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6 00:18:37

개럿 앤더슨

개럿 앤더슨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2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02

파일:2002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3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5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02 2003 2005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에인절스
명예의 전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919,#ffffff
바비 그리치 짐 프레고시 돈 베일러 로드 커류
놀란 라이언 지미 리즈 브라이언 다우닝 척 핀리
진 오트리 2002 에인절스 바비 커눕 딘 챈스
팀 새먼 마이크 위트 개럿 앤더슨 블라디미르 게레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역대 홈런더비 우승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5 1987 1988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1972~1992).png
데이브 파커
파일: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엠블럼(1986~1992).svg
월리 조이너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대럴 스트로베리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안드레 도슨
우천 취소
1990 1991 1987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84~1993).png
루벤 시에라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1972~1992).png
에릭 데이비스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라인 샌드버그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89~1991).png
칼 립켄 주니어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1982~1992).png
마크 맥과이어
1993 1994 1995 1996 1997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84~1993).png
후안 곤잘레스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켄 그리피 주니어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프랭크 토머스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엠블럼(1994~1999).png
배리 본즈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티노 마르티네스
1998 1999 2000 2001 2002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켄 그리피 주니어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새미 소사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1998~2006).svg
루이스 곤잘레스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제이슨 지암비
2003 2004 2005 2006 2007
파일:애너하임 에인절스 엠블럼(2002~2004).svg
개럿 앤더슨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99~2008).svg
미겔 테하다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바비 아브레우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라이언 하워드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블라디미르 게레로
2008 2009 2010 2011 2012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87~2009).svg
저스틴 모노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2000~2017).svg
프린스 필더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데이비드 오티즈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로빈슨 카노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2006~2015).svg
프린스 필더
2013 2014 2015 2016 2017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1993~2024).svg
요에니스 세스페데스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토드 프레이저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2012~2016).svg
지안카를로 스탠튼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애런 저지
2018 2019 2020 2021 2022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브라이스 하퍼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피트 알론소
코로나바이러스-19 단축시즌
올스타전 취소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피트 알론소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후안 소토
2023 2024 2025 2026 2027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엠블럼.svg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칼 랄리
}}}}}}}}}

칼 립켄 주니어[2001년][2]
(볼티모어 오리올스)
개럿 앤더슨
(애너하임 에인절스)
알폰소 소리아노
(텍사스 레인저스)

캘리포니아 - 애너하임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16번
진 넬슨
(1993)
<colbgcolor=#003263><colcolor=#fff> 개럿 앤더슨
(1994~2008)
행크 콩거
(2011~2014)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18번
그레고르 블랑코
(2008)
개럿 앤더슨
(2009)
브랜든 힉스
(2010)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9번
후안 피에르
(2007~2009)
개럿 앤더슨
(2010)
러스 미첼
(2010)
}}} ||
파일:external/www3.pictures.gi.zimbio.com/Los+Angeles+Angels+Anaheim+v+Boston+Red+Sox+I3UkVIhExoJl.jpg
개럿 조셉 앤더슨
Garret Joseph Anderson
출생 1972년 6월 30일 ([age(1972-06-30)]세)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좌익수
투타 좌투좌타
신체 190cm, 86kg
프로 입단 1990년 드래프트 4라운드
소속팀 캘리포니아·애너하임·LA 에인절스 (1994~2008)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09)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0)
1. 개요2. 커리어3. 플레이 스타일4. 관련 문서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뛰었던 前 프로야구 선수. LA 에인절스프랜차이즈 스타로, 2024년 현재까지 에인절스의 안타, 2루타, 타점, 득점 최다 기록을 가지고 있다.[3] 통산 성적은 .293 .324 .461 2529안타 287홈런 1365타점.

2. 커리어

1990년 드래프트에서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에 4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파일:external/www.ootpdevelopments.com/151139d1240005376-gambo-t_wil1-photo-garret-anderson-1994-california-angels-.jpg 파일:external/www.mainlineautographs.com/PTDC0001_20110710771.jpg
청순한 신인 시절 암흑기 시절
1994년 빅리그에 입성한 후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팀의 주전 외야수로 뛰게 되는데, 데뷔 당시 팀의 중견수 자리에는 리그 정상급 중견수인 짐 에드먼즈가 있었기에 주로 코너 외야수로 뛰었다.

매년 기복없이 꾸준한 성적으로 에인절스 타선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2002년 에인절스의 월드시리즈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2003년에는 올스타전 MVP를 차지하고 올스타전 홈런더비를 우승하기도 했다.

2004년 이후에도 게선생과 함께 에인절스의 외야 코너를 책임졌으며, 2007년에는 뉴욕 양키스의 마이크 무시나를 상대로 만루홈런과 쓰리런 포함 한 경기 10타점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2008시즌이 끝난 후 에인절스와 재계약 과정에서 충돌을 빚다 팀을 떠나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에 입단한다. 애틀란타에서 1시즌을 뛴 후에 LA 다저스로 이적했는데 이 때 급격히 노쇠화가 오면서 결국 2011년 은퇴를 선언한다.

통산 3000안타를 쳤더라면 충분히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도 노릴 수 있었겠지만, 3000안타를 치지 못하고 은퇴하면서 사실상 명전 입성은 요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입후보한 첫 해인 2016년 투표에서 단 1표에 그치며 광탈했다.

파일:external/image.dailynews.com/AR-160829946.jpg

그래도 에인절스 팀 명예의 전당에는 입성했으며, 현지시간 2016년 8월 20일에 입회식을 가졌다.

3. 플레이 스타일

매년 꾸준히 2할 8~9푼대의 타율과 180개에 가까운 안타, 두 자릿수 홈런을 때려낼 수 있는 중장거리 타자였다. 도루 갯수는 많지 않았지만 발이 느린 선수는 아니라 중견수 수비도 무리없이 소화해냈다. 단점은 출루율이 높지 않다는 점이었는데, 한 시즌 최다 볼넷이 38개에 불과할 정도였다. 이런 공격적인 타격 성향 때문에 득점권에서 자주 찬물을 끼얹는 스윙으로 까이기도 했다.

4. 관련 문서




[2001년] [2] 2002년 MLB 올스타전은 무승부로 경기가 끝났기에 MVP를 선정하지 않았다.[3] 다만 홈런 최다 기록은 마이크 트라웃, 볼넷 최다 기록은 "미스터 에인절" 팀 새먼이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