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5 23:43:48

나균안/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나균안/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나균안 흑백.png관련 문서
나균안
NA Gyun-A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선수 경력
아마추어 경력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Lotte Giants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 2022 AG
기록
연도별 주요 성적 · 수상 경력
평가
플레이 스타일(포수 · 투수)
논란 및 사건 사고
배우자 폭행 및 불륜 의혹
선발 등판 경기 전날 밤 술자리 참석
기타
여담
}}}}}}}}} ||
나균안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년 2025년 2026년
1. 개요2. 시즌 전
2.1. 시범경기
3. 페넌트레이스
3.1. 3월3.2. 4월3.3. 5월3.4. 6월3.5. 7월3.6. 8월3.7. 9월
4. 총평5. 시즌 후

1. 개요

나균안의 2025년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2월 12일, 대만과의 연습 경기 1차전에서 1이닝 3실점으로 작년이랑 똑같이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그런데 김태형 감독이 나균안을 5선발로 지목하였다. 물론 부진하면 가차없이 쳐내는 김태형 감독 특성상 마지막 기회일 가능성도 있다.

후에 나온 기사에는 비시즌동안 소프트뱅크 출신 김무영 일본경제대학 코치에게 개인훈련을 받았다고 한다. #

2.1. 시범경기

시범경기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2 0 0 0 0 8 2/3 3.12 9 0 5 12 .000 1.27 0.00

3월 12일, 사직 LG전에서 선발투수로 나서서 3.2이닝 4피안타 4사사구 4K 1실점을 기록하였다.

3월 18일, 고척 키움전에서 선발로 낙점되었다. 5이닝 82구 5피안타 2사사구 8탈삼진 2실점으로 그런대로 제 몫을 해주었다.

3. 페넌트레이스

3.1. 3월

3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1 0 0 0 0 4 2/3 3.86 4 0 3 6 0.00 1.50 0.00

3월 27일 ssg전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4.2이닝 2실점 6k를 기록하였다. 팬들의 반응은 꽤 만족중. 특히 전성기때도 140~143km를 전전하던 구속이 148km까지 찍히며 좋은 구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타선이 한바퀴 지나자 공략 당하는 모습을 보야준것은 차차 고쳐야할 숙제다. 팀은 박준우의 방화로 패배.

3.2. 4월

4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4월 3일 한화 이글스전 시즌 두번째 등판을 치뤘다. 결과는 5 ⅓이닝 98구 6K 2실점. 코디 폰세를 상대로 힘에서 밀리지 않는 피칭을 보였고 제구 역시 전성기급으로 살아나는 등 시즌 전의 우려와는 달리 그럭저럭 괜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책임주자 두 명을 출루시키고 내려간 후 송재영과 박진이 분식회계를 하며 승리투수는 되지 못했지만 팀은 이후에 2점을 더 내면서 승리하였다. 이정도면 충분히 밥값은 했다는 것이 중론.

4월 9일 KIA 타이거즈전 선발로 출전했다. 공교롭게도 상대의 선발투수는 제임스 네일으로, 나균안 본인에겐 악몽과도 같았던 작년 6월 25일 경기의 리매치가 되었다.[1] 투구내용은 6이닝 102구 6피안타 3실점 3K로, 팬들의 우려와는 달리 꽤나 괜찮은 투구 내용을 보여주며 QS를 달성했지만, 상대 선발 네일의 7이닝 1실점 호투와 타선의 극심한 부진으로 패전투수가 되고 말았다. 그래도 시즌 전에 받던 우려에 비하면 지금까지는 꽤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편이다.

4월 15일 키움 히어로즈전 선발로 출전했다. 4이닝 83구 5피안타 5실점(3자책) 2볼넷 3K로 부진하였다. 다행이 팀은 역전에 성공하여 승리하였다.

4월 20일 삼성 라이온즈전 선발로 출전했다. 5.1이닝 1실점으로 볼넷을 4개나 내주는 등 제구가 불안했지만 꾸역꾸역 잘 막아냈고 승리 요건을 채운채로 내려갔으나 불펜들의 방화로 2실점을 하는 바람에 첫 승에 실패했다. 다행히 팀은 1점을 더 득점하고 이후엔 더 이상의 실점없이 잘 막아내서 승리했다.

올시즌 들어와서 승리는 없지만 다시 본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월 26일 두산 베어스전 4선발[2]로 출전해 4.1이닝 3실점(1자책)을 기록했다. 2회에 2점을 주고 5회에 1사 3루의 상황에서 내려왔다. 3루 주자가 홈인하며 3실점을 기록했지만 롯데 타선이 6회 이후에 불타오르며 무려 7점을 뽑아내 패전은 면했다. 작년의 업보를 그대로 치르는 듯 승운이 없는 모습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

3.3. 5월

5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5월 2일 NC전에서는 6⅓이닝동안 무실점으로 간만에 QS를 달성하며 호투했으며 승리요건을 갖춘채로 내려갔으나 타선에선 2득점밖에 지원을 못했고 불펜진들이 3실점으로 방화를 저지르면서 또 다시 승리가 날아가버렸다.[3] 이로써 7경기 연속 무승중이다.[4] 다행히 팀은 4-3으로 승리하며 어찌저찌 4연승을 성공했다.

5월 10일 KT전에서는 여태까지의 행운을 평균회귀로 돌려받 듯 1회 5피안타, 3회 2피홈런을 포함해 3이닝 71구 1사사구 8피안타(2피홈런) 5실점로 두들겨 맞으며 강판당했다.[5] 그나마 고승민의 동점 홈런으로 패전이 지워지며 노디시전이 되었고, 타선들이 추가점을 내주면서 팀은 또 승리했다. 이로써 8경기 연속 무승중이다.

5월 15일 KIA전 1회에는 잘 막았으나 2회부터 어째 불안한 느낌이 나오더니 3회에 무려 5실점을 했다. 기록은 5⅔이닝 10피안타 2사사구 3K 6실점(6자책)을 기록했다. 팀도 6:7로 패배했으며, 패전투수가 됨으로써 9경기 연속 무승중이다.[6]

3.4. 6월

6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5. 7월

7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6. 8월

8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7. 9월

9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4. 총평

2025년 결산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5. 시즌 후


[1] 공교롭게도 그때와 방송사, 캐스터, 아나운서, 구장까지 모두 같다.[2] 본래 4선발이었던 김진욱이 부진하며 2군에 내려갔고 박진이 5선발을 차지할 전망이다.[3] 김원중이 2사 만루에서 2루 견제를 하려 할 때 3루 주자가 루상에 걸리자 다급해하며 송구하라고 소리치기도 했고 풀카운트에서 밀어내기로 자신의 승리를 날리자 매우 절망하는 모습을 보였다.[4] 현재 평균자책점이 3.00으로 리그 전체 17위/토종 선발 10위인데(심지어 류현진보다도 ERA가 낮다.) 승이 하나도 없다! 이쯤되면 나크라이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다.[5] 이번 경기 전까지 나균안의 투수 시절 통산 BABIP은 0.356이었으나 25시즌에는 이보다 6푼 가까이 낮은 0.296을 기록 중이고, FIP는 4.22로 평균자책점에 비해 1.22나 높았다. 결국 여태까지의 비정상적인 실점 억제는 롯데 야수진의 수비와 나균안의 행운 덕에 틀어막고 있었다는 뜻이 된다.[6] 다만 유격수 방면의 타구를 박승욱이 단 하나도 처리해주지 못한 탓이 크다. 그나마 5.2이닝까지 맡으면서 불펜소모를 최소화 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