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01:03:55

김일봉(고려)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고려 첨의좌시중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김일봉
金逸逢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출생 ?
사망 1365년
본관 ?[1]
성명 김일봉(金逸逢)
주요 관직 영도첨의
첨의좌시중
첨의우시중
판삼사사
봉호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고려 후기 영도첨의, 첨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2. 생애

1339년(충혜왕(후) 즉위년) 12월 신백(辛伯)과 함께 원나라에 하정사(賀正使)로 파견되어 신년 하례하였다. 1351년(공민왕 즉위년)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가 되었다. 1352년(공민왕 1) 6월 연저수종공신 1등(上)에 녹훈되었다.

1352년(공민왕 1) 9월 조일신(趙日新)이 난을 일으킨 후 위협하여 자기를 따르게 하니 이에 응해 서로 모의하였고, 동년 10월 2일 평리(評理)가 되었다. 동년 10월 4~5일 조일신이 잡히고 처형됨으로써 난이 진압되었다.

1356년(공민왕 5) 5월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었고, 동년 7월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었다. 1358년(공민왕 7) 2월 중서평장사(中書平章事)가 되었다. 1362년(공민왕 11) 6월 판삼사사(判三司事)로서 원나라에 파견되어 방물(方物)을 바쳤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난리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1363년(공민왕 12) 3월 판삼사사로 있으면서 호종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1363년(공민왕 12) 5월 류탁(柳濯)이 좌시중(左侍中)이 되었는데 이때 김일봉은 우시중(右侍中)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년 11월 경복흥(慶復興)이 수첨의시중[2]으로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이때쯤 류탁이 좌시중에서 물러나고 김일봉이 좌시중으로 승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1364년(공민왕 13) 2월 영도첨의(領都僉議)가 되었다.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에 봉해졌으나 시기는 불명이다.

1365년(공민왕 14) 4월 사망하였다.

1369년(공민왕 18) 10월 공민왕은 참지문하 대장군 최백(崔伯), 류운(柳雲)을 보내어 시중 김일봉의 딸을 원나라 오왕(吳王)[3]에게 시집보냈다.
[1] 본관이 평양, 평택, 평산 등일 때 평산부원군을 봉호로 하지만 김일봉의 본관이 어디인지는 확실치 않다.[2] 우시중으로 추정된다.[3]혜종(惠宗)의 차남 백안첩목아(伯顔帖木兒)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