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축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김승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승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승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축구 선수: }}}[[김승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승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승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김승대 Kim Seung-dae | |
| |
<colbgcolor=#44352f><colcolor=#eae5d9> 출생 | 1980년 5월 1일 ([age(1980-05-01)]세) |
경기도 수원시 | |
국적 |
|
신체 | 180cm, 67kg |
학력 | 송림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 학사) |
데뷔 | 2006년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
취미 | 영화 감상, 테니스 |
링크 | |
서명 |
1. 개요
대한민국의 뮤지컬, 연극 배우.
2. 특징
대본을 해석하고 캐릭터를 구축하는 능력, 섬세하고 입체적인 연기가 발군이다.2시간 남짓한 공연을 보고 있으면 해당 역의 인생이 그려지는 배우. 스토리상 허점이 있어도 극 중 캐릭터의 이야기로 그 틈을 촘촘하게 채워 넣는, 뮤지컬계 대표적인 캐릭터 깎는 장인.
노래로 감정을 전하는 뮤지컬의 특성을 연기 중심으로 해석해 풀어내는 데 능하며, 텍스트를 깊이 파고들어 자신을 그 안에 녹여내는 방식의 연기를 선보인다. 악보 해석 역시 이러한 접근과 맞닿아 있는 정공법에 가깝다.
한 장면 안에서 복합적인 감정을 동시에 표현하는 데 탁월하다.[1] 말투의 어미 변화처럼 작은 요소에서부터 캐릭터의 인생과 감정의 결을 정교하게 그려 낸다. 이처럼 촘촘하게 구성한 디테일들을 극 전체의 메시지와 캐릭터의 삶을 관통하는 서사로 잇는다. 축적한 감정과 흐름을 하이라이트에서 폭발시키고, 작품과 캐릭터가 품은 이야기를 선명하게 드러내며 깊은 인상을 남긴다. 유기적이고 섬세한 디테일로 서사 전체를 이끄는, 밀도 높은 연기를 선보이는 배우.
특유의 캐릭터 구축 능력과 감수성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작품이 재연, 삼연, 오픈런을 거쳐도 그가 맡은 캐릭터는 역대 캐릭터들과 한 포인트씩 다르다. 대본, 동선, 넘버도 모두 정해져 있는데 무엇이 그리 달라졌냐고 할 지 모르지만, 다르다. 대표적으로 <햄릿 월드버전> 햄릿, <몬테크리스토>의 에드몬드 단테스[2], <그날들>의 무영 그리고 <공동경비구역 JSA>의 김수혁, <킬롤로지>의 폴 등이 있다.
악역을 연기할 때도 단순한 악인이 아니라, 자신만의 논리를 가진 입체적인 인물로 설득력 있게 그려낸다. 인물이 자신의 행동을 끊임없이 되짚고, 이를 합리화거나 받아들이는 과정을 설득력 있게 그려내며, 단순한 선악 구도를 넘어서는 복잡하고 입체적인 캐릭터를 구축한다.[3][4]
이러한 감수성과 해석력, 표현력 때문에 비극을 할 수록 돋보인다. 다만 배우는 틀 안에 갇히기 싫은지, 은근 희극 쪽 필모도 많은 편.
한 번 했던 역할로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지나간 캐스팅은 돌아오지 않는다의 정석 같은 인물. 아래 필모그래피만 봐도 겹치는 역할이 거의 없다.[5] 이 때문에 종종 돌아와 달라고 울부짖는 팬들의 모습도 볼 수 있다.
겉모습만 보면 해맑은 미소를 짓고, 예쁜 눈으로 눈물을 흘리는 배우로 기억될 수 있으나, 킥복싱 아마추어 선수 경력과 해병대를 다녀온 갭모에를 지녔다. 덕분에 몸을 매우 잘 쓰는 편. 격투 장면들이 포함된 작품에서는 비범한 몸눌림을 보여준다.[6] 그리고 굉장한 동안이다. 몇 년째 얼굴에 변화가 없다.
3. 출연 작품
3.1. 뮤지컬
<rowcolor=#f7f4ee>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006 | 지킬 앤 하이드 | 앙상블 | 데뷔 |
2007 | 인당수 사랑가 | 몽룡 | |
햄릿 | 레어티스 | ||
2008 | 햄릿 월드버전 | 레어티스 / 햄릿 | |
2009 | 사랑은 비를 타고 | 동현 | |
로미오 앤 줄리엣 | 티발트 | ||
두 드림 러브 | 명훈 | ||
2010 | 모차르트! | 쉬카네더 | |
몬테크리스토 | 알버트 몬데고 | ||
트라이앵글 | 경민 | ||
2011 | 내 마음의 풍금 | 강동수 | |
넌 가끔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 딴 생각을 해 | 철수 | ||
2012 | 엘리자벳 | 황태자 루돌프 | |
2013 | 몬테크리스토 | 에드몬드 단테스 / 몬테크리스토 | |
요셉 어메이징 | 요셉 | ||
그날들 | 강무영 | ||
2014 | 영웅 | 안중근 | |
태양왕 | 필립 | ||
그날들 | 강무영 | ||
2015 | 유린타운 | 바비 스트롱 | |
공동경비구역 JSA | 김수혁 | ||
2016 | 베어 더 뮤지컬 | 제이슨 | |
2017 | 햄릿 | 레어티스 | |
오! 캐롤 | 게이브 | ||
2019 | 씨블링스 (THE SIBLINGS) | 정주동 | |
2020 | 샤이닝 | 프로이트 / 쉐도우[7] | |
고스트 | 칼 브루너 | | |
2021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 벤자민 버튼 | 낭독극[8] |
2022 | 웃는 남자 | 데이빗 더리모어 | |
2024 | 노트르담 드 파리 | 페뷔스 | |
다윈 영의 악의 기원 | 니스 영 | ||
조로: 액터뮤지션 | 라몬[9] | [10] |
3.2. 연극
<rowcolor=#f7f4ee>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011 | 거미여인의 키스 | 발렌틴 | |
2013 | 웃음의 대학 | 작가 | |
2016 | Q | 싱페이 | |
2018 | 킬롤로지 | 폴 | |
시인, 백석을 기억하다 | 백석 | ||
2022 | 82년생 김지영 | 정대현 | |
2023 | 세일즈맨의 죽음 | 비프 로먼 | |
2025 | 신화 1900 | 작가 | 낭독극[11] |
3.3. 콘서트
<rowcolor=#f7f4ee> 공연일 | 제목 | 비고 |
2010 | 콘서트D | |
2013 | K 뮤지컬 스타 콘서트 K - Musical Stars Concert | 도쿄 / 서울 |
Christmas Concert | 도쿄 | |
2014 | VOICE OF WONDERS | 도쿄 |
Sweet Dreams in Spring 팬미팅 | 도쿄 | |
2015 | 한정림의 음악일기 | |
유메토모 <절친이야기2> | 도쿄 | |
2017 | Thanks Concert [12] | |
THE MUSICAL FESTIVAL in GALAXY | ||
2018 | 뮤지컬 토크 콘서트 | |
스타라이트 뮤지컬 페스티벌 | ||
2024 | 뮤지컬 갈라콘서트 in 안중근의사기념관 | |
2025 | 베어 더 뮤지컬 10주년 콘서트 |
3.4. 드라마
<rowcolor=#f7f4ee>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2016 | | TV소설 저 하늘에 태양이 | 허칠봉 | # |
3.5. 광고
<rowcolor=#f7f4ee> 연도 | 기업명 | 배역 | 비고 |
2005 | KCC 건설 | 프리랜서 | |
DHL | 비즈니스맨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 <rowcolor=#F2E8C4> 연도 | 콰지모도 | 에스메랄다 | 그랭구와르 | 프롤로 | 페뷔스 | 클로팽 | 플뢰르 드 리스 | |
2008 초연&앙코르 | 윤형렬, 김법래 | 오진영, 문혜원, 바다 | 김태훈, 박은태, 김수용, 박민성 | 류창우, 서범석, 김도형 | 김태형, 김성민, 최수형 | 문종원, 이정열, 임호준 | 곽선영, 김정현 | ||
2009 재연 | 윤형렬, 조순창 | 박은태, 김수용, 전동석 | 서범석, 서태화 | 박민성, 최수형, 김성민 | 문종원, 임호준 | ||||
2013 삼연&앙코르 | 홍광호, 윤형렬 | 바다, 윤공주, 문혜원 | 마이클 리, 정동하, 전동석 | 민영기, 최민철 | 김성민, 박은석 | 문종원, 조휘 | 이정화, 안솔지 | ||
2016 사연&앙코르 | 홍광호, 케이윌, 문종원 | 윤공주, 린아, 전나영 | 마이클 리, 김다현, 정동하 | 서범석, 최민철 | 오종혁, 이충주 | 문종원, 박시원 | 김금나, 정다은 | ||
2018 오연 | 케이윌, 윤형렬 | 윤공주, 차지연, 정유지 | 마이클 리, 정동하, 최재림 | 서범석, 민영기, 최민철 | 최수형, 이충주, 고은성 | 박시원, 장지후 | 이지수, 이봄소리, 함연지 | ||
2024 육연 | 정성화, 양준모, 윤형렬 | 유리아, 정유지, 솔라 | 마이클 리, 이지훈, 노윤 | 이정열, 민영기, 최민철 | 김승대, 백형훈, 이재환 | 박시원, 장지후, 김민철 | 케이, 유주연, 최수현 | ||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웃는 남자(뮤지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연도 | 그윈플렌 | 우르수스 | 조시아나 여공작 | 데아 | 데이빗 더리모어 경 | 페드로 | 앤 여왕 |
2018 | 박효신, 박강현, 수호 | 정성화, 양준모, 문종원 | 신영숙, 정선아 | 민경아, 이수빈 | 강태을, 조휘 | 이상준 | 이소유, 김나윤 | |
2020 | 이석훈, 규현, 박강현, 수호 | 민영기, 양준모 | 신영숙, 김소향 | 강혜인, 이수빈 | 최성원, 강태을 | 김경선, 한유란 | ||
2022 | 박효신, 박은태, 박강현 | 이수빈, 유소리 | 최성원, 김승대 | 진도희, 김영주 | ||||
2025 | 박은태, 이석훈, 규현, 도영 | 서범석, 민영기 | 김소향, 리사 | 이수빈, 장혜린 | 강태을, 박시원 | 문성혁 | 김영주, 김지선 | |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연도 | 피터 | 제이슨 | 아이비 | 맷 | 나디아 |
2015 | 정원영, 윤소호, 이상이 | 성두섭, 전성우, 서경수 | 문진아, 민경아 | 배두훈 | 이예은 | |
2016 | 정원영, 손승원, 박강현 | 김승대, 성두섭, 서경수 | 최서연, 민경아 | 주민진 | 지우림 | |
2017 | 윤소호, 강찬, 정휘, 정원영 | 임준혁, 노윤, 성두섭, 고상호, 서경수 | 양서윤, 허혜진 | 이동환, 도정연 | 김지혜 | |
2020 | 기세중, 오승훈, 정휘, 김리현 | 문성일, 임준혁, 홍승안, 김진욱 | 허혜진, 임예진 | 이동환, 이봉준 | 정다예, 유희지 | |
2022 | 박정원, 김지훈, 윤석호 | 유현석, 윤승우, 김제하 | 임예진, 신한결 | 조성태, 박상준 | 박지현, 박슬기 | |
2024 | 박정원, 임재윤, 윤석호, 홍기범 | 한서원, 최재웅, 김재한, 이석준 | 선유하, 조디아나 | 유재하, 크리스영, 박상준 | 남가현, 장보람 | |
2025 | 진호, 박준휘, 강병훈 | 윤승우, 김재한, 김수호 | 성민재, 남가현 | 장현동, 황건우 | 정예주, 김이진 | |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9em; letter-spacing: -.5px" | 연도 | <rowcolor=#b48d40> 황후 엘리자벳 | 죽음 | 루케니 | 황제 프란츠 요제프 | 대공비 소피 | 황태자 루돌프 | |
2012 초연 | 김선영, 옥주현 | 류정한, 송창의, 김준수 | 김수용, 최민철, 박은태 | 윤영석, 민영기 | 이소유, 이태원 | 김승대, 전동석, 이승현 | ||
2013 재연 | 옥주현, 김소현 | 김준수, 박효신, 전동석 | 이지훈, 박은태 | 민영기, 이광용 | 이소유 | 김이삭, 노지훈 | ||
2015 삼연 | 옥주현, 조정은 | 신성록, 최동욱, 전동석 | 김수용, 최민철, 이지훈 | 윤영석, 이상현 | 김순택, 우지원, 백형훈 | |||
2018 사연 | 옥주현, 김소현, 신영숙 | 김준수, 박형식, 정택운 | 이지훈, 강홍석, 박강현 | 민영기, 손준호 | 이소유, 이태원 | 윤소호, 최우혁 | ||
2022 10주년 | 옥주현, 이지혜 | 신성록, 김준수, 노민우, 이해준 | 이지훈, 강태을, 박은태 | 민영기, 길병민 | 임은영, 주아 | 진태화, 장윤석, 이석준 | ||
{{{#!wiki style="margin:0 0 4px" |
[1] 특히 웃는 동시에 우는 표정 연기는 그의 전매특허 필살기.[2] 복수극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몬테크리스토를 절절한 사랑극으로 변모시켰다. 몬테크리스토는 보통 1막 마지막 곡인 <너희에게 선사하는 지옥>이 대표 넘버로 꼽히기 마련인데, 승대몬테의 대표 넘버는 2막의 <과거의 내 모습>이다. 이 넘버에서 잔학무도한 몬테크리스토 백작에서 과거의 빛나던 에드몬드 단테스로 다시 돌아가는 복잡 미묘한 감정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했다. 그다지 길지 않는 넘버임에도 깨달음, 참회, 속죄, 용서, 이해, 감사, 사랑, 약속, 후련 등 온갖 감정이 드러나며, 동시에 에드몬드 단테스라는 인물에 대해 깊게 이해하게 하여 극을 완성한다.[3] <샤이닝>의 프로이트, <고스트>의 칼 브루너, <웃는 남자>의 데이빗, <노트르담 드 파리>의 페뷔스, <다윈 영의 악의 기원>의 니스 영, <조로>의 라몬 등. 최근 필모는 8할이 악역이다 [4] 물론 <Q>의 싱페이처럼 사연 없는 악역 역시 뛰어나게 표현한다.[5] 10년 만에 햄릿의 레어티스 역으로 돌아왔다.[6] 칼싸움보다 춤이 더 어렵다고 한다[7] 역할을 번갈아 공연했다.[8] CJ 스테이지업 리딩쇼케이스.[9] 작중 풀네임은 라몬 알베르토 몬테로 데 라 베가.[10] 뮤지컬 작품이나, 라몬은 작중에서 유일하게 넘버가 없는 배역이며, 대사로 극을 이끌어간다.[11] 서울연극센터 개관 페스티벌 낭독극.[12] 조광화 연출 데뷔 20주년 기념 콘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