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08:37:11

관악 현대아파트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ffffff 자치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

파일:관악현대전경.jpg 파일:154570.jpg
관악 現代
파일:현대아파트 BI.svg
<colbgcolor=#D8B89A><colcolor=#010101> 명칭 관악 현대아파트
종류 아파트
브랜드 현대아파트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40길 60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1000)[1]
입주 1992년 4월
동수 26개동
층수 지상 12~15층
세대수 2,134세대
면적[2] 76㎡, 94㎡, 98A㎡, 98B㎡,
120㎡, 131N㎡, 131S㎡, 138㎡
주차대수 2,561대[3]
시공사 현대건설

1. 개요2. 주변 환경
2.1. 교통
2.1.1. 버스2.1.2. 지하철
2.2. 교육
3. 관련 문서

1. 개요

서울특별시 관악구 청림동에 위치한 2,134세대의 대단지 아파트. 1992년에 현대건설이 봉천 1구역을 재개발했다.

서울특별시의 한강 이남 중앙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대표적 업무지구인 여의도, 용산, 강남을 모두 자차 기준 2~30분대에 주파할 수 있는 입지적 특징을 자랑한다. 언덕만 아니었어도 특이한 점은 관악구에 위치해 있으나 동작구와 인접해 있어 관악구와 동작구 생활권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4]. 동작구, 관악구를 아우르는 대단지인만큼[5] 동에 따라 주소지 또한 관악구, 동작구가 혼재되어있다. [6][7]

특징으로서, 이 단지는 5515번 버스가 단지 안쪽까지 들어갔다가 돌아 나가는 회차지점이라서[8] 서울대입구역 쪽으로 나갈 때는 어지간하면 앉아서 갈 수 있고, 게다가 배차 간격도 굉장히 좋다. 2호선 서울대입구역, 7호선 숭실대입구역을 이용하기 용이하며 가까운 동에 따라 8분 이내 숭실대입구역 도보 이용이 가능하다.

언덕이라는 단점이 있으나 단지 내 단차는 크지 않고, 단지 내 유치원, 인접한 초등학교, 중학교 및 인근 국립서울현충원 둘레길 등 녹지가 풍부하여 유해시설 없이 쾌적한 환경인 것이 장점이다. 단지 내에 청림동 주민센터가 있어 각종 행정처리나 투표 등을 하기에 용이하다.

단지 밑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지나간다. 하지만 7호선이 워낙 깊어 소음은 없다고 한다.

단지 바로 옆에 봉천 14구역 대단지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9]. 시공사는 GS건설이며, 가칭 "관악 자이 포레시티"로서 지하 4층~지상 27층 높이, 18개 동 1571가구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 등으로 건립될 예정이라고 한다[10]. 재개발이 완료될 경우 그 일대 전체가 현대아파트를 비롯해 관악푸르지오, 성현동아, 관악드림타운 등을 포함, 1만 세대가 넘는 거대한 대단지 아파트촌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주변 환경

2.1. 교통


직접 용산, 서울역, 서대문, 을지로 등 도심으로 향하는 버스 노선(750, 501, 506), 노량진역(1호선, 9호선)으로 향하는 버스 노선(5517, 641, 650, 752), 여의도행 노선(753) 등 버스 노선이 매우 다양하다.

한편,
봉천고개 양쪽 밑에 2호선과 7호선 역이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게 어떤 의미냐면 서울 서남부 권역의 경우 대중교통 특히 전철망이 잘 갖춰져 있지 않은데 반해 이 단지는 강남 진입이 가능한 노선이 2개가 있는 것.[11] 말만 무성한 서부선은 2028년 준공된다는 얘기가 있다가 수익성 문제로 아직 착공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 시간약속이 있을 때 전철을 이용해야 안심이 되는 걸 생각하면 양 옆으로 지하철이 다니는 단지인 점은 상당한 강점.

상술하였듯 입주민들은 단지 내에 회차지점이 있는 5515번 버스를 자가용으로 여기며 이용한다. 2호선 서울대입구역까지 언제나 앉아서 이동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함.

특히,
인근 아파트 단지와 달리 올림픽 대로 및 노들로와 연결되는 경로에 속해있어 간선도로 진입경로임을 아는 이들은 사유지임에도 제 집 드나들 듯 단지 내 도로를 이용한다. 출근시간 대에는 이 차들 때문에 단지 내 도로의 흐름이 일시정지된다.

상도터널을 지나 한강대교에서 유턴을 받아 노들로로 진입할 수 있지만 한강대교는 상습정체구간인데다 정체되어 있지 않은 때 한강대교 북단으로부터 레이싱하듯 전속력으로 달려오는 차들을 피해서 유턴을 받는 일은 생각보다 성가신 일.

이런 소소하지만 강력한 편리함 때문에 한때는 단지 내 도로임에도 덤프트럭이 지나다니는 희한한 광경이 보이기도 하였으나 다행히 신호등 횡단보도가 생기고 도로 가에 위치한 현대유치원 덕분에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설정되었으며 30키로 단속카메라[12]가 양쪽 방향에 각각 설치되면서 대형차량의 진입이 없어졌다.

단지 내 도로는 관악현대아파트 사유지이므로 소유권 행사 차원에서 입주민대표회의가 도로 입구(강남교회 쪽)에 출입 게이트를 설치하는 등 노력을 하였으나, 관악구청이 불허하였다. 다만 현재까지도 불씨는 남아있다.[13]

방배동 정보사 부지 이전으로 서리풀 터널이 개통되어 상현중학교 옆길을 통해 사당로로 진입하여 서초역~강남역으로 직진출할 수 있게 되었고[14] 때마침 사당 5구역 재개발이 완료되고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 단지 입주민의 교통편의를 위하여 숭실대 중문 앞 공터가 회차기점이었던 751번 버스노선이 서울교대 쪽 지하철 2, 3호선 환승역인 교대역까지 연장되어 교통이 한층 더 편리해졌다.[15]

2.1.1. 버스

청림동 현대아파트 (20332, 20333, 21379)[16]
<colbgcolor=#53b332>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서울 버스 5515
봉천고개. 현대아파트 (20168)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501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506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641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650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750
<colbgcolor=#53b332>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서울 버스 5511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서울 버스 5517
숭실대별관앞 (20171)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040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742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752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서울 버스 6019
숭실대중문앞 (20169)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서울 버스 753
봉천고개. 현대아파트 (20986)
<colbgcolor=#53b332>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울 버스 동작13
봉천고개. 현대아파트 (20791)
<colbgcolor=#53b332>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울 버스 관악01

2.1.2. 지하철

역 이름 노선
서울대입구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숭실대입구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남성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2.2. 교육


이전까지
초등학교의 경우 서울봉현초등학교, 중학교의 경우 도보 5분 내 등교가 가능한 상현중학교 또는 상도중학교로 근거리 기준으로 배정되던 것이[17]

2025년 기준,
서울시 교육청의 학교군 설정 및 학생배정방법 고시(제2023-14호)에 따르면,
도보 5분 내 통학이 가능한 상현중학교, 상도중학교에 배정받을 수 있는 지역에서 관악구는 제외되어있다.

※ 상현중학교, 상도중학교 배정 가능지역
노량진1동(33통~52통), 흑석동, 상도1동, 사당1~5동

따라서, 원칙적으로
관악현대아파트 내 관악구 행정관할 아파트동에 거주 중인 초6들은 단지에 인접해있어 도보 5분내 등교가 가능한 상현중학교, 상도중학교 가 아닌 버스를 타거나 도보 25분 이동을 해야하는 봉원중, 구암중으로 배정받게 된다.

(관악현대아파트 초6 배정 중학교 : 구암중, 봉원중, 관악중, 인헌중, 당곡중)

심지어 인헌중, 관악중은 낙성대역 부근이라 버스 및 전철로 등교하는데 40분 이상, 당곡중의 경우 보라매공원 인근이라 등교시간이 1시간 정도 소요. 전형적인 탁상행정의 사례.[18]

서울시 교육청은 2025년 10월 초6들에게 위장전입 하지 말라는 경고성 안내문을 발송하였고 최근에 발급된 주민등록등본을 제출하라고 지시한 상태이다.

3. 관련 문서


[1] 후술할 바와 같이 일부 동은 동작구 상도동 소속.[2] 대한민국 아파트 소형 평수의 대표주자인 23평(76㎡, 전용면적 59㎡), "국평"으로 불리는 29평(98㎡, 전용 84㎡)뿐만 아니라 그 중간 크기인 28평(94㎡, 전용 68㎡)을 비롯해 36평(120㎡, 전용 105㎡), 39평(131㎡, 전용 116㎡), 41평(138㎡, 전용 123㎡) 등 다양한 평수가 혼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3] KB부동산 기준, 세대당 주차대수 약 1.2대[4] 실제로 현대아파트의 경우 인근 대단지 아파트인 관악푸르지오, 관악드림타운 등에 비해 2호선 서울대입구역 방면보다는 7호선 숭실대입구역 쪽과 위치상 더 가까운 편이며, 특히 단지 북쪽은 숭실대 캠퍼스와 거의 붙어 있어 숭실대 대학가와 상권이 겹친다.[5] 특히 아래 사진과 같이 현대아파트는 봉천동의 북동쪽 끝 부분으로서 동작구 안쪽으로 깊숙이 침투(?)해 있기 때문에, 단지 자체가 서쪽으로는 동작구 상도동(상도 삼호아파트)과, 동쪽으로는 동작구 사당동(사당 롯데캐슬 골든포레)과 아예 붙어있다(!). 왜 동작구가 아닌거지 파일:456123.jpg[6] 즉 일부 동(구가 바뀌는 위치에 있는 동)의 세대에선 집 안에서 저쪽 방은 관악구,이쪽 방은 동작구라는거다(...). 그래서 같은 관악 현대아파트에 속하고 단지 내 커뮤니티나 상가, 주차공간도 공유하지만 어떤 동은 전입신고나 종량제 봉투 등을 동작구 쪽으로 하고, 어떤 동은 관악구 쪽으로 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7] 106동과 107동, 그리고 108동의 일부(..)가 동작구 상도동 관할이다. 같은 아파트 단지 내에서 동도 아니고 구가 달라지는건 무슨 개떡같은 행정처리냐 파일:상도동 관악현대.jpg[8] 아래 사진 좌측 부분과 같이 단지 내에 2호선 서울대입구역 방향을 오가는 지선버스 정류장이 있다. 파일:192408.jpg[9] 파일:봉천14구역.jpg[10] 다만 관악현대아파트와는 조망권 침해 문제 및 통행로 문제로 인해 다소 트러블이 있다고 한다.[11] 2호선은 강남역, 7호선은 고속터미널역, 논현역, 강남구청역[12] 어린이보호구역 과태료 2배 중과적용. 신호위반과태료 12만원, 속도위반과태료 6만원. ※ 대형차량의 경우 각각 14만원, 7만원[13] 설치했던 게이트는 126동 뒷편 공터로 옮겨져 있다[14] 서리풀 터널이 개통되기 전에는 서초 쪽으로 차량이동이 매우 불편했었다. 지하철 7호선 내방역 사거리에서 서초역으로 넘어가는 길목이 정보사 가 위치한 언덕에 막혀 있었으므로 직진이 안되고 2호선 방배역 쪽으로 돌아서 서울고등학교 사거리에서 서초역 쪽으로 역ㄷ자 로 우회해야만 했다. 전도연, 하정우 주연 영화『멋진 하루』의 마지막 부분에 전도연이 하루 내내 우여곡절을 겪고나서 하정우를 내방역 앞에서 내려주고나서 언덕 우회로를 통해서 U턴해나가는 장면 참고[15] 노선이 연장되면서 노선번호가 742로 변경되었다[16] 21333 이 회차지점. 108~126동 주민이 애용한다. 20332 및 21379 는 101~107동 주민이 승차/하차하는 정류장.[17] 2025년 기준으로 상현중학교 의 경우, 등교거리 가 멀어 버스를 타야 등교가 가능한 엠코타운 학생들이 배정받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음. 엠코타운 학생들은 단지에서 가까운 국사봉중학교로 배정을 하는 것이 맞지 않을지.[18] 106~108동은 동작구 관할 아파트동이어서 상도중학교로 배정되고 나머지 아파트동은 관악구 내 중학교로 배정된다는 얘기. 이럴거면 그냥 단지를 통째로 동작구로 이관시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