 페퍼저축은행 | 3 | 0 | 정관장 | |
2월 22일 16: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0 | GS칼텍스 | |
참고하십시오. |
6.6. 6라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 시즌 6라운드 |
<rowcolor=#fff> 경기 시간 | 경기장 | HOME | 결과 | AWAY | 방송사 | |
2월 26일 19:00 | 장충체육관 | GS칼텍스 | 3 | 1 | 정관장 | |
3월 1일 14: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2 | 흥국생명 | |
3월 5일 19:00 | 화성실내체육관 | IBK기업은행 | 3 | 0 | 정관장 | |
3월 9일 16:00 | 수원실내체육관 | 현대건설 | 3 | 0 | 정관장 | |
3월 14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3 | 0 | 페퍼저축은행 | |
3월 19일 19:00 | 충무체육관 | 정관장 | 2 | 3 | 한국도로공사 | |
참고하십시오. |
7. 포스트시즌
7.1. 플레이오프 VS 현대건설
7.1.1. 1차전 0-3 승
2024-25 도드람 V-리그 여자부 플레이오프 1차전 2025년 3월 25일 19:00 | 수원실내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현대건설 | 24 | 23 | 19 | - | - | 0 | |
정관장 | 26 | 25 | 25 | - | - | 3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김연견 ''' L ''' | 이다현 ''' MB ''' | 정지윤 ''' OH ''' | 정호영 ''' MB ''' | 부키리치 ''' OH ''' | 노 란 ''' L ''' |
김다인 ''' S ''' | 모 마 ''' OP ''' | 메 가 ''' OP ''' | 염혜선 ''' S ''' | ||
고예림 ''' OH ''' | 양효진 ''' MB ''' | 표승주 ''' OH ''' | 박은진 ''' MB ''' |
- 리뷰
현대건설 | 결과 | <rowcolor=#fff> 정관장 |
66 | 최종 스코어 | 76 |
46 | 공격 득점 | 41 |
5 | 블로킹 득점 | 9 |
2 | 서브 득점 | 6 |
20 | 범실 | 13 |
45.54% | 공격 성공률 | 40.2% |
16.9% | 리시브 효율 | 22.22% |
모마 23득점 47.92% | 최다 득점자 | 메가 24득점 41.67% |
현대건설을 세트스코어 3-0(26-24, 25-23, 25-19)으로 꺾고 챔피언결정전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 역대 여자부 플레이오프에서 1차전 승리팀의 챔프전 진출 확률은 100%다.
부상으로 이탈했던 부키리치와 박은진이 복귀하며 정관장은 완전체 전력으로 나섰고, 메가가 24득점(공격성공률 41.67%)으로 에이스 역할을 완수했다. 반면 현대건설은 모마가 23득점으로 분전했지만 범실과 집중력 부족으로 무릎을 꿇었다.
1세트: 접전 끝 집중력 싸움 승리 (26-24)
초반은 팽팽한 흐름. 정관장은 메가의 후위공격, 염혜선의 서브 에이스, 부키리치의 퀵오픈 등으로 13-8까지 앞서며 분위기를 끌어왔다. 현대건설이 고민지의 서브 에이스와 정지윤의 블로킹, 모마의 연속 득점으로 따라붙으며 23-22 역전에 성공했지만 정관장은 메가의 서브 에이스로 24-23을 만들고, 듀스 상황(24-24)에서 표승주의 퀵오픈, 부키리치의 오픈 공격이 연이어 성공하면서 1세트를 가져갔다.
2세트: 흐름 뒤집은 비디오 판독 & 메가-정호영 결정력 (25-23)
초반부터 박빙을 이어갔다. 정관장은 비디오 판독으로 고예림의 네트터치와 김다인의 센터라인 침범을 잡아내며 10-6까지 리드했다. 이후 현대건설이 이다현의 블로킹과 모마의 오픈 득점으로 14-12 역전을 만들어내고 모마의 후위공격과 정지윤의 블로킹으로 20-19까지 앞섰다.
그러나 정관장은 염혜선의 서브 에이스(비디오 판독 확인)와 모마의 범실로 22-20 재역전, 이후 23-23 동점 상황에서 메가의 오픈 공격과 모마의 공격 범실이 이어지며 2세트까지 가져가며 1차전 승부의 추를 기울였다.
3세트: 초반부터 앞서며 완승 마무리 (25-19)
시작부터 메가의 퀵오픈, 표승주의 오픈 공격, 박은진의 블로킹으로 6-2 리드를 만들며 흐름을 주도했다. 중반에는 현대건설 고예림의 연속 득점과 김다인의 서브 에이스로 11-13까지 따라왔으나, 양효진과 모마의 연속 범실로 다시 점수 차가 벌어졌다. 후반 표승주의 연타 오픈, 부키리치의 오픈, 박혜민의 서브 에이스, 정호영의 블로킹으로 24-18 매치포인트를 잡았고, 마지막은 메가의 퀵오픈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경기 총평
메가와 부키리치의 쌍포 복귀로 공격력에 안정감을 되찾았고, 블로킹 수(정관장 9개 vs 현대건설 5개)에서도 앞서며 완승을 거뒀다. 위기마다 판독을 적극 활용해 흐름을 가져오고, 염혜선의 영리한 경기 운영과 표승주의 침착한 결정력이 더해졌다. 적재적소에 오픈공격으로 7득점을 만들어낸 표승주까지 정관장의 공격 삼각편대가 완벽한 호흡으로 승리를 이끌어내며 정관장 공격력의 고점을 제대로 보여준 경기라고 할 수 있었다. 다만 경기 도중 무릎 통증을 호소하며 어려움을 겪었던 염혜선의 몸 상태는 경기 후 팡팡플레이어 인터뷰 때 말한대로 '분명 아프긴 하지만 뛰어야 하기 때문에 뛰었다' 이기 때문에 다음 경기 이전까지 회복과 관리가 필요한 상황.
3월 27일(수) 대전 홈경기 2차전에서 승리 시 챔프전 진출이 확정된다.[4]현대건설은 홈 경기 이점 없이[5] 허무하게 셧아웃패를 당하며 벼랑 끝에 몰린 상황.
7.1.2. 2차전 0-3 패
2024-25 도드람 V-리그 여자부 플레이오프 2차전 2025년 3월 27일 19:00 | 충무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정관장 | 20 | 17 | 22 | - | - | 0 | |
현대건설 | 25 | 25 | 25 | - | - | 3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노 란 ''' L ''' | 박은진 ''' MB ''' | 표승주 ''' OH ''' | 양효진 ''' MB ''' | 고예림 ''' OH ''' | 김연견 ''' L ''' |
김채나 ''' S ''' | 메 가 ''' OP ''' | 모 마 ''' OP ''' | 김다인 ''' S ''' | ||
부키리치 ''' OH ''' | 정호영 ''' MB ''' | 정지윤 ''' OH ''' | 이다현 ''' MB ''' |
- 리뷰
<rowcolor=#fff> 정관장 | 결과 | 현대건설 |
59 | 최종 스코어 | 75 |
41 | 공격 득점 | 42 |
2 | 블로킹 득점 | 9 |
0 | 서브 득점 | 5 |
19 | 범실 | 16 |
36.61% | 공격 성공률 | 41.58% |
14.49% | 리시브 효율 | 23.21% |
부카리치 18득점 50% | 최다 득점자 | 모마 24득점 53.85% |
범실 문제, 주전 세터 염혜선의 부재, 백업 세터 김채나와 메가의 부진을 극복하지 못하고 셧아웃 패배를 당했다. 거기다가 정관장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인 모마에게 공격성공률 50% 이상을 허용했다.
7.1.3. 3차전 1-3 승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플레이오프 3차전 2025년 3월 29일 14:00 | 수원실내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현대건설 | 24 | 25 | 19 | 20 | - | 1 | |
정관장 | 26 | 12 | 25 | 25 | - | 3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김연견 ''' L ''' | 이다현 ''' MB ''' | 정지윤 ''' OH ''' | 정호영 ''' MB ''' | 부키리치 ''' OH ''' | 노 란 ''' L ''' |
김다인 ''' S ''' | 모 마 ''' OP ''' | 메 가 ''' OP ''' | 염혜선 ''' S ''' | ||
고예림 ''' OH ''' | 양효진 ''' MB ''' | 표승주 ''' OH ''' | 박은진 ''' MB ''' |
- 리뷰
현대건설 | 결과 | <rowcolor=#fff> 정관장 |
88 | 최종 스코어 | 88 |
43 | 공격 득점 | 55 |
15 | 블로킹 득점 | 17 |
8 | 서브 득점 | 2 |
14 | 범실 | 22 |
37.07% | 공격 성공률 | 40.74% |
26.67% | 리시브 효율 | 20.99% |
모마 23득점 42.55% | 최다 득점자 | 메가 26득점 39.34% |
세트스코어 3-1(26-24, 12-25, 25-19, 25-20)로 꺾고 챔피언결정전 진출을 확정지었다. 시리즈 전적 2승 1패로 ‘디펜딩 챔피언’ 현대건설을 누르고 2011~12시즌 이후 13년 만의 챔프전 무대. 플레이오프 1차전 승리팀의 챔피언결승전 진출 확률 100%는 이번 시즌에도 이어졌다. 총 17개의 블로킹이 적재적소에 터지며 현대건설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했고, 메가와 부키리치가 각각 26,15득점을 만드는 사이 미들의 박은진과 정호영이 무려 25득점을 합작했다.
2세트 중반 주전 리베로 노란이 부상으로 빠지고 최효서가 투입됐으나 불안한 수비와 리시브가 이어지며 결국 박혜민을 임시 리베로로 투입하는 강수가 이어졌다.[6] 박혜민의 정확한 리시브와 침착한 수비로 후위에서의 훌륭한 수비지원을 통해 메가-부키리치의 공격 루트가 살아났으며, 경기 전반적인 흐름을 잡아낼 수 있었다. 그야말로 이 경기의 결정적 승부수.[7]
1세트 (26-24) – 집요한 역전, 세트 후반 4연속 득점으로 잡은 승기
1세트 초반 양 팀 모두 범실과 오픈 공격을 주고받으며 팽팽한 흐름을 이어갔다. 정관장은 메가, 정호영의 연속 득점으로 10-8까지 앞섰으나, 이후 모마와 이다현, 정지윤의 활약으로 현대건설이 20-19 역전에 성공했다. 23-22 상황에서 모마의 백어택으로 현대건설이 세트 포인트를 잡았으나, 박은진의 오픈 공격과 서브 에이스로 듀스를 만들었고, 정호영의 블로킹과 부키리치의 블로킹이 연이어 성공하면서 정관장이 1세트를 가져갔다. 후반 4연속 득점으로 완성한 짜릿한 역전 세트. #
2세트 (12-25) – 현대건설의 블로킹 쇼, 박혜민 리베로 투입
2세트는 초반 8-8까지 팽팽했으나, 양효진의 속공과 김다인의 연속 서브 에이스로 현대건설이 흐름을 잡았다. 이후 모마의 오픈과 블로킹, 정지윤의 연속 득점이 더해지며 15-9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정관장은 수비와 리시브가 모두 흔들렸고, 리베로 노란이 부상으로 이탈한 상황에서 교체 투입된 최효서도 안정감을 보여주지 못했다.[8] 10-16 상황에서 투입된 리베로는 무려 박혜민.
기존 리베로를 더 이상 남은 경기에 기용하지 못하는 강수를 두며, 박혜민에게 리베로 조끼를 입혀 투입하는 '변칙 카드'를 꺼내 들었다.
원래 아웃사이드 히터인 박혜민은 리베로 포지션에서 예상을 상회하는 안정적인 리시브와 수비를 보여줬지만, 이미 분위기를 완전히 장악한 현대건설은 정지윤의 블로킹과 고민지의 서브 에이스로 2세트를 25-12로 완승했다. 세트가 크게 기울자 고희진 감독은 주전 선수를 모두 벤치로 불러들이고, 백업 멤버로 남은 2세트를 채웠다. 현대건설은 2세트에서만 블로킹 8개를 기록하며 승부를 다시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3세트 (25-19) – 박혜민 효과 본격화, 리시브가 안정되자 살아난 화력
3세트는 전세가 완전히 역전됐다. 정관장은 5-6 상황에서 메가의 백어택, 박은진의 블로킹, 부키리치의 오픈이 연달아 성공하며 4연속 득점으로 9-6을 만들었다. 정호영이 속공과 블로킹으로 2점을 추가했고, 메가와 박은진의 연속 공격으로 15-10까지 달아났다. 18-11에서 잠시 흔들리는 듯했으나, 황연주-서지혜의 교체 투입에도 큰 영향은 없었다. 23-19 상황에서 정호영의 오픈, 부키리치의 블로킹이 결정타가 되었고, 정관장이 3세트를 챙기며 2-1로 앞서나갔다. 이 세트에서도 박혜민의 수비력과 팀 리시브 안정감이 핵심 변수로 작용했다.
4세트 (25-20) – 마지막까지 집중력 지켜내며 확정한 인천행
4세트는 정관장이 개시부터 맹공을 퍼부으며 초반 8-4 리드를 가져갔다. 부키리치의 블로킹, 서브 에이스, 박은진과 표승주의 오픈이 연이어 성공했다. 중반 11-9 상황에서 메가의 백어택, 정호영의 블로킹과 속공이 이어지며 다시 격차를 벌렸고, 20-17에서는 김다인의 서브 범실이 나오며 정관장이 승기를 잡았다. 23-19에서 표승주의 오픈이 터졌고, 마지막 24-20 상황에서는 메가가 대각선 강타로 승부를 끝냈고, 챔피언결승전 진출을 확정했다. 마지막 득점을 만든 메가는 코트에 얼굴을 파묻으며 기뻐했고, 모든 선수들이 코트 위에서 환호하며 해피엔딩.
결국 3차전까지 오는 고행 끝에 플레이오프 시리즈 전적 2승 1패로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으며, 상대는 정규리그 1위 흥국생명이다. 챔프전은 3월 31일부터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5전 3선승제로 열린다. 3차전까지 치른 후 단 하루 휴식만을 가지고 치르는 월요일 경기의 부담을 극복해야 하는 것이 과제.
7.2. 챔피언 결정전 VS 흥국생명
7.2.1. 1차전 3-0 패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1차전 2025년 3월 31일 19:00 |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흥국생명 | 25 | 25 | 25 | - | - | 3 | |
정관장 | 21 | 22 | 19 | - | - | 0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신연경 ''' L ''' | 김연경 ''' OH ''' | 이고은 ''' S ''' | 부키리치 ''' OH ''' | 염혜선 ''' S ''' | 박혜민 ''' L '''최효서 |
김수지 ''' MB ''' | 피 치 ''' MB ''' | 정호영 ''' MB ''' | 박은진 ''' MB ''' | ||
투트쿠 ''' OP ''' | 정윤주 ''' OH ''' | 메 가 ''' OP ''' | 표승주 ''' OH ''' |
- 리뷰
<rowcolor=#fff> 흥국생명 | 결과 | 정관장 |
75 | 최종 스코어 | 62 |
44 | 공격 득점 | 35 |
8 | 블로킹 득점 | 9 |
8 | 서브 득점 | 3 |
15 | 범실 | 15 |
45.36% | 공격 성공률 | 36.84% |
김연경 16득점 60.9% | 최다 득점자 | 부키리치 17득점 42.9% |
플레이오프 3차전 주전 노란 부상으로 긴급 투입 된 박혜민을 1차전 선발로 나섰다. 박혜민이 초반에 부진하자 최효서로 번갈아 바꾸며 리베로 공백을 메우려고 했으나 흥국생명의 서브와 공격을 막아내지 못했고 정관장 주전 공격수들이 블로킹 차단당하며 허무하게 경기를 내줬다.
부키리치는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아직 통증이 완치되지 않았는지 점프를 완전히 뛰지 못했고, 메가는 공격이 계속해서 흥국생명의 블로킹에 막히며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야말로 완전 총체적난국.
91분만에 경기가 끝났으며 특히 2세트 16 대 12로 앞서는 상황에서 집중력을 잃고 역전을 허용해 찬물을 제대로 끼얹었다. 거기에 디그와 리시브도 제대로 되질 않으니 넘어온 볼을 세터 염혜선이 받아내려다 흥국생명의 아본단자 감독과 부딪힐 뻔 했는데, 아본 감독이 재빨리 피해서 망정이지 만에 하나 부딪혔다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뻔 했다.
7.2.2. 2차전 3-2 패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2차전 2025년 4월 2일 19:00 |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흥국생명 | 23 | 18 | 25 | 25 | 15 | 3 | |
정관장 | 25 | 25 | 22 | 12 | 12 | 2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신연경 ''' L ''' | 이고은 ''' S ''' | 피 치 ''' MB ''' | 박은진 ''' MB ''' | 표승주 ''' OH ''' | 노 란 ''' L ''' |
김연경 ''' OH ''' | 정윤주 ''' OH ''' | 염혜선 ''' S ''' | 메 가 ''' OP ''' | ||
김수지 ''' MB ''' | 투트쿠 ''' OP ''' | 부키리치 ''' OH ''' | 정호영 ''' MB ''' |
- 리뷰
<rowcolor=#fff> 흥국생명 | 결과 | 정관장 |
106 | 최종 스코어 | 96 |
50 | 공격 득점 | 65 |
14 | 블로킹 득점 | 7 |
7 | 서브 득점 | 6 |
18 | 범실 | 33 |
36.5% | 공격 성공률 | 40.12% |
18.29% | 리시브 효율 | 25.26% |
투트쿠 24득점 41.30% | 최다 득점자 | 메가 25득점 43.40% |
1차전에 셧아웃 당했다면 이번에는 리버스 스윕 패배당했다. 1세트 중반까지 흥국생명이 리드하다가 14-18에서 메가 서브턴에서 연달아 서브 에이스와 공격이 연달아 터졌고 23-23에서 부키리치 공격 성공과 비디오 판독으로 이고은의 세트 오버넷을 잡아내며 승리한다. 2세트 초중반에 잠시 흔들렸지만 격차를 벌리면서 2세트까지 무난히 가져왔지만...문제는 3세트부터.
3세트부터는 급격하게 공격 성공률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원인은 단연 이틀에 한번꼴로 열리는 경기로 인한 체력 문제와 대부분의 주전 선수의 부상 후유증. 22-20에서 정관장이 리드하는 상황에서 김연경의 서브턴에서 강서브로 리시브가 흔들렸다. 3연속 범실로 22-22에서 22-25로 허무하게 세트를 내줬다. 4세트는 해설위원이 피곤해 보인다고 직접 언급할 정도로 부키리치가 급격한 체력 저하를 보이며 결국 주전 선수를 모두 교체하는 선택을 하며 4세트는 무기력하게 패배한다. 5세트는 상대팀의 김연경의 공격 성공률이 약 65% 수준으로 엄청난 활약을 펼친 반면 부상과 체력 저하로 인해 부키리치와 메가가 범실이 연달아 나오면서 결국 서브 범실로 패배한다..
범실이 33개로 흥국보다 훨씬 더 많았고 블로킹 14개나 허용하면서 이제 벼랑 끝에 몰린채 대전으로 가게 됐다. 정관장은 당일 출전 선수를 결정해야할 정도로 부상 악재가 커 13년 만의 챔피언 결정전을 힘겹게 하고 있는 중이다.
참고로 1차전이 메가의 서브 범실로 경기가 끝났는데, 2차전도 역시 메가의 서브 범실로 경기가 끝났다.
7.2.3. 3차전 3-2 승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 3차전 2025년 4월 4일 19:00 | 대전충무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정관장 | 21 | 34 | 25 | 25 | 15 | 3 | |
흥국생명 | 25 | 36 | 22 | 19 | 11 | 2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노 란 ''' L ''' | 표승주 ''' OH ''' | 메 가 ''' OP ''' | 피 치 ''' MB ''' | 정윤주 ''' OH ''' | 신연경 ''' L ''' |
박은진 ''' MB ''' | 정호영 ''' MB ''' | 이고은 ''' S ''' | 투트쿠 ''' OP ''' | ||
염혜선 ''' S ''' | 부키리치 ''' OH ''' | 김연경 ''' OH ''' | 김수지 ''' MB ''' |
- 리뷰
<rowcolor=#fff> 정관장 | 결과 | 흥국생명 |
120 | 최종 스코어 | 113 |
79 | 공격 득점 | 70 |
11 | 블로킹 득점 | 17 |
5 | 서브 득점 | 3 |
23 | 범실 | 25 |
43.17% | 공격 성공률 | 40.7% |
29.91% | 리시브 효율 | 20.72% |
메가 40득점 46.91% | 최다 득점자 | 김연경 29득점 42.37% |
벼랑 끝에 선 정관장이 3차전에서 세트스코어 3-2(21-25, 34-36, 25-22, 25-19, 15-11)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시리즈 전적을 1승 2패로 만들었다. 메가가 40득점, 부키리치가 30득점으로 대활약하며 극적인 반격을 주도했다. 흥국생명은 김연경이 2세트까지 맹활약했지만, 3세트부터 급격히 늘어난 팀 범실로 역전패를 당하며 통합 우승 확정을 다음 경기로 미뤘다. 여담으로 연고지인 대전광역시가 정관장 선수단에 간식을 선물해주었다.
1세트 (21-25) – 김연경의 압도적 존재감, 기선 제압한 흥국생명
흥국생명은 초반부터 김연경이 7득점, 공격 성공률 46.15%의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중반 15-14의 접전 상황에서 피치의 속공과 정윤주의 공격, 김연경의 블로킹이 이어지며 순식간에 점수 차를 22-16으로 벌렸다. 정관장이 막판 추격했지만, 김연경이 마지막 퀵오픈으로 세트를 마무리하며 흥국생명이 먼저 앞서나갔다.
2세트 (34-36) – 역대급 듀스 혈전, 김연경의 극적인 해결
2세트는 V리그 역사상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듀스 혈전이 펼쳐졌다.[9] 초반 흥국생명이 5-1로 앞서며 손쉽게 승기를 잡는 듯 했지만, 정관장이 끈질기게 따라붙어 듀스를 만들었다. 양팀은 듀스 상황에서 무려 11번이나 공방을 주고받았다. 34-34 상황에서 김연경의 오픈 공격과 퀵오픈 성공으로 흥국생명이 2세트마저 챙기며 우승까지 단 한 세트만을 남겨놓았다.
3세트 (25-22) – 본격적인 반격의 시작
정관장이 3세트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흐름을 잡으며 8-3으로 앞서 나갔다. 흥국생명은 흔들리는 리시브와 잇따른 범실로 고전했으나, 김수지와 정윤주의 활약으로 17-16 역전에 성공하며 다시 분위기를 가져오는 듯했다. 그러나 정관장은 메가와 부키리치가 연속 공격을 성공시키며 다시 역전했고, 부키리치의 결정적인 블로킹과 메가의 퀵오픈으로 3세트를 따내며 기사회생했다.
4세트 (25-19) – 표승주의 결정적 블로킹, 완전히 가져온 흐름
정관장은 4세트에서도 기세를 이어갔다. 15-15 팽팽한 상황에서 메가와 표승주의 연이은 블로킹, 부키리치의 백어택까지 터지며 21-15까지 점수 차를 벌렸다. 흥국생명은 급격히 늘어난 8개의 범실에 발목을 잡히며 무너졌고, 정관장은 표승주가 투트쿠의 공격을 차단하는 결정적 블로킹으로 4세트를 승리하며 승부를 마지막 5세트로 몰고 갔다.
5세트 (15-11) – 극적 역전 완성한 정관장, 기적의 승리
정관장이 기적을 만들어냈다. 시작부터 부키리치와 정호영의 연속 득점으로 리드를 잡았고, 3-2 상황에서는 메가와 정호영의 블로킹이 빛나며 5-2까지 점수 차를 벌렸다. 김연경이 이끄는 흥국생명이 12-10까지 따라붙었지만, 결국 메가의 결정적인 득점과 부키리치의 서브 에이스가 터지며 정관장이 극적인 역전승을 완성했고, 이 승리로 시리즈를 4차전으로 끌고 가며 우승의 희망을 이어갔다.
7.2.4. 4차전 3-2 승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4차전 2025년 4월 6일 14:00 | 대전충무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정관장 | 25 | 24 | 36 | 22 | 15 | 3 | |
흥국생명 | 20 | 26 | 34 | 25 | 12 | 2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노 란 ''' L ''' | 표승주 ''' OH ''' | 메 가 ''' OP ''' | 투트쿠 ''' OP ''' | 김수지 ''' MB ''' | 신연경 ''' L ''' |
박은진 ''' MB ''' | 정호영 ''' MB ''' | 정윤주 ''' OH ''' | 김연경 ''' OH ''' | ||
염혜선 ''' S ''' | 부키리치 ''' OH ''' | 피 치 ''' MB ''' | 이고은 ''' S ''' |
- 리뷰
<rowcolor=#fff> 정관장 | 결과 | 흥국생명 |
122 | 최종 스코어 | 117 |
91 | 공격 득점 | 75 |
9 | 블로킹 득점 | 15 |
7 | 서브 득점 | 3 |
24 | 범실 | 14 |
47.4% | 공격 성공률 | 46.58% |
28.18% | 리시브 효율 | 22.61% |
메가 38득점 47.37% | 최다 득점자 | 김연경 32득점 50% |
흥국생명을 세트스코어 3-2(25-20, 24-26, 36-34, 22-25, 15-12)의 풀세트 혈투 끝에 시리즈를 2승 2패 동률로 만들고 도로공사에 이어 두 번째로 역스윕을 꿈꾸며 5차전 인천행을 확정지었다. 메가(38점), 부키리치(28점)가 득점을 책임졌고, 김연경이 32점으로 분전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정관장은 먼저 2패를 내어주며 벼랑 끝에 몰렸지만 홈에서 열린 3, 4차전을 모두 승리하며 시리즈의 균형을 맞췄고, 우승의 향방은 인천에서 열리는 최종 5차전으로 넘어갔다.
1세트 (25-20) – 기세 잡은 정관장, 메가의 압도적 활약
초반부터 메가의 연속 득점을 앞세워 흐름을 잡았다. 흥국생명은 김연경이 적극적으로 공격했지만, 정관장은 메가와 표승주가 연달아 득점하며 격차를 벌렸다. 박은진의 블로킹과 속공도 결정적인 순간마다 성공했고, 메가가 중요한 득점을 연이어 올리면서 1세트를 정관장이 차지했다.
2세트 (24-26) – 투트쿠-김연경의 역전쇼, 동점을 만드는 흥국생명
정관장이 초반부터 우위를 점하며 23-18까지 앞섰지만, 흥국생명은 김연경과 투트쿠의 맹활약으로 무려 6연속 득점을 만들어 24-23 역전에 성공했다.
3세트 (36-34) – 역대급 듀스 혈투, 끝내 승리한 정관장[10]
3세트는 듀스 상황이 반복되는 극적인 명승부였다. 두 팀은 역전과 재역전을 반복하며 34-34까지 승부를 이어갔다. 결정적인 순간 정관장의 부키리치가 퀵오픈 득점, 염혜선이 서브 에이스로 마침표를 찍으며, 정관장이 피말리는 듀스를 끝내고 승리를 가져갔다.
4세트 (22-25) – 김연경이 만든 5세트 승부, 흥국생명의 끈질긴 추격
4세트 초반 흥국생명이 10-4로 크게 앞섰지만,
5세트 (15-12) – 우승을 향한 집념, 끝까지 집중력 발휘한 정관장
7.2.5. 5차전 3-2 패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5차전 2025년 4월 8일 19:00 |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
TEAM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TOTAL | |
흥국생명 | 26 | 26 | 24 | 23 | 15 | 3 | |
정관장 | 24 | 24 | 26 | 25 | 13 | 2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중계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 ||||||
| }}}}}}}}}}}} |
<rowcolor=#fff>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
신연경 ''' L ''' | 김연경 ''' OH ''' | 이고은 ''' S ''' | 부키리치 ''' OH ''' | 염혜선 ''' S ''' | 노 란 ''' L ''' |
김수지 ''' MB ''' | 피 치 ''' MB ''' | 정호영 ''' MB ''' | 박은진 ''' MB ''' | ||
투트쿠 ''' OP ''' | 정윤주 ''' OH ''' | 메 가 ''' OP ''' | 표승주 ''' OH ''' |
- 리뷰
<rowcolor=#fff> 흥국생명 | 결과 | 정관장 |
114 | 최종 스코어 | 112 |
65 | 공격 득점 | 82 |
17 | 블로킹 득점 | 9 |
4 | 서브 득점 | 4 |
17 | 범실 | 28 |
37.57% | 공격 성공률 | 41.21% |
20% | 리시브 효율 | 33.01% |
김연경 34득점 42.62% | 최다 득점자 | 메가 37득점 39.53% |
비록 석패하긴 했지만 몇몇 선수들의 부상투혼으로 인해 허무하게 끝나지 않았기에 선수들 모두가 박수받아야 마땅했던 챔프전이었다.
8. 상대 전적
8.1. 구단별 상대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시즌 구단별 상대전적 |
<rowcolor=#fff> 상대팀 | 승패 | 세트득실률 | 승률 | 승패마진 | 우열 | 잔여 경기 |
현대건설 | 3-3 | 11-14 | 0.500 | 0 | 백중세 | 경기 완료 |
흥국생명 | 2-4 | 11-15 | 0.333 | -2 | 열세 | 경기 완료 |
GS칼텍스 | 5-1 | 16-8 | 0.833 | +4 | 절대 우세[11] | 경기 완료 |
IBK기업은행 | 4-2 | 14-8 | 0.667 | +2 | 우세 | 경기 완료 |
한국도로공사 | 5-1 | 17-6 | 0.833 | +4 | 절대 우세 | 경기 완료 |
페퍼저축은행 | 4-2 | 13-11 | 0.667 | +2 | 우세 | 경기 완료 |
총합 | 23승 13패 | 세트 득실률: 1.323 | 0.639 | +10 | 경기 완료 |
- 분류 기준
- 남색은 압도(6승, 승률: 1.000)를 뜻한다.
- 청색은 절대 우세(5승 1패, 승률: 0.833)를 뜻한다.
- 하늘색은 우세(4승 2패, 승률: 0.666)를 뜻한다.
- 녹색은 백중세(3승 3패, 승률: 0.500)를 뜻한다.
- 주황색은 열세(2승 4패, 승률: 0.333)를 뜻한다.
- 적색은 절대 열세(1승 5패, 승률: 0.167)를 뜻한다.
- 갈색은 압살당함(6패, 승률: 0.000)을 뜻한다.
8.2. 라운드별 상대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시즌 라운드별 상대전적 |
<rowcolor=#fff> 라운드 | 승패 | 승률 | 승패마진 |
1라운드 | 3승 3패 | 0.500 | 0 |
2라운드 | 3승 3패 | 0.500 | 0 |
3라운드 | 6승 0패 | 1.000 | +6 |
4라운드 | 5승 1패 | 0.833 | +4 |
5라운드 | 4승 2패 | 0.667 | +2 |
6라운드 | 2승 4패 | 0.333 | -2 |
총합 | 23승 13패 | 0.639 | +10 |
8.3. 구장별 상대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29><tablebgcolor=#d70029>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24-25시즌 구장별 상대전적 |
<rowcolor=#fff> 홈/원정 구분 | 구장 | 승패 | 승률 |
홈경기 | 대전충무체육관 | 12승 6패 | 0.667 |
원정경기 | 수원실내체육관 | 1승 2패 | 0.333 |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1승 2패 | 0.333 | |
장충체육관 | 2승 1패 | 0.667 | |
화성실내체육관 | 2승 1패 | 0.667 | |
김천실내체육관 | 3승 0패 | 1.000 | |
광주페퍼스타디움 | 2승 1패 | 0.667 | |
총합 | 23승 13패 | 0.639 |
9. 총평
악조건과 고난길의 연속이었지만, 극복해낸 선수단과 감독, 코칭스태프의 합작이 있었기에 챔결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비록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마치 2022 FIFA 월드컵 결승전처럼 다 끝났다고 생각했던 시리즈를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끌고 가는 저력을 보여주며 졌지만 잘 싸웠다의 표본을 보여주었다.패배 속에 빛난 투혼… 정관장이 만든 봄의 드라마
사실 정관장의 시즌 전 예상을 생각하면 이 자리까지 온 것부터 대단하다 할 수 있는데, 당장 지난 시즌 수비를 책임졌던 이소영이 나가고 지아 역시 미국 리그로 떠나면서 이 둘의 대체자로 공격에 강점있는 표승주와 도로공사에서 아포짓만 봤던 부키리치를 선택했다.[12] 즉, 성공하면 대박이고 실패하면 쪽박인 도박을 시도한 것. 그런데 비시즌 동안 부키리치가 리시브를 잘 받는 모습을 보여 정규리그에서도 이를 이어갔고, 표승주도 공격에서 잘 버텨주면서 강팀으로 다시 도약할 수 있었다.
여기에 플레이오프 3경기, 챔프전 5경기를 모두 치르면서 체력적으로도 부칠 수도 있는데 끝까지 흥국생명을 밀어붙이며 최선을 다했다. 비록 이번 시즌은 우승에 실패했지만, 김연경이 은퇴하는 다음 시즌부터는 춘추 전국시대가 예상되기에 이번 오프시즌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다음 시즌 다시 우승에 도전할 수 있을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메가·부키리치 작별 인사… 정관장, 아름다운 이별 뒤 새판짜기 돌입[13] 이후에는 표승주마저 은퇴글을 개인 SNS에 올리며 정관장의 전력 약화는 불가피해졌다.
[1] FA 기간 직후 치러진 행사였기 때문에, IBK기업은행으로 이적한 이소영의 보상 선수로 온 표승주는 참가하지 않았다.[2] 물론 이 전략이 요즘 현대 배구의 트렌드이긴 한데, 이건 선수단 전원이 아주 탄탄한 기본기에 민첩한 움직임으로 좋은 배드리시브 커버와 이단연결 능력을 갖추고 있을 때나 가능한 스피드 배구다. 아예 기본기부터 말아먹은 형편없는 리시브와 조직력으로는 시도조차 못 한다는 얘기.[3] 상대팀 현대건설은 이날 양효진과 이다현 둘이서만 24득점을 가져갔다. 미들블로커 둘이서만 한 세트를 꿀꺽한 것. 아예 게임이 안 된 수준이었다.[4] 진출시 정관장으로는 13년,대전 프로스포츠 팀(야구,남자배구,여자배구)으로는 2015년 남자배구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이후 10년만에 챔프전 진출 하는 것이다.[5] 심지어 같은 날 프로야구 경기(수원), 축구 국가대표 경기(수원)까지 겹치며 PO1차전 1,500여명의 관중만 들어섰다.[6] 리베로가 아닌 박혜민을 투입하며, 기존 리베로인 노란과 최효서는 경기가 끝날때까지 투입할 수 없게 되므로 남은 경기를 오롯이 박혜민 리베로로만 해야 하는 초강수였다. 예정된 투입이 아니었으므로 박혜민은 'L' 자가 새겨진 임시 형광조끼를 입고 경기에 투입되었다.[7] 주전 리베로 못지 않은, 심지어 리시브 터지는 날의 주전 리베로들보다 안정적인 디그를 보여주며 팡팡플레이어에 선정.[8] 시즌 중에도 많은 출전이 없던 최효서가 PO3차전이라는 큰 경기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며 리시브조차 제대로 받아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빠르게 교체되었다. 교체된 이후 벤치에서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경기 후 밝혀진 바로는 과호흡 증세가 있었다고.[9] 역대 챔피언결정전 최다 득점을 갱신했다.[10] 공교롭게도 3차전과 같은 36-34 스코어로 역대 챔피언결정전 최다 득점 타이. 3차전은 이 듀스 승부를 흥국생명이 가져갔다면 4차전에서는 정관장이 가져갔다.[11] 8시즌 만에 우세[12] 시즌 전 FA에서 표승주를 보상선수로 지명하기 전까지 정관장은 이소영이 나간 직후 하위권 예약이라는 예측이 많았다. 오히려 이소영의 영입으로 봄배구 진출 가능한 팀이 IBK라고 점쳐졌었다. 물론 실제 결과는 정반대였다.[13] 거기다가 정관장도 메가와 부키리치가 재계약을 선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