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미발매 음반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미발매 음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개 전 루머 및 공개 전 당사자에 의해 밝혀진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미발매 음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개 전 루머 및 공개 전 당사자에 의해 밝혀진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if 회사 != null
칸예 웨스트의 공식 발표에 따라
실제 모습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120><nopad>![파일:kanyewestsignatureblack.svg]()
![파일:kanyewestsignaturewhite.svg]()
||
||
Ye
음반 목록 & 관련 문서
||음반 목록 & 관련 문서
- [ 싱글 음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앨범 수록 싱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tablebgcolor=transparent> ''' 1집The College Dropout'''<nopad> <nopad> <nopad> ''' 2집Late Registration'''<nopad> ''' 3집Graduation'''''' 4집808s & Heartbreak'''''' 5집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6집'''''' 7집The Life Of Pablo'''''' 8집ye'''''' 9집JESUS IS KING'''''' 10집Donda'''''' 11집DONDA 2'''''' 12집BULLY'''취소선: 공개 중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합작 싱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JAY-Z와 합작Watch The Throne'''<nopad> ''' GOOD Music 컴필레이션 앨범Cruel Summer'''''' VULTURE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앨범 미수록 싱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nopad> ''''''취소선: 공개 중지}}}}}}}}}
- [ 관련 문서 ]
- ##
하위 문서 활동 미발매 음반 논란 및 사건 사고 여담 ||<-5><width=65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transparent> 패션 ||패션 YEEZY AIR YEEZY
(with NIKE)Adidas Yeezy
(with Adidas)Yeezy Gap
(with GAP)취소선: 협업 중단||<-2><width=65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transparent> 다큐멘터리 ||지-니어스: 카니예 3부작 In Whose Name? ||<-2><width=65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transparent> 프로젝트 ||칸예 웨스트의 와이오밍 프로젝트 ||<-5><width=65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transparent> 콘서트 ||YE LIVE IN KOREA
1. 개요
Ye의 발매되지 않은 음반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워낙 유출이 많아서 유출된 데모 버전에 따라 제목이 다르거나 참여한 피처링 아티스트가 다를 수 있다. 또 같은 하나의 트랙이 다른 두 앨범에 수록되거나, 데모 버전에 따라 곡 몇 개가 빠지고 추가되기도 하며 결정적으로 트랙리스트가 굉장히 자주 바뀐다.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2010년부터 간간히 유출됐으며 ye 이후로는 미발매 곡들이 훨씬 더 완성도가 좋다는 말들이 많다. 특히 2021년부터는 하루가 멀다 하고 유출된 미공개곡들이 터져 나오고 있다.2025년 7월 발생한 2025년 9월 발매될 예정이었던 BULLY의 풀 앨범 유출 이후 YZY 측에서 유출에 관한 기준을 공개했다. Never See Me Again이나 샘플링 문제로 발매되지 못한 EVERYBODY 같은 어차피 발매되지 않는 곡은 유튜브에 업로드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를 해도 제재하지 않으나 발매될 예정인 곡이나 앨범의 유출은 강력하게 제재한다고 한다.
후술할 앨범들은 모두 칸예의 앨범 작업 과정들 중 하나였을 뿐이여서 앨범 제목부터 커버, 트랙리스트까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확정된 것이 없기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들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2. Good Ass Job
<colbgcolor=#6c5767><colcolor=#000> {{{+1 'Good Ass Job'}}}[1]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08년~2009년, 2009년~2010년 |
<colbgcolor=#6c5767><colcolor=#000><nopad> | |
Good Ass Job beats for Kanye[2] |
<colbgcolor=#6c5767><colcolor=#000><nopad> | |
Lonely |
칸예가 원래 계획했던 1집에서 3집까지 이어진 대학생 시리즈의 마지막 앨범이었다. 2008년에 작업하던 버전은 어머니 돈다 웨스트의 사망과 약혼녀와의 이별을 겪고 폐기되어, 칸예의 4집은 808s & Heartbreak가 되었다. 그래도 1~3집의 대학생 컨셉을 이어 5집은 Good Ass Job으로 발매하려고 했으나, 테일러 스위프트 시상식 난입 사태를 일으킨 뒤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정신 건강이 악화되게 된다. 이후 자살 생각을 이겨내며 2009년에 작업한 버전은 MBDTF의 초안이 된다. 유출 트랙 중 완성도가 돋보이는 곡에는 Down Town, Throw Money Everywhere, See Me Again 등이 있다. 이 시기 작업된 곡들에는 릭 로스의 Teflon Don 수록곡 Live Fast, Die Young(원제: Hard Horn Nightmare), 스눕 독의 Doggumentary 수록곡 Eyez Closed 등이 있다.
4집의 제목이 Good Ass Job으로 발매되었다면 1집부터 4집까지의 제목이 꽤나 컨셉추얼했을 것이다(1집 College Dropout - 대학 중퇴, 2집 Late Registration - 늦은 입학, 3집 Graduation - 졸업, 4집 Good Ass Job - 존X 좋은 직장). 2018년에 Chance The Rapper와의 콜라보 앨범 제목으로 재탕했으나 작업을 자주 하지 못하고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3. Thank God For Drugs
<colbgcolor=#fff><colcolor=#64aaf2> {{{+1 'Thank God For Drugs'}}}[3]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12년~2013년 |
<colbgcolor=#fff><colcolor=#64aaf2><nopad> | |
Bound 1 (Nobody To Love) |
Yeezus의 원래 이름이었다. Yeezus 앨범의 트랙 "Black Skinhead"와 "New Slaves"의 초기 버전, "Bound 2"의 초기 버전 대표적으로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가 프로듀싱에 참여한[4] "Bound 1"(가칭)[5]이 포함되었고, 이 포함 27곡이 이 앨범 작업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칸예가 릭 루빈에게 도움을 요청한 뒤 릭 루빈에 의해 많은 트랙들이 제외된다.
4. Yeezus 2
<colbgcolor=#fff><colcolor=#000> {{{+1 'Yeezus 2'}}}[6]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12년~2013년 |
<colbgcolor=#fff><colcolor=#000><nopad> | |
After You |
<colbgcolor=#fff><colcolor=#000><nopad> | |
Never Let Me Go (Get Off Me) |
"Lost Yeezus"라고도 불리는 "Yeezus" 앨범에 최종 등재되지 못한 수록곡들이 나올 예정이었던 앨범. "YPM", "Your Prayers Mattered", "Chiraq" 등의 이름으로 알려졌었고, 싱글 "All Day", "Only One", "FourFiveSeconds"가 이 시기 작업물이다. 칸예가 2015년 2월 13일 "So Help Me God"을 다음 앨범으로 발표하면서 미발매 음반으로 남게 되었다. 이후 이 앨범의 수록곡들은 "So Help Me God"을 거쳐 일부는 TLOP으로 흡수되었고, 나머지는 더 나아가 이후 Yandhi 까지 거쳐 갔으나, Yandhi까지 발매가 되지 않으면서 완전히 끝이 났다.
이 때 Coming Home (Pusha T), CAN U BE (Kanye West & Ty Dolla $ign), Famous (Kanye West), Father Stretch My Hands Pt. 1 (Kanye West), Nobody (Chief Keef), Saint Pablo (Kanye West), Tell Your Friends (The Weeknd), Wolves (Kanye West)가 이 앨범의 트랙으로 제작되었다.
5. Cruel Winter
<colbgcolor=#000><colcolor=#ccc> {{{+1 'Cruel Winter'}}}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12년?~2017년? |
<colbgcolor=#000><colcolor=#ccc><nopad> | |
All The Time |
<colbgcolor=#000><colcolor=#ccc><nopad> | |
On Fire |
카녜 자신이 대표로 있는 레이블인 G.O.O.D Music의 두번째 컴필레이션 앨범이 될 예정이었고, 2013년과 2017년 두 차례 작업되었다. 2013년 버전은 Q-Tip이 깊게 참여했다고 알려져 있다. CyHi The Prynce가 2017년 자신의 앨범 이후에 나올 것이라고 하였으나 5개의 유출곡과 1개의 스니펫만 남기고 소식조차 들리지 않게 되었다. 존 레전드가 참여한 On Fire가 숨은 명곡으로 꼽힌다[7].
6. So Help Me God
<colbgcolor=#e0d6cd><colcolor=#251d35> {{{+1 'So Help Me God'}}}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14년~2015년 |
<colbgcolor=#e0d6cd><colcolor=#251d35><nopad> | |
All Day |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작업되었으며, The Life Of Pablo의 전신이다. 2020년, 2 Chainz가 이 발매되지 않은 앨범의 제목을 이어받아 같은 제목의 앨범 So Help Me God!을 발매했다. # The Life of Pablo에 영향을 받은 앨범이라고 덧붙였다.
이 때 Waves (Kanye West), Fade (Kanye West), Feedback (Kanye West), Floatin (Osbe Chill), Highlights (Kanye West)가 이 앨범의 트랙으로 제작되었다.
7. TurboGrafx16
<colbgcolor=#000><colcolor=#fea254> {{{+1 'TurboGrafx16'}}}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16년 |
<colbgcolor=#000><colcolor=#fea254><nopad> | |
Damn Come On (feat. Kid Cudi) |
<colbgcolor=#000><colcolor=#fea254><nopad> | |
Hold Tight (feat. Migos, Young Thug) |
가정용 게임기 TurboGrafx-16의 이름을 그대로 딴 앨범이다. 옛날 게임에서 쓰일 법 한 샘플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2016년 여름 발매가 예정되어있었으나 취소되었고, 계속 작업을 이어가다 UCLA 대학병원에 입원한 2016년 말 폐기된 것으로 추측된다.
커버아트는 공식이 아닌 팬메이드다.
8. LOVE EVERYONE (Hitler)
<colbgcolor=#867d7f><colcolor=#fff> {{{+1 'LOVE EVERYONE'}}} (Hitler)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16년~2018년 |
<colbgcolor=#867d7f><colcolor=#fff><nopad> | |
Ye vs. the People |
<colbgcolor=#867d7f><colcolor=#fff><nopad> | |
Let You Go |
칸예가 UCLA 대학 정신병원에서 퇴원한 이후 발매 소식이 들려왔었고, 앨범 커버까지 공개 되었었는데, 앨범 커버의 주인공은 자신의 어머니 돈다 웨스트의 성형 수술을 마지막으로 했던 의사의 얼굴이었다.[8] 따라서 2018년 발매가 거의 확실해 보였으나, 카녜가 TMZ의 사무실에서 인터뷰 도중 난리를 친 후 일방적으로 앨범을 스크랩 해버리며 사라졌다. 그러나 이 앨범의 수록곡으로 알려졌던 "Ye vs. The People"과 "XTCY", "Lift Yourself"가 싱글로 나왔고, 일부는 이후 앨범 ye와 Yandhi로 넘어갔다.
참고로 칸예는 이 앨범의 타이틀을 Hitler로 정하기로 한 적도 있다. LOVE EVERYONE과 같은 맥락으로 모든 사람을(히틀러마저도) 사랑하자는 뜻에서 나온 제목인 듯하다.
이 때 Cops Shot The Kid (Nas), everything (Nas), Ghost Town (Kanye West), Go2DaMoon (Playboi Carti), Freeee (Ghost Town Pt. 2) (KIDS SEE GHOSTS), Never Would Have Made It (Teyana Taylor), Simple Things (Nas), U(Man Like) (Bon Iver), Violent Nights (Kanye West), White label (Nas)가 이 앨범의 트랙으로 제작되었다.[9]
9. Yandhi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andh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andh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Jesus is King: The Dr. Dre Version
<colcolor=#dba870> Jesus is King: The Dr. Dre Version | |
| |
<colbgcolor=#21298e>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발매일 | - |
녹음 | 2019년 ~ 2020년 |
장르 | 힙합, 가스펠 |
프로듀서 | 칸예 웨스트, Dr. Dre |
TRACKLIST | |
<rowcolor=#dba870> # | 제목 |
1 | Intro / Every Hour / Selah (feat. Marsha Ambrosious) |
2 | LA Monster (feat. A$AP Ferg) |
3 | Water (feat. Ant Clemons & Victory Boyd) |
4 | Closed On Sunday (feat. Dr. Dre & Anderson Paak) |
5 | On God (feat. THURZ) |
6 | Hands On (feat. Travis Scott & Fred Hammond) |
7 | Everything We Need (feat. Ant Clemons & Ty Dolla $ign) |
8 | Ashes[10] |
9 | God Is |
10 | Use This Gospel[Remix] (feat. Eminem) |
<colbgcolor=#21298e><colcolor=#dba870><nopad> |
유출곡 모음 |
JESUS IS KING 발매 직후, 2019년 11월부터 작업이 시작된 칸예와 닥터 드레의 합작 리믹스 앨범이다. 주로 Jesus Is King II, 혹은 Jesus Is Lord로 알려져있었고, 완성 직전 단계까지 갔으나 모종의 이유로 발매가 취소되었다.
하지만, 2023년 9월에 이루어진 미공개곡 대규모 유출에 풀 앨범이 포함되어 마침내 모습을 드러냈다. 기존 앨범의 리믹스 곡들과 추가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트레비스 스캇, A$AP Ferg, 에미넴 등의 굵직한 피쳐링진들이 참여하였다. 곡들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가스펠과 기존 힙합 사운드가 섞인 TLOP와 가까우며, JIK보다는 괜찮다. 내지는 원래 기대했던 JIK에 대한 사운드와 가깝다. 라는 평이 많다.
11. God's Country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509d9e><colcolor=#060606> God's Country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20년 |
<colbgcolor=#509d9e><colcolor=#060606><nopad> | |
12,000 Acres |
Donda의 원래 제목이였다. 수록곡 중 몇 곡이 트래비스 스캇의 UTOPIA로 넘어갔다.
커버 후보들 중 하나인 앨범 커버에 한글로 '예짐'이라고 적혀 있는 것들이 있다. '예짐'의 뜻이 무엇인지는 불명이나 아마도 Ye(예) 또는 예수의 예+왕의 1인칭 '짐'을 합친 말인 것으로 추측된다.
12. WAR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AR(Y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AR(Y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 Yebu
<colbgcolor=#202426><colcolor=#f00000> {{{+1 'Yebu'}}} | |
| |
가제[12] | I Miss You When I Wake Up Before You Y3 Yesuke |
아티스트 | Ye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22년 ~ 2023년 |
<colbgcolor=#202426><colcolor=#f00000><nopad> | |
Someday We'll All Be Free[13][2022] |
<colbgcolor=#202426><colcolor=#f00000><nopad> | |
Love Love Love[15][2023] |
<colbgcolor=#202426><colcolor=#f00000><nopad> | |
Pray[2023] |
난 자유를 위해서 유대인들에게 데스콘을 발령했고
아무도 나에게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어
다들 내가 White Lives Matter 티셔츠를 입었을 때는 할 말 많으면서
어떤 년이 양육권 뺏어갔을 때는 죄다 닥치고 있더라?
Pray[18][원문]
유대인 비하 논란이 터진 2022년 후반 이후 작업되던 앨범. 앨범명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제목이 밝혀진 수록곡은 거의 없다시피 하며, 유출곡들도 대부분 스니펫으로 퀄리티가 나쁘다. 그나마 퀄리티가 좋거나 한 곡은 대부분 다른 아티스트들에게 준 곡이다. 당시 들려오던 소식에 의하면 '올드 칸예의 현재 버전' 느낌으로 앨범을 제작하는 중이였으며, 유출된 곡들이 대개 고전 샘플링에 808 드럼을 써서 전체적으로 올드칸예 느낌이 나는 편이다. 아무도 나에게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어
다들 내가 White Lives Matter 티셔츠를 입었을 때는 할 말 많으면서
어떤 년이 양육권 뺏어갔을 때는 죄다 닥치고 있더라?
Pray[18][원문]
2023년, Y3라는 이름으로 트랙리스트가 유출되었다. 보면 알겠지만 결과적으로 VULTURES 트릴로지에 실린 트랙들이 많고, 따라서 Y3라는 제목으로 작업했던 트랙들은 폐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칸예는 앨범의 컨셉과 유출된 트랙리스트를 전면 부정하고 있다. 유출된 곡들의 리릭시즘은 전면적으로 2022년 이후 반유대주의적이고 대중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이어나간다. 이 태도는 이 앨범 수록곡 몇 곡이 VULTURES 1에 넘어가며 반영되었다.
14. VULTURES 3
¥$의 VULTURES 트릴로지 | ||||
2024년 2월 10일 [[VULTURES 1|{{{#282420,#bc7142 'VULTURES 1'}}}]] | → | 2024년 8월 3일 VULTURES 2 | → | [[VULTURES 3|{{{#0e1415,#6fadb8 'VULTURES 3'}}}]] |
<colbgcolor=#0e1415><colcolor=#6fadb8> VULTURES 3 | |
아티스트 | ¥$ (Ye & Ty Dolla $ign) |
장르 | 힙합 |
작업 기간 | 2024년 |
<colbgcolor=#0e1415><colcolor=#6fadb8> | |
So Called Friends |
<colbgcolor=#0e1415><colcolor=#6fadb8> | |
I Let Go |
VULTURES 트릴로지의 3번째 앨범.
VULTURES가 원래 3부작이었지만 여러 이유로 인해 앨범 발매 일정이 쳐지고 결과적으로 칸예가 새 앨범이 작업 중임을 발표하면서 발매가 언제 될지 모르게 되었다.
한 팬이 2025년에 BULLY와 VULTURES 3의 발매를 묻는 DM을 보내자 하트 표시를 남겼다. 스크랩 되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다만 BULLY 작업이 우선인 것으로 보아 BULLY 발매 이후 나올 것으로 보인다. ye와 KIDS SEE GHOSTS 처럼 1주 간격을 두고 비슷한 분위기의 앨범이 나올 수도 있다.
1월 25일경 타이 달라 싸인의 인터뷰에 따르면 VULTURES 3가 곧 발매 될 것[20]이라는 답변을 하였고[21] 2월 1일에 한 방송에 출연하여 VULTURES 3의 수록곡이 될 DON'T KILL THE PARTY의 풀버전을 공개했다.[22] 반응은 매우 긍정적. 그리고 칸예도 VULTURES 3를 언급하며 발매될 것으로 보였다.
2월부터 칸예가 일으킨 X 관련 논란들 때문에 칸예와 타이 달라 사인과의 관계도 금이 가기 시작하자 취소되는 게 아닌지 추측이 오가던 중 2025년 3월 Bully의 데모 버전이 공개될 때 공개한 '다음으로 어떤 앨범을 듣고 싶냐'는 투표에서 Donda 3가 뽑히자 사람들이 'Donda 3는 용납하나 보구나'[23]라고 하더니 4월 Bully와 WW3를 동시에 같이 작업하며 가장 가까운 프로듀서인 디지털 나스가 VULTURES 3가 스크랩됐다고 밝히면서 VULTURES 3가 취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4월 26일에 칸예가 밝히기론 타이 달라 사인이 연락을 끊어서 VULTURES 3가 취소되었다고 한다.
5월 31일, 타이 달라 사인이 공연 중 Vultures 3 발매를 재차 알렸다는 소문이 돌고 있으나 아직 확인되진 않았다. 하지만 VULTURES 3에 수록될 것으로 보였던 트랙들이 오히려 타이 달라 사인의 새 앨범 TYCOON에 흡수되며 가능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이후 타이 달라 사인이 계속해서 다시 예와 VULTURES 3을 작업하고 싶다는 말을 하고는 있으나 이외에 소식은 없다.
15. CUCK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CK#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CK#|]]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 언급만 있는 앨범
- Watch The Throne 2 - Ye와 JAY-Z의 두 번째 합작 앨범.
- KIDS SEE GHOSTS 2 - Ye와 Kid Cudi의 두 번째 합작 앨범
- Good Ass Job2018 - Ye와 Chance The Rapper의 합작 앨범
- CARTI YE - Ye와 Playboi Carti의 합작 앨범
- YAGE - 칸예의 레이지 앨범. 측근인 디지털 나스가 언급하기로 단지 아이디어에 불과했다고 한다. 다만 레이지 장르의 싱글 ALIVE가 싱글로 발매되었다.[24]
- Donda 3 - Donda 크로놀로지의 세 번째 앨범.
17. 타 아티스트의 곡으로 넘어간 사례
- Travis Scott - GOD'S COUNTRY, TELEKINESIS, MODERN JAM[25], Piss on Your Grave[26], SKELETONS[27], 3500
- Pusha T - Coming Home[28]
- Ant Clemons - Freak
- Rich the Kid - Gimme A Second 2 & Plane Jane
- Drake - Find Your Love
- Future - KEEP IT BURNIN
- Vory - Daylight
- Big Sean - All Your Fault
- Teyana Taylor - We Got Love
- Post Malone - Internet
- The Weeknd - Tell Your Friends
- Mr. Hudson - Supernova
- The Game - Muls
- DJ Khaled - Use This Gospel (Feat. Eminem)[Remix][30]
- Sean Leon - Oxygen
- Rick Ross - Live Fast Die Young
- Lecrae & BEAM - Lift Me Up
- Osbe Chill - Floatin
[1] 공식 앨범 커버가 아니다. 해당 사진은 MBDTF 시절의 아트.[2] 칸예가 Good Ass Job 앨범을 위해 모아둔 비트들이다. 비트 제작 시기는 2008년부터 2010년 4월까지.[3] 본 커버는 앨범 뒷면이며, 앞면에는 손글씨로 THANK GOD FOR DRUGS라고 쓰여 있다. 검은색 배경에 푸른색 피부를 한 사람이 등장하는 완전히 다른 커버도 있다.[4] 하지만 Bound 2가 되면서 타일러가 프로듀싱했던 것들은 사라진다.[5] 다른 제목으로는 Nobody To Love.[6] 좀 더 채도가 높은 인디언 해골 버전도 있으며, 해골 머리에 날개가 달린 버전, 해골 전신이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버전 등 바리에이션이 굉장히 많다. 공통점은 다 해골 그림이라는 것.[7] 다만 이 트랙은 존 레전드의 솔로 앨범을 위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중간 칸예 파트는 레퍼런스로 보여진다.[8] 참고로 돈다 웨스트는 마지막 성형 수술 이후 부작용으로 사망했다. 후에 의사 면허를 박탈당하기는 했으나 칸예 입장에서는 어머니를 살해했다고 볼 수도 있는 사람인데, 이제는 그를 용서하고 싶다는 뜻에서 사용한 것이다. 당연히 그 의사는 커버 사용에 경기를 하며 반대했다.[9] 그 외에도 All Mine (Kanye West), DRUNK (Kanye West & Ty Dolla $ign), Wouldn't Leave (Kanye West), Reborn (KIDS SEE GHOSTS), Yikes (Kanye West)가 제작되었지만 처음 제작될 당시 칸예의 곡이 아니었다.[10] 이후 Donda 디럭스 버전에 수록된다.[Remix] JESUS IS KING에 수록된 Use This Gospel의 리믹스 버전이다.[12] 팬들 사이에서 흔히 불리는 명칭이다.[13] 유출곡은 아니고, 칸예가 직접 발표했다 삭제됐다.[2022] 2022년 작업 & 공개[15] VULTURES 3에 수록된다는 소문도 있고, 더 긴 팬메이드 Instrumental 버전도 있으나, 벌스가 들어간 버전은 이 버전이 유일하다.[2023] 2023년 작업[2023] 2023년 작업[18] 가사가 전부 다 찡찡불평하는 내용이다.[원문] 'Tweeted Deathcon for freedom,' 'Can't nobody tell me what to do', 'Everyone has something to say about the t-shirt', 'But ain't say nothing when a bitch take my kids from me'[20] Vultures 3 is on the way[21] 동시에 자신의 4집 앨범인 Tycoon의 발매도 예고했다.[22] #[23] VULTURES 트릴로지의 낮은 퀄리티와 평가 때문에 사람들의 VULTURES 3보단 Donda 3의 기대감이 더 높은 것 때문으로 추측된다.[24] 해당 싱글은 IN A PERFECT WORLD에 수록될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25] I am a God의 데모를 재활용한 것이다.[26] So Help Me God에 실릴 예정이였으나, Travis Scott의 FML과 교환했다.[27] 정확히는 작업 중 칸예한테 넘어갔다가 다시 돌려받았다.[28] Yeezus 2에 실릴 예정이였다.[Remix] JESUS IS KING에 수록된 Use This Gospel의 리믹스 버전이다.[30] 본래 Jesus Is King: Dr Dre's Version에 수록될 곡이었으나 앨범의 발매 자체가 취소되면서 DJ 칼리드에게 넘어가 God Did에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