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2010, 2011)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Oreimo | |||
<nopad>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1ac73,#f1ac73><colcolor=#ffffff,#ffffff> 장르 | 일상, 러브 코미디 | |
원작 | 후시미 츠카사 | ||
원작 일러스트 | 칸자키 히로 | ||
감독 | 칸베 히로유키 | ||
시리즈 구성 | 쿠라타 히데유키 | ||
캐릭터 디자인 | 오다 히로유키(織田広之) | ||
프롭 디자인 | 이시모토 타카히로(石本剛啓) | ||
미술 감독 | 에토 코지(衛藤功二) | ||
미술 설정 | 이즈미 히로시(泉 寛) | ||
색채 설계 | 스에나가 야스코(末永康子) | ||
촬영 감독 | 이마이즈미 히데키(今泉秀樹) 시다라 노조미(設楽 希) | ||
편집 | 우츠노미야 마사키(宇都宮正記) | ||
음향 감독 |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음악 | 코우사키 사토루 | ||
기획 | 나츠메 코이치로(夏目公一朗) 스즈키 카즈토모(鈴木一智) 우노자와 신(鵜之澤 伸) 타후 나오히로(太布尚弘) | ||
슈퍼바이저 |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 ||
프로듀서 |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미키 카즈마 고카 카즈노리(伍賀一統)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오우기 지유(黄樹弐悠) | ||
제작 프로듀서 | 요시다 노리오(𠮷田昇央)1, 2화 와타나베 타카유키(渡辺隆之)1~7화 카나자와 코타(金澤幸多)7~15화 | ||
애니메이션 제작 | AIC Build | ||
제작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10. 10. 03. ~ 2010. 12. 19.GOOD 루트 2011. 02. 22. ~ 2011. 05. 31.TRUE 루트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5화[1]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1기. 감독은 칸베 히로유키, 제작사는 AIC. 방영 시기는 2010년 10월GOOD 루트 / 2013년 2월TRUE 루트.성우는 드라마 CD와 동일. 시간적 배경은 2011~2012년.
2. 공개 정보
칸베 히로유키가 감독이지만 실제 본편의 연출은 카와구치 케이이치로가 더 많이 해서 카와구치의 연출색이 더 강하다. 각본은 쿠라타 히데유키와 원작자이기도 한 후시미 츠카사가 집필하였다. 원작의 일러스트레이터인 칸자키 히로[2]가 캐릭터 디자인을 맡아 원작의 그림체를 그대로 재현한데다가 이시다 카나가 총작화감독을 맡아 작화의 질이 매우 좋아서 팬들의 반응은 상당히 좋다.총 15화인데 TV 방영분은 12화로 종료되며, 웹 공개 방식으로 12(true)[3], 13, 14화가 공개된다. 12화는 GOOD END 루트로, 원작 전개와는 패럴렐이 되는 선택지를 타서 엔딩을 맞는다. TV 방영분으로서 꽤 깔끔하게 이야기를 종결. 12(true),13,14 화는 TRUE END 루트로 원작과 같은 전개. 5권의 이야기를 다루게 된다.
웹 방영일은 2011년에 12(true)화가 2월 22일, 13화는 3월 29일, 14화는 4월 26일, 15화는 5월 31일에 방영되었다.
공식사이트는 http://oreimo.dengeki.com/. 성우들이 진행하는 라디오 "내 여동생이 (라디오에서도)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가 매 2, 4주 금요일마다 업로드되었으며, 현재는 24화를 끝으로 종료되었다.
또한 애니메이션 가이드 북에는 패러렐 월드를 다룬 '흑발의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란 단편이 수록돼있다.
2.1. PV
PV 제2탄 |
PV 제3탄 |
3.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등장인물#|]][[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음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음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음악#1기|1기]][[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음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 제목[4]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俺が妹と恋をするわけがない 내가 여동생과 사랑할 리가 없어 | 쿠라타 히데유키 |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 칸베 히로유키 | 타니가와 료스케 (谷川亮介) 나가타 마사미 (永田正美) | 이시다 카나 | 日: 2010.10.03. 韓: 2010.10.07. |
제2화 | 俺が妹とオフ会に行くわけがない 내가 여동생과 오프라인 모임에 갈 리가 없어 | 키타하타 토오루 (喜多幡 徹) | 츠루타 히토미 (鶴田仁美) | 이시다 카나 카와카미 테츠야 | 日: 2010.10.10. 韓: 2010.10.14. | ||
제3화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 와타나베 테츠야 | 카와무라 코스케 (川村幸祐) | 카와카미 테츠야 | 日: 2010.10.17. 韓: 2010.10.21. | ||
제4화 | 俺の妹が夏コミとか行く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여름 코믹페어 따위에 갈 리가 없어 | 요시무라 아이 | 이카이 카즈유키 나가타 마사미 셴 홍 (沈宏) | 日: 2010.10.24. 韓: 2010.10.28. | |||
제5화 | 俺の妹の親友がこんなに××な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의 친구가 이렇게 XX할 리가 없어 |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 마치타니 슌스케 (町谷俊輔) | 시마다 사토시 (島田さとし) 오카자키 히로미 (岡崎洋美) 사코 소이치로 (佐古宗一郎) | 日: 2010.10.31. 韓: 2010.11.04. | ||
제6화 | 俺の幼馴染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내 소꿉친구가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 키타하타 토오루 | 고토 노조미 (後藤 望) | 이시다 카나 | 日: 2010.11.07. 韓: 2010.11.11. | ||
제7화 | 俺の妹がこんなに小説家な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이렇게 소설가다울 리가 없어 | 사토 히로유키 (佐藤宏幸) | 타니가와 료스케 [A파트] 요시카와 마호 [B파트] (吉川真帆) | 카와카미 테츠야 | 日: 2010.11.14. 韓: 2010.11.18. | ||
제8화 | 俺の妹がこんなにアニメ化な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이렇게 애니메이션 같을 리가 없어 | 사노 타카시 | 시미즈 사토시 (清水 聡) | 미즈타니 마미코 (水谷麻美子) 나카무라 토코 (中村統子) | 이시다 카나 | 日: 2010.11.21. 韓: 2010.11.25. | |
제9화 | 俺の妹がこんなにエロゲー三昧な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이렇게 어덜트 게임에 빠질 리가 없어 | 후시미 츠카사 | 마스나리 코지 | 우이 요시카즈 (宇井良和) | 스기모토 코지 (杉本光司) 김용식 | 카와카미 테츠야 | 日: 2010.11.28. 韓: 2010.12.02. |
제10화 | 俺の妹がこんなにコスプレな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이렇게 코스프레를 할 리가 없어 | 쿠라타 히데유키 | 요시무라 아이 | 콘도 나츠코 [A파트] (近藤奈津子) 허재선 [B파트] (許宰銑) 김기남 [B파트] (金祈南) | 이시다 카나 | 日: 2010.12.05. 韓: 2010.12.09. | |
제11화 | 俺の妹がこんなにメイドな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이렇게 메이드같을 리가 없어 | 와타나베 테츠야 | 이시마루 켄이치 (石丸賢一) 시키시마 히로히데 (敷島博英) 나가타 마사미 오오스기 나오히로 (大杉尚広) 타니가와 료스케 카데카루 치카시 | 카와카미 테츠야 | 日: 2010.12.12. 韓: 2010.12.16. | ||
제12화 (GOOD) | 俺の妹の人生相談がこれで終わる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의 인생 상담이 이렇게 끝날 리가 없어 | 코가와 요리야스 (古川順康) | 키타하타 토오루 | 사코 소이치로 코마츠 아사미 (小松麻美) 고토 노조미 | 이시다 카나 | 日: 2010.12.19. 韓: 2010.12.23. | |
제12화 (TRUE) | 사코 소이치로 [A파트] 코마츠 아사미 [A파트] 고토 노조미 [B파트] | 이시다 카나 카와카미 테츠야 [A파트] 나카무라 나오토 [A파트] 지미 스톤 [B파트] (ジミー・ストーン) | 日: 2011.02.22. 韓: | ||||
제13화[16] | 俺の後輩がこんなに腐ってるわけがない 내 후배가 이렇게 타락했을 리가 없어 | 안도 타카시 (安藤貴史) | 나가타 마사미 소마 미츠루 (相馬 満) 나카하라 키요타카 (中原清隆) | - | 日: 2011.03.29. 韓: | ||
제14화 | 俺の後輩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내 후배가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 코가와 요리야스 마츠조노 히로시 (まつぞのひろし) | 오쿠노 코타 (奥野耕太) | 요시카와 마호 | 日: 2011.04.26. 韓: | ||
제15화 | 俺の妹がこれで最終回なわけがない 내 여동생이 이걸로 마지막일 리가 없어 | 칸베 히로유키 | 타니가와 료스케 키타지마 노부유키 (北島信幸) 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칸베 히로유키 | 하나우에 쇼고 (花上将吾) | 日: 2011.05.31. 韓: |
6. 엔드 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엔드 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엔드 카드#1기|1기]][[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엔드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해외 공개
7.1. 대한민국
한국에선 애니플러스에서 TV 방영분 및 웹 방영분 모두 방영되었다. 그리고 2014년 2월부터 무료공개 중이었다. olleh tv에서도 무료로 다시보기가 가능하다. 현재는 다시 막는 중.애니플러스에는 무려 약 9년 동안이나 있었던 고참 애니였지만,[17] 2019/04/30 만료작 리스트에 2기와 함께 이름이 올라왔다.
8. 평가
기본적으로 원작 재현 위주지만, 몇몇 부분에서 원작과 다른 점이 세세하게 있고 특정 에피소드는 삭제되거나 변경되었다. 분량상 잘린 부분이 꽤 있으며, 원작에서 나오는 내용도 다른 파트로 이동된 경우도 있다. 결과적으론 꽤 무난하게 원작을 잘 살린 편.시점이 3인칭이 됨으로써 원작의 코우사카 쿄우스케의 츤데레 묘사가 상당히 누그러들었다. 동시에 코우사카 키리노의 본심을 나타내는 부분이 많이 등장해 민폐가 다소 순화되었으며 성격이나 행동도 꽤 순화되었다.
BD/DVD 평균 판매량은 24000 장에 박스판 6000 장. 2010년 4분기 애니 중 가장 잘 팔렸다. 현재 기준으로 봐도 출신지에 비해 상당히 많이 팔린 히트작 반열에 들어간다.[18]
9. 원작과의 차이점
8화는 원작의 흐름 대신 오리지널로 대체되었다. 원래 코우사카 키리노의 인터넷 소설이 도작당하는 내용이 애니화될 차례였는데, 실제로 전격문고에 비슷한 도작사건이 일어났다(…)원작에서는 인터넷 소설을 이오리 F. 세츠나에게 도작당하게 된 것을 쿠로네코와 둘이서 전격문고에 가서 해결하는 이야기였다면, 애니판에서는 키리노가 쓴 여동생물 라이트노벨이 1권만에 애니화되게 되고,[19] 이를 애니화하는 과정에서 키리노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원작을 완전히 무시하고 거의 이름만 딴 수준의 오리지널 스토리를 전개하려는 제작진을 사오리, 쿠로네코, 쿄우스케가 막는 전개로 바뀌었다. 전개가 뒤바뀐 탓에 페이트 씨는 졸지에 프리터 도작꾼에서 커리어우먼으로 인생역전.
쿠로네코 플래그에 꽤 중요한 이벤트[20]였던 데다가 원작에서도 꽤나 큰 에피소드였던 걸 대충 줄여서 끝내버린데다가 결과적으로 원작무시가 상당수 이루어져서 팬들 사이에서 평이 매우 좋지 않게 되었으며, 덕분에 12화로 끝낼 분량에도 문제가 발생.
게다가 더욱 웃긴 점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전개인 이 내용이 원작을 무시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전개를 까고 있다는 점이다.
그 덕분인지, 9화는 원작자인 후시미 츠카사가 직접 집필해서 땜빵. 땜빵분이지만 놀라운 퀄리티의 명 에피소드가 뽑혀버렸다. 키리노의 오덕 라이프라든가 쿠로네코의 가족과 일상생활, 아가씨 사오리의 모습 등이 등장하며, 특히 원작에서도 언급되었던 키스X시스가 실제로 작품상에 표현되었다. 또한 잘려나가는 바람에 없어진 플래그와 떡밥들도 재보충되었다.
10~11화는 8화에서 약간 뒤틀린 탓에 내용에 미묘한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원작 그대로 전개되었다. 특히 10화는 쿠루스 카나코를
12-A화의 GOOD END에서는 원작과 다르게 전철을 타는데 성공했고, 키리노가 꺼낸 앨범의 내용물을 보는 선택을 하고, 코우사카 키리노가 코우사카 쿄우스케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지 못해 유학을 가지 않는 결말로 끝난다.
12-B화의 True Route에서는 원작처럼 전철을 타지 못했고, 앨범의 내용물을 보지 않는 선택을 하여 원작의 스토리대로 진행되었다. 또한, 위의 12-A 루트에서는 나오지 않았던 미우라 겐노스케가 제대로 등장한다.
[1] 후반부 전개에서 GOOD 루트와 TRUE 루트로 전개가 따로 나뉜다. 자세한 건 후술.[2] 라이트노벨 삽화는 부업이고, 사실 애니메이터 쪽이 본업이다.[3] 12.5화,13화로도 불리는거 같지만 대부분은 '12화 트루 루트'라고 부른다.[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파트] [B파트] [A파트] [B파트] [B파트] [A파트] [A파트] [B파트] [A파트] [A파트] [B파트] [16] 원화 아카이 토시후미, 오오카지 히로유키(大梶博之), 카미야 토모미, 혼조 케이이치로, 이시다 카나, 지미 스톤(ジミー・ストーン) 등.[17] 꽤 오래 있었지만, 뒤에서 두 번째다. 가장 오래된 작품은 내여귀 1기보다 1분기 더 빨리 왔는데도 2개월 정도 후인 2019년 6월 판권이 만료된 학원묵시록 하이스쿨 오브 더 데드이다.[18] 물론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나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수준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단순 하렘/근친계열 작품들 중 당시기준 이례적인 판매량을 보인 건 사실이었다.[19] 물론, 키리노의 작품이 1권만에 애니화되게 된 것은 어른의 사정으로. 빨리 종영되어버린 다른 작품을 대체하기 위한 땜빵용 작품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20] 쿠로네코랑 쿄우스케랑 남매노릇을 하면서 쿠로네코가 이때부터 쿄우스케를 오빠라고 부르는데 맛이 들린다. 그리고 그 이후 오빠에 대한 호칭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가 어차피 호칭이 바뀔거라는 식으로 떡밥을 던지는데 이 스토리가 바뀌어버리면서 이 떡밥 자체가 무너져버렸다. 결국 제작진도 이걸 의식했는지 그 뒤에 오빠라는 호칭을 쓰도록 스토리를 조금 수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