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과테말라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과테말라 풋살 국가대표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과테말라 풋살 국가대표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풋살 대표팀: }}}[[과테말라 풋살 국가대표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과테말라 풋살 국가대표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과테말라 풋살 국가대표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
| | | |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마르티니크 | |
| | | | |
멕시코 | 몬트세랫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
| | | | |
보네르 | 생마르탱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 | |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신트마르턴 | 아루바 | |
| | |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엘살바도르 | |
| | |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
| | | | |
케이맨 제도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
| | |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 | |
|
프랑스령 기아나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112185> | 중앙아메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112185;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 |
벨리즈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온두라스 | 파나마 | 엘살바도르 | }}}}}}}}} |
| |
과테말라 축구 국가대표팀 | |
Selección de fútbol de Guatemala | |
정식명칭 | Selección de fútbol de Guatemala[1] |
FIFA 코드 | GUA |
협회 | 과테말라 축구 연맹 (FENAFUTG)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지역연맹 | 중앙아메리카 축구 연맹 (UNCAF) |
감독 |
루이스 페르난도 테나 (Luis Fernando Tena) |
주장 | 호세 카를로스 핀토 (José Carlos Pinto) |
최다출전자 | 카를로스 루이스 (Carlos Ruíz) - 133경기 |
최다득점자 | 카를로스 루이스 (Carlos Ruíz) - 68골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도로테오 구아우치 플로레스 (Estadio Doroteo Guamuch Flores, 30,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온두라스 (10:1 승),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 (1921년 9월 14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앵귈라 (10:0승)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 (2019년 9월 5일) VS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10:0승)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 (2021년 6월 5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코스타리카 (1:9 패), 코스타리카 산호세 (1955년 7월 24일) |
별칭 | La Azul y Blanco (파랑-흰색), Los Chapines (차피네스) |
골드컵 | 진출 18회, 우승 1회 (1967) |
올림픽 | 진출 3회 (1968, 1976, 1988) |
FIFA 랭킹 | 100위[2] |
Elo 랭킹 | 82위[3]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9 | 10 |
양말 |
1. 개요
과테말라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루이스 페르난도 테나다. 차피네스(Los Chapine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50위(2006년 8월 16일), 최저 순위는 163위(1995년 11월 21일)이다.
2. 상세
이웃 멕시코,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와 더불어 축구가 국민 스포츠로 여겨지는 나라이다. 그러나 아직 월드컵 본선에는 한 번도 오르지 못하였다. 오래전인 1967년 북중미 대륙 대회인 골드컵 우승 및 1996년 이 대회 4강(4위)가 그나마 내세울 성적. 2014 브라질 월드컵 지역 3차예선에선 미국과 앤티가 바부다,자메이카와 같은 조에 올라와 자메이카와 같이 2위 자리를 두고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5차전까지 미국과 1,2위를 다투는 선전을 벌였다. 하지만 마지막 6차전은 미국 원정이라 조 2위로 만족해야 할 듯. 그래도 2위라도 최종예선 진출권을 얻을 수 있었는데 마지막 6차전 미국원정에서 1-3으로 지면서 자메이카와 같은 3승 1무 2패가 되었으나 골득실에서 2점이 뒤쳐져서 조 3위로 탈락했다.북중미 지역에서 월드컵 본선을 밟지 못한 나라들 중에서는 사실상 가장 전력이 강한 나라이다. 월드컵 지역예선 승점이 178점, 총 49승 31무 42패에 194득점, 150실점으로 북중미 7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멕시코, 코스타리카, 미국,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트리니다드 토바고 다음으로 높은 수치로, 6위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14점 차이에 불과하고, 월드컵에 진출한 적이 있는 자메이카, 아이티, 쿠바[4]보다 높은 기록이며 캐나다와 승점 동률을 이루고 있다. 심지어 유럽의 터키, 크로아티아, 노르웨이, 남미의 에콰도르, 페루, 아프리카의 코트디부아르, 알제리와 같은 강호들보다 많은 승점을 쌓아올렸다. 비록 북중미 지역 예선이 경기 수가 타 대륙보다 월등히 많기 때문에 이것에서 얻는 어드벤티지가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실력이 완전히 바닥이면 이 예선에서조차 라운드를 넘지 못하고 탈락할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므로 마냥 평가절하만 할 수는 없는 부분이다.
또한, 골드컵에서는 3회 연속 2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고 심지어 우승까지 한번 기록한 적이 있다. 대략 60년대 중후반의 기록으로 50여년 가까이 지난 아득히 먼 얘기지만, 현재도 골드컵에 지속적으로 진출은 하고 있을 정도로 기본적인 실력이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다만 고만고만한 중상위권 정도의 전력을 가지고 있는 탓에 번번히 월드컵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한 방 터뜨릴 수 있는 계기가 생긴다면, 아마 머지 않은 미래에 월드컵 본선에서 만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팀이다.
그러나 2016년 10월에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징계가 풀릴 경우 새로 시작하는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 리그 C로 배정 받는다. 다행히 2018년 5월, 징계는 해제되어 과테말라 대표팀은 CONCACAF 네이션스 리그부터는 정상적으로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2019년 9월, 10월에 열린 네이션스 리그에서 4전 전승을 거두고 차기 시즌 리그 B 승격과 2021 CONCACAF 골드컵 예선 플레이오프 1라운드 진출권을 획득했다. 원래 전력 상으로는 리그 B에서도 상위권이기 때문에, 대진운만 잘 걸린다면 골드컵 본선도 노려볼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7월 골드컵 플레이오프에서 가이아나를 4-0으로 가볍게 꺾고 2라운드에 진출했지만, 과들루프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전끝에 아쉽게 지면서 눈앞에서 골드컵 복귀를 놓쳤다...... 그런데 퀴라소가 COVID-19 집단감염으로 인해 대회에서 기권하게 되었고, 이 출전권이 골드컵 플레이오프에서 떨어진 팀 중 가장 성적이 좋았던 과테말라에게 양도되어, 과테말라는 기적적으로 골드컵 본선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 FIFA 자격정지 이후 처음으로 첫 메이저 대회 본선이며, 6년만의 골드컵 진출이다.
과테말라 축구의 레전드는 MLS와 수페르리가 엘라다, 리가 MX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했던 공격수 카를로스 루이스가 단연 먼저 꼽힌다. MLS에선 통산 91골을 넣으며 리그 탑급 공격수로 손꼽혔었다. 대표팀에서도 과테말라 역사상 최다 A매치 출전기록[133경기]과 최다 득점기록[68골]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공격수였고, 2016년 은퇴하기 전까지 5번의 월드컵 예선에 출전해서 월드컵 예선에서만 39골을 득점하며 이 부분 세계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가 대표팀 주전으로 활약했을 때가 과테말라 대표팀에게도 가장 월드컵 본선과 가까웠던 시기였다는 것은 우연이 아닐것이다. 이 시기에 2006 독일 월드컵 최종예선 5위로 아깝게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되기도 했고, 2007년과 2011년 골드컵에서는 8강에 오르기도 했다.
2023년 6월 FIFA 랭킹은 자격 정지 여파로 인해 예전보다 많이 내려간 116위이다.
대표팀 선수론 주로 자국 리그 선수들로 구성되며 해외파들은 대부분 북중미 리그에서 뛰고 있다. 대표적인 해외파가 클루브 아메리카에서 뛰는 안토니오 로페즈가 있다. 이후 과테말라도 자국계 혼혈 선수나 이민 2세 선수들을 많이 끌어모았고, 노르웨이 출신의 니콜라스 하겐, 미국 출신의 아론 에레라, 영국 출신의 너새니얼 멘데스랭을 대표팀에 합류시키며 전력을 끌어올렸다. 이런 저런 노력을 한 결실로, 2023-24 시즌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A 승격에 성공하고 2023 CONCACAF 골드컵에서도 8강에 진출하는 등 다시 성적도 상승세다.
2025 CONCACAF 골드컵에선 8강에서 캐나다를 승부차기 접전 끝에 이기는 이변을 일으키며 29년 만에 골드컵 4강에 진출하였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엄브로이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과테말라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카를로스 루이스 | 132회 | 1998.11.18 | 2016.9.6 | |
2 | 기예르모 라미레즈 | 106회 | 1997.4.16 | 2012.5.25 | |
3 | 구스타보 카브레라 | 104회 | 2000.5.19 | 2012.4.25 |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rowcolor=#fff> 대회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30년 우루과이 | FIFA 비회원국 | ||||||||
1934년 이탈리아 | |||||||||
1938년 프랑스 | |||||||||
1950년 브라질 | 불참 | ||||||||
1954년 스위스 | |||||||||
1958년 스웨덴 | 예선 탈락 | ||||||||
1962년 칠레 | |||||||||
1966년 잉글랜드 | 출전 금지 | ||||||||
1970년 멕시코 | 예선 탈락 | ||||||||
1974년 서독 | 불참 | ||||||||
1978년 아르헨티나 | 예선 탈락 | ||||||||
1982년 스페인 | |||||||||
1986년 멕시코 | |||||||||
1990년 이탈리아 | |||||||||
1994년 미국 | |||||||||
1998년 프랑스 | |||||||||
2002년 한일 | |||||||||
2006년 독일 | |||||||||
2010년 남아공 | |||||||||
2014년 브라질 | |||||||||
2018년 러시아 | |||||||||
2022년 카타르 | |||||||||
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골드컵
<rowcolor=#fff>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엘살바도르 1963 | 조별리그 | 6위 | 4 | 1 | 2 | 1 | 7 | 6 | 3 |
과테말라 1965 | 결선리그[7] | 준우승 | 5 | 3 | 1 | 1 | 11 | 5 | 7 |
온두라스 1967 | 결선리그 | 우승 | 5 | 4 | 1 | 0 | 7 | 1 | 9 |
코스타리카 1969 | 결선리그[8] | 준우승 | 5 | 3 | 2 | 0 | 10 | 2 | 8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예선 탈락 | ||||||||
아이티 1973 | 결선리그[9] | 5위 | 5 | 0 | 3 | 2 | 4 | 6 | 3 |
멕시코 1977 | 결선리그[10] | 5위 | 5 | 1 | 1 | 3 | 8 | 10 | 3 |
온두라스 1981 | 예선 탈락 | ||||||||
개최국 없음 1985 | 조별리그 | 5위 | 4 | 2 | 1 | 1 | 7 | 3 | 5 |
개최국 없음 1989 | 결승리그[11] | 4위 | 6 | 1 | 1 | 4 | 4 | 7 | 3 |
미국 1991 | 조별리그 | 7위 | 3 | 1 | 0 | 2 | 1 | 5 | 2 |
미국/멕시코 1993 | 불참 | ||||||||
미국 1996 | 4강 | 4위 | 4 | 1 | 0 | 3 | 3 | 5 | 3 |
미국 1998 | 조별리그 | 7위 | 3 | 0 | 2 | 1 | 3 | 4 | 2 |
미국 2000 | 조별리그 | 10위 | 2 | 0 | 1 | 1 | 3 | 5 | 4 |
미국 2002 | 조별리그 | 12위 | 2 | 0 | 0 | 2 | 1 | 4 | 0 |
미국/멕시코 2003 | 조별리그 | 11위 | 2 | 0 | 1 | 1 | 1 | 3 | 1 |
미국 2005 | 조별리그 | 11위 | 3 | 0 | 1 | 2 | 4 | 9 | 1 |
미국 2007 | 8강 | 8위 | 4 | 1 | 1 | 2 | 2 | 5 | 4 |
미국 2009 | 예선 탈락 | ||||||||
미국 2011 | 8강 | 7위 | 4 | 1 | 1 | 2 | 5 | 4 | 4 |
미국 2013 | 예선 탈락 | ||||||||
미국/캐나다 2015 | 조별리그 | 12위 | 3 | 0 | 1 | 2 | 1 | 4 | 1 |
미국 2017 | 출전 금지[12] | ||||||||
미국/자메이카/코스타리카 2019 | |||||||||
미국 2021 | 조별리그[13] | 13위 | 3 | 0 | 1 | 2 | 1 | 6 | 1 |
미국 2023 | 8강 | 5위 | 4 | 2 | 1 | 1 | 4 | 3 | 7 |
미국/캐나다 2025 | 4강 | 3위 | 5 | 2 | 1 | 2 | 6 | 6 | 7 |
합계 | 본선진출 21회 / 우승 1회 | 81 | 23 | 23 | 35 | 93 | 103 | 78 |
5. 국가별 전적
5.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rowcolor=#fff> | | 장정 등 4명(1) | 2:0 승 (1984) | |||||
3 | 1 | 1 | 1 | 4 | 3 | +1 | ||
<rowcolor=#fff> | | 손흥민 등 3명(2) | 2:2 무 (2025) | |||||
15 | 4 | 3 | 8 | 20 | 31 | -11 | ||
<rowcolor=#fff> | | 조민국(2) | 2:0 승 (2025) | |||||
12 | 6 | 3 | 3 | 12 | 8 | +4 | ||
<rowcolor=#fff> | | 손흥민(2) | 4:1 승 (2013) | |||||
1 | 1 | 0 | 0 | 4 | 1 | +3 | ||
<rowcolor=#fff> | | 황의조(1) | 1:1 무 (2023) | |||||
1 | 0 | 1 | 0 | 1 | 1 | 0 | ||
<rowcolor=#fff> | | 문선민 등 9명(1) | 2:0 승 (2018) | |||||
3 | 3 | 0 | 0 | 9 | 0 | +9 | ||
<rowcolor=#fff> | | 이상윤, 김신욱(2) | 2:2 무 (2018) | |||||
4 | 2 | 2 | 0 | 7 | 3 | +4 | ||
<rowcolor=#fff> | | 이정협 등 5명(1) | 2:0 승 (2016) | |||||
5 | 2 | 1 | 2 | 5 | 4 | +1 | ||
<rowcolor=#fff> | | 이동국(2) | 2:2 무 (2022) | |||||
10 | 4 | 3 | 3 | 13 | 12 | +1 | ||
<rowcolor=#fff> | | 없음 | 0:0 무 (2002) | |||||
1 | 0 | 1 | 0 | 0 | 0 | 0 | ||
<rowcolor=#fff> | | 차두리(1) | 1:1 무 (2004) | |||||
1 | 0 | 1 | 0 | 1 | 1 | 0 | ||
<rowcolor=#fff> | | 박주호, 황인범(1) | 2:2 무 (2018) | |||||
1 | 0 | 1 | 0 | 2 | 2 | 0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3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nopad> 1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3 득점 (-1) | <nopad> 백중세 | 4 득점 (+1) |
<rowcolor=#fff> 차나 페르난데스 등 3명(1) | 최다득점자 | 이태호 등 4명(1)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1984) |
현재 3전 1승 1무 1패로 백중세를 기록하고 있다.
타대륙 간의 경기가 드물었던 1980년대 무려 3차례 맞붙었다. 그 첫 만남은 1983년 제1회 LA 4개국 친선대회에 초청받아 각각 첫 경기에서 패하여[17] 3위 결정전에서 마주하게 되었다. 여기서 1-1 무승부를 거두어 승부차기까지 갔으나 과테말라가 승리하였다. 안타깝게도 승부차기 기록은 현재 기록 불명이다.
5일 후 한국 대표팀은 그대로 중앙 아메리카 순방에 나섰고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와 2연전을 펼친다. 따라서 과테말라와 우연치 않은 2연전을 펼치게 되었다. 이 경기에서는 과테말라가 한국에 2-1로 승리하였다. 여담으로 당시 과테말라는 20여년 넘게 이어진 과테말라 내전이 1983년을 기점으로 종식기에 접어드는 단계였기에 원정경기가 성사되었다. 여전히 치안이 불안정한 것으로 유명한 과테말라이기 때문에 한국 대표팀이 이 시기에 원정경기를 치른 것은 매우 기이한 기록이기도 하다.
한편 위 인연으로 과테말라는 1년 후 1984년 대통령배에 초청되어 조별리그에서 한차례 더 경기를 가졌고 한국의 홈경기에서 한국이 2-0으로 과테말라에 승리하였다. 이것이 가장 마지막 맞대결이다.
그 이후에는 별다른 만남이 없다가, 2008년 U-23 대표팀 간 경기를 치렀고 2-1로 한국이 승리했다.
<nopad> 1984-06-03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4 코리아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4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8강 조별리그 A조 3차전 | ||||
일시: 1984년 6월 3일 18:5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구덕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 | 2:0 (0:0) | <colbgcolor=#fff><colcolor=#666> - | |||
이태호 이태형 | - | ||||
감독: | 승 | 감독: |
A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A조 최종 순위[19]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5 | 3 | 2 | 1 | 0 | 7 | 4 | +3 |
<rowcolor=#fff> | • 2 | 3 | 3 | 1 | 1 | 1 | 5 | 4 | +1 |
<rowcolor=#fff> | • 3 | 3 | 3 | 0 | 3 | 0 | 3 | 3 | 0 |
<rowcolor=#fff> | • 4 | 1 | 3 | 0 | 1 | 2 | 0 | 4 | -4 |
<nopad> 1983-08-02 | |||||
<nopad> 2: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1983년 8월 3일 | 장소: | ||||
주심: [None] | 경기장: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마테오 플로레스 | ||||
<colbgcolor=#fff><colcolor=#666> 미뇨르 멘데스 | 2:1 (1:1) | <colbgcolor=#fff><colcolor=#666> 이길용 | |||
차나 페르난데스 | - | ||||
감독: | 패 | 감독: |
<nopad> 1983-07-28 | |||||
<nopad> 1:1 [A.E.T.] 3 [PSO] 5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3 LA 4개국 친선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3 LA 4개국 친선대회 3위 결정전 | ||||
일시: 1983년 7월 28일 | 👣 [25] | 장소: | |||
주심: [None] | 경기장: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 ||||
<colbgcolor=#fff><colcolor=#666> - | 1:1 3 PK 5 (1:1) (0:0) | <colbgcolor=#fff><colcolor=#666> 에디 알뷰레즈 | |||
장 정 | - | ||||
- | - | ||||
[None*] | [None*] | ||||
감독: | 무 | 감독: |
[1] 스페인어[2] 2025년 7월 10일 기준[3] 2025년 9월 7일 기준[4] 사실 쿠바는 당시 상대 국가들의 연이은 기권으로 한 경기도 예선을 치르지 않고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유일한 월드컵 본선참여기록이다.[133경기] [68골] [7]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8]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9]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10]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11] 이 대회는 5개국이 풀리그로 결승을 치른 대회였다.[12] FIFA 징계로 인한 자격정지[13] 퀴라소의 진출권을 양도받았다.[🏟️] 중립 경기: 1
GUA 홈 경기: 1
KOR 홈 경기: 1[15]
1골, 에디 알뷰레즈, 미뇨르 멘데스, 차나 페르난데스[16]
1골, 장정, 이길용, 이태호, 이태형[17] 한국은 멕시코 클럽인 클루브 아메리카에게 과테말라는 승부차기 끝에 엘살바도르에 패했다.[UTC+9] [19] 독일 대표로 바이어 04 레버쿠젠, 페루 대표로 클루브 알리안사 리마가 출전했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None] [De] [22] Carlos Cavagnaro[A.E.T.] [PSO] [25] 두 팀의 대회 여정
대한민국
준결승(1:2
CAM)
과테말라
준결승(0:0PSO 2:3
SLV)[None] [27] 다만 기록마다 다르게 기재되어 있다. 다른 문건에는 빅토르 휴고 몬젠으로 기록되었다.[None*] 승부차기 결과만 존재하고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None*] 승부차기 결과만 존재하고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30] Carlos Cavagnaro
GUA 홈 경기: 1
KOR 홈 경기: 1[15]
1골, 에디 알뷰레즈, 미뇨르 멘데스, 차나 페르난데스[16]
1골, 장정, 이길용, 이태호, 이태형[17] 한국은 멕시코 클럽인 클루브 아메리카에게 과테말라는 승부차기 끝에 엘살바도르에 패했다.[UTC+9] [19] 독일 대표로 바이어 04 레버쿠젠, 페루 대표로 클루브 알리안사 리마가 출전했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None] [De] [22] Carlos Cavagnaro[A.E.T.] [PSO] [25] 두 팀의 대회 여정
준결승(1:2
준결승(0:0PSO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