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서울 흥인지문
1.#26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1.#76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당진 안국사지 석탑
1.#126 경주무장사지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1.#176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1.#226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269-3.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3 269-4.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7(2007)}}}
1.#276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1.#326 이순신 유물 일괄 326-2. 옥로 1.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1. 금동약사여래입상 1.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1.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1.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1.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1. 금동보살입상(1963-2) 1.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1963) 1.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 정지장군 갑옷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376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금동여래입상(1964)
1.#426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1.#476
[3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46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523-3. 석보상절 권11}}}
1.#526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2 526-1.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526-2.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시용향악보
1.#576 봉업사명 청동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대구 도학동 승탑 1.#626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연안 이씨 종중 문적
1.#676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1.#726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1.#776 환두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1.#826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5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51 창경궁 관천대
875-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1.#876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50] 보물 제875-1호로 지정번호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0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01 권벌 종가 고문서
1.#926 수월관음보살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51~1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51 선조국문유서
1.#976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5~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01~1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01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1.#1026 청자 양각도철문 방형 향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51~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51 분류두공분시(언해) 1051-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3 1. 천태사교의 1. 진언권공(언해) 1. 백자 병 1. 백자 태항아리 1.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1.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1.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1.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1. 백자 철화끈무늬 병 1. 백자 철채 뿔잔 1.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1.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1.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1.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1991) 1.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1.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1.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1. 분청사기 음각수조문 편병 1.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1. 청자 유개항아리 1. 초조본불설우바새오계상경 1.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1.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1.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1.#1076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1. 벽역신방 1. 신찬벽온방 1087-1. 신찬벽온방(1991-1) 1. 언해태산집요 1088-1. 언해태산집요(1991-1) 1. 동인지문오칠 권7~9 1. 권근 응제시주 1090-1. 권근 응제시주(1991) 1. 제왕운기 1091-1. 제왕운기(1991) 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 불과환오선사벽암록 1. 인천안목(1991) 1.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1. 오희문 쇄미록 1. 염제신 초상 1. 감지은니 미륵삼부경 1.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1. 상지은니 불설보우경 권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1~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01 상지은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1.#1126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
[60] 보물 제569-22호 및 제569-23호으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51~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51 청동 옻칠 발걸이
1.#1176 유수 초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01~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01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1.#1226 조흡 고신왕지(199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51~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51
1.#1276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01~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0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1306-1. 묘법연화경(2001) 1. 고흥 능가사 대웅전 1. 홍진 호성공신교서 1.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1. 나주 불회사 대웅전 1. 순천 선암사 대웅전 1.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326 함창상원사사불회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51~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51 통도사 괘불탱
1.#1376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01~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01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1.#1426 수월관음도(200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51~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51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1.#1476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1~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01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1526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2 1543-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1543-2.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51~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51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1.#1576 김천 직지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01~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01 천하여지도
1.#1626 김현성 필적
1. 숙종어필 칠언시 1. 영조어필 1631-1.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1. 정조어필 1632-1.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1.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1.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1.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1.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1.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1.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1.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1. 예천 용문사 천불도 1. 안동 광흥사 동종 1.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1.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1.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51~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51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1.#1676 윤순 필적 고시서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01~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01 하동 쌍계사 동종
1.#1726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51~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51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1776 영가진각대사증도가(201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01~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0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1.#1826 양산 통도사 영산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51~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51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1.#1876 완산부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01~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01 조선왕조의궤 1901-1. 조선왕조의궤(2016-1) 1. 제주향교 대성전 1.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1.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1.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926 협주명현십초시
[84] 가치상실이나 승격 등으로 인한 지정해제와는 달리 대명률은 지정 사실 자체가 취소되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51~2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51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1.#1976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01~2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01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1.#2026 김천 직지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51~2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51 안동 체화정
1.#2076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100~2142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101 순천향교 대성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2.11.2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2.11.25 - 2023.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3.12.26 - 2025.09.04
* 고창 문수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4]⠀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사진 출처 : 문화유산채널 유형문화재 사진전 - 보물 제581호,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1. 개요
慶州 骨窟庵 磨崖如來坐像9세기 중엽, 통일신라 시대에 현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안동리의 골굴사에서 자연굴을 이용하여 조성한 마애불 1좌. 현재 골굴사(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안동리 산304)에 소재하고, 보물 제581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사진 출처 : 경주문화관광 홈페이지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불상 높이 4 m.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으로, 제작 시기는 9세기 중엽이다. 당시 서라벌의 신라인들이 기림사(祇林寺) 골짜기의 가장 높은 암벽에 올라가 불상을 새긴 것이다. 처음 만들 당시에는 몸 전체가 완전했으나,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현재는 암벽 석질의 차이 때문에 무릎 아래 부분이 떨어져나갔다.
800년대 중반, 신라인들이 최초로 이 불상을 조성할 당시에는 석굴사원으로 삼고자 불상 주변에 전각을 함께 지어놓았다는 기록이 있다. 18세기 화가 겸재 정선(鄭敾)이 그린 '골굴석굴(骨窟石窟)' 그림에도 이 불상이 아름다운 목조 전실(木造前室) 안에 있으므로, 적어도 조선 후기 때까지는 이 건물이 온전히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후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목조건물이 완전히 파손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지금은 불상만 덩그러니 있다.
당시 신라인들이 기림사 주변 지역에서 가장 높은 암벽으로 기어올라가 조성한 만큼, 꼭대기까지 매우 가파른 길이 이어진다. 이 길을 따라 꽈배기처럼 꼬인 암벽을 올라가려면 매우 힘이 든다. 불상을 보러 올라가는 길에도 중간중간 낭떠러지가 그대로 노출되어 조심해야 한다.
불상 양식은 높다란 육계와 부피감 있는 얼굴, 가는 눈, 작은 입, 좁고 긴 코의 독특한 이목구비와 만면한 미소 등은 형식화가 진행된 9세기 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은 건장하지만 평판화된 신체, 얇게 빚은 듯한 평행계단식 옷주름, 무릎의 도식적인 물결 옷주름과 겨드랑이의 꺽쇠주름 등에서도 잘 나타났다. 그러나 얼굴의 표정이나 조각의 기량 면에서 8세기의 이상적 사실 작풍이 남아서 8세기 후반-9세기 통일신라의 석조 공예술을 자세히 연구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솟아있고, 윤곽이 뚜렷한 얼굴은 가늘어진 눈·작은 입·좁고 긴 코 등의 표현에서 이전 보다 형식화가 진전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입체감이 두드러진 얼굴에 비해 평면적인 신체는 어깨가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넓게 표현되었는데, 목과 가슴 윗부분은 손상되었다. 옷주름은 규칙적인 평행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겨드랑이 사이에는 팔과 몸의 굴곡을 표시한 V자형 무늬가 있다. 암벽에 그대로 새긴 광배(光背)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머리광배와 불상 둘레의 율동적인 불꽃무늬를 통해 흔적을 살필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인 867년(신라 경문왕 7년)에 조성된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보물 제995호)와 함께 9세기 통일신라 시기의 불상 양식 및 불교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1974년 12월 30일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 두산백과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 한국어 위키백과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 대한민국 구석구석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 답사여행의 길잡이 2 - 경주 : 경주 골굴암 마애불좌상
4. 보물 제581호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의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이다. 조선시대 겸재(謙齋) 정선이 그린 ‘골굴석굴’에는 목조전실이 묘사되었으나 지금은 바위에 흔적만 남아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솟아있고, 윤곽이 뚜렷한 얼굴은 가늘어진 눈·작은 입·좁고 긴 코 등의 표현에서 이전 보다 형식화가 진전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입체감이 두드러진 얼굴에 비해 평면적인 신체는 어깨가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넓게 표현되었는데, 목과 가슴 윗부분은 손상되었다. 옷주름은 규칙적인 평행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겨드랑이 사이에는 팔과 몸의 굴곡을 표시한 V자형 무늬가 있다. 암벽에 그대로 새긴 광배(光背)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머리광배와 불상 둘레의 율동적인 불꽃무늬를 통해 흔적을 살필 수 있다.
평면적인 신체와 얇게 빚은 듯한 계단식의 옷주름, 겨드랑이 사이의 U자형 옷주름 등이 867년에 조성된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보물 제995호)와 유사한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솟아있고, 윤곽이 뚜렷한 얼굴은 가늘어진 눈·작은 입·좁고 긴 코 등의 표현에서 이전 보다 형식화가 진전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입체감이 두드러진 얼굴에 비해 평면적인 신체는 어깨가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넓게 표현되었는데, 목과 가슴 윗부분은 손상되었다. 옷주름은 규칙적인 평행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겨드랑이 사이에는 팔과 몸의 굴곡을 표시한 V자형 무늬가 있다. 암벽에 그대로 새긴 광배(光背)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머리광배와 불상 둘레의 율동적인 불꽃무늬를 통해 흔적을 살필 수 있다.
평면적인 신체와 얇게 빚은 듯한 계단식의 옷주름, 겨드랑이 사이의 U자형 옷주름 등이 867년에 조성된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보물 제995호)와 유사한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