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13:54:16

남밀양IC

남밀양 나들목
南密陽 나들목
South Miryang Interchange
남밀양 요금소
South Miryang Tollgate
파일:Expressway_kor_55.svg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기산리
관리기관
중앙선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
개통
2006년 1월 25일
접속도로
#!if (+n) > 0
[[25번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calc(16px * 0.12) solid #ddd; border-color:#ffffff; min-width: 20px; font-size: 16px; width: calc(16px * 2.1);max-height: calc(16px * 1.4); border-radius: 50%; text-align:center; letter-spacing: calc(16px * 0.07); text-indent: calc(16px * 0.07); background-color: #0044cd; color:#FFFFFF; min-width: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top: calc(-16px * 0.1775);"
'''25'''}}}}}}]]
#!if (+n) <= 0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calc(16px * 0.12) solid #ddd; border-color:#ffffff; min-width: 20px; font-size: 16px; width: calc(16px * 2.1);max-height: calc(16px * 1.4); border-radius: 50%; text-align:center; letter-spacing: calc(16px * 0.07); text-indent: calc(16px * 0.07); background-color: #0044cd; color:#FFFFFF; min-width: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top: calc(-16px * 0.125);"
 }}}}}}]]
(밀양대로)

1. 개요2. 구조
2.1. 춘천 방향2.2. 부산 방향
3. 역사4. 특이사항5. 둘러보기

1. 개요

중앙고속도로 6번.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대성길 132-24 (기산리)에 있는 중앙고속도로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밀양시에서 유래했다.

2. 구조

2.1. 춘천 방향

2.2. 부산 방향

3. 역사

4. 특이사항

소재지는 밀양이지만 대구광역시창원시를 오가는 관문 역할도 한다. 이 나들목에서 나간 뒤 25번 국도를 타고 쭉 따라가면 대산면과 진영을 거쳐 바로 창원 시내로 진입할 수 있다. 그래서 나들목 표지판에도 '진영', '창원'이라고 안내하고 있다. 창원에서 달서구, 서구, 달성군 등 대구 서부 방면이 목적지라면 예전처럼 중부내륙고속도로(구.구마고속도로)를 타는 게 낫지만 수성구, 동구 등 대구 동부 방면으로 가고자 한다면 이 나들목에 진입해서 중앙고속도로를 타는 게 낫다.

과거에는 25번 국도가 진영읍과 동읍 중심지를 거쳐 원이대로로 이루어진 길이어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렸으나, 이제는 창원시 외곽을 지나가는 해원로가 개통되고 국도로 지정되면서 창원에서의 접근성이 좋아졌다.[5]

그래서 과거에는 이 길을 통해 동대구창원 시외버스 노선이 있었으나 이용률 저조로 폐지되었다. 애초에 이 길은 경전선 열차 방향이랑 완벽히 일치하는지라, 기차에 비해 시외버스가 아무런 이점이 없었다. 창원과 대구를 오가려면 시외버스보다 가격이 싼 데다가 소요시간은 똑같은 무궁화호를 타면 됐고, 빨리 가고 싶으면 조금 비싸더라도 KTXSRT, ITX-새마을을 타면 되기 때문이다. 경전선 KTX가 동대구 - 마산 구간에선 고속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굉장히 느리지만, 어쨌건 창원에서는 1시간 이내로 교통체증 없이 대구시내에 바로 꽂아주는 교통수단인지라 버스가 설 자리는 없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55.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1] 청도군수성구도 최초였다. 밀양은 삼랑진IC & 밀양IC 포함.[2] 대구~부산 고속도로 착공 .. 건교부, 2006년 개통 목표 한국경제 010208[부산항] 삼락IC, 관문대로, 부산항 방면 왕래자 한정. 춘천 방면은 밀양IC가 있다.[4] 신대구부산고속도 하이패스 시스템 개통 연합뉴스 090601[5] 단, 김해~밀양 고속국도 건설이 제2차 고속국도 건설계획에서 확정된 상태이고 창원까지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창원~김해~밀양 고속도 추진 협약… 비음산터널 뚫릴까 이렇게 되면 주이용객들이었던 창원시민들이 이 나들목까지 올 필요가 없기에 한산한 곳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