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 {{{#ffffff {{{+1 장비}}}}}} | ||||
워프레임 | 무기 | 동반자 | 아크윙 | 착륙정 | |
K-드라이브 | 레일잭 | 네크라메크 | |||
{{{#ffffff {{{+1 업그레이드}}}}}} | |||||
모드 | 리벤 모드 | 아케인 | 포커스 | 플렉서스 | |
헬민스 | |||||
{{{#ffffff {{{+1 기초 플레이 정보}}}}}} | |||||
조작 | 마스터리 랭크 | 오비터 | 피해 유형 | 자원 | |
클랜 | 소모품 | 일일 접속 보상 | |||
{{{#ffffff {{{+1 미션 관련 정보}}}}}} | |||||
미션 | 퀘스트 | 보이드 균열 | 콘클레이브 | 신디케이트 | |
이벤트 | 나이트웨이브 | 보존 | 낚시 | 채광 | |
{{{#ffffff {{{+1 등장 적 정보}}}}}} | |||||
적 일람 | 보스 | 암살자 | 아이돌론 | 오브 마더 | |
쿠바 리치 | 파보스의 자매들 | 테크노사이트 코다 | 집정관 | ||
{{{#ffffff {{{+1 지역}}}}}} | |||||
성계 지도 | 릴레이 | 아이돌론 평원 | 오브 협곡 | 캠비온 퇴적지 | |
프록시마 | 두비리 | 홀바니아 | |||
{{{#ffffff {{{+1 세계관}}}}}} | |||||
등장인물 | 진영 | 조각들 | 언어 | 레퀴엠 | |
{{{#ffffff {{{+1 기타}}}}}} | |||||
초보자 가이드 | 게임 용어 | 문제점 | 캡처라 | 미니게임 | |
도전과제 | 워프레임 마켓 | 코믹스 | 사운드트랙 | TennoCon |
워프레임 목록 (가나다순 정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5px -10px" [[Warframe/워프레임/Cyte-09|{{{#!wiki style="margin: -10px -0px; 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text-align: center; border: none; vertical-align: top; display: inline-block;" | <tablewidth=100%> |
Cyte-09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가루다| 가라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가우스| 가루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그렌델| 가우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나이더스| 그렌델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나타| 나이더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네크로스| 나타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노바| 네크로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닉스| 노바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다가스| 닉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단테| 다가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라보스| 단테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라이노| 라보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레버넌트| 라이노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로키| 레버넌트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림보| 로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매그| 림보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메사| 매그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미라지| 메사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바루크| 미라지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바우반| 바루크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발키르| 바우반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밴쉬| 발키르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보루나| 밴쉬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볼트| 보루나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새린| 볼트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세바고스| 새린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스티아낙스| 세바고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시트린| 스티아낙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아틀라스| 시트린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애쉬| 아틀라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야렐리| 애쉬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엑스칼리버| 야렐리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엠버| 엑스칼리버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오공| 엠버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오베론| 오공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옥타비아| 오베론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위습| 옥타비아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이나로스| 위습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이바라| 이나로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이쿼녹스| 이바라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자이어| 이쿼녹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자쿠| 자이어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제이드| 자쿠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제피르| 제이드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칼리반| 제피르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코라| 칼리반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코르벡스| 코라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코우메이| 코르벡스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쿨레르보| 코우메이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크로마| 쿨레르보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템플| 크로마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트리니티| 템플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티타니아| 트리니티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프로스트| 티타니아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프로티아| 프로스트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하이드로이드| 프로티아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해로우| 하이드로이드 |
||<tablewidth=100%><nopad>
||
]][[Warframe/워프레임/힐드린| 해로우 |
||<tablewidth=100%><nopad>
||
]] 힐드린 |
}}}||
총 60개 (프라임 46개) • 38.5 테크병 앙코르 기준 |
1. 개요
업데이트 38.5 테크병 앙코르 트레일러 |
2. 능력치
템플 Temple | ||
| ||
<rowcolor=#fff> 스테이터스 | 초기치 | 30랭크 |
체력 | 405 | 505 |
실드 | 225 | 325 |
에너지 | 165 | 215 |
방어력 | 325 | |
질주 속도 | 1.0 | |
오라극성 | | |
엑실러스 극성 | - | |
극성 | | |
플레이 스타일 | | |
화려함으로 불타오르는 인페스티드 기타인 리지로 무장한 템플의 강력한 화음은 혁명의 불꽃을 밝힙니다. |
3. 제작
설계도 | ||||
1 | 1 | 1 | - | - |
설계도 획득 | 가격 | - | ||
완제품 획득 | 상점 | 가격 | - |
| |||||||
- | - | - | - | - | |||
설계도 획득 | - | ||||||
| |||||||
- | - | - | - | - | |||
설계도 획득 | - | ||||||
| |||||||
- | - | - | - | - | |||
설계도 획득 | - |
템플과 템플의 시그니처 무기인 라이엇-848의 설계도와 부품들은 홀바니아의 무대 방어 미션에서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드랍 테이블이 A,B,C 모두에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2] 미션 보상 외에도 매 3라운드를 완료할 때마다 지급되는 자원인 고동치는 심금을 모아 쇼핑몰의 플레어에게서 직접 설계도들을 구매하는 것으로 획득할수도 있으며, 구매시 1세트당 총 390개의 심금이 필요하다.
4. 어빌리티
- 백비트(Backbeat): 백비트 메트로놈에 맞춰 어빌리티를 연주할 시 어빌리티 효과가 강화되며, 동시에 어빌리티 효율이 50% 증가합니다.
- 인게임 화면 조준점에 메트로놈 UI가 표시됩니다. 메트로놈 진자는 78bpm 박자로 움직이며, 중간 영역에서 지나갈 때 마다 메트로놈에 불빛이 들어옵니다.
- 무기고에서 어빌리티 항목에 들어가 '메트로놈 사운드'를 체크하면 어빌리티를 사용시 메트로놈 소리가 잠시 활성화됩니다.
- 파이로테크닉스 : 백비트 사용 시 2배의 불기둥 생성.
- 오버드라이브 : 백비트 사용 시 2배의 치명타 확률.
- 리퍼즈 웨일: 백비트 사용 시 4초의 추가 무적 시간. 파이로테크닉스와 오버드라이브로 적 공격 시 화염 피해 보너스 증가 및 지속 시간 증가.
- 익절티드 솔로: 백비트 사용 시 에너지 소모 없음.
템플은 조준선 아래에 추가로 아날로그 메트로놈 UI가 표시되며 이 메트로놈은 1초당 1.3 박자로 진자가 좌우운동한다. 진자가 UI의 중간 영역을 지나갈 때 타이밍에 맞춰서 어빌리티를 사용하면 에너지 효율 증가 등의 추가 효과들과 함께 전용 게이지를 상승시킬 수 있는데, 이 게이지는 템플의 익절티드 웨폰인 리지를 사용할 때 자원으로 소모된다. 메트로놈은 범위 판정이 꽤 넉넉해서 템포만 잘 맞춘다면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역으로 말하면 워프레임의 디자인 구조상 템플을 사용하는 플레이어가 박치인 경우 100% 제성능을 내기가 어렵고, 박치가 아니더라도 난전 상황에서조차 메트로놈의 템포에 주의해야 하기에 워프레임 자체의 운용 난이도가 높다는 뜻이기도 하다. 다행히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자는 78bpm으로 운동하는데, 워프레임의 시스템상 기본 IPS도 1.3에 근접하기 때문에 한번 타이밍을 맞추고 어빌리키 사용키를 연타하면 자동으로 진자에 맞춰 어빌리티를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템플은 모딩 등으로 어빌리티 시전 속도를 챙길 경우 주의해야 하는데, 시전 속도가 빨라지면 자동으로 IPS도 증가해서 진자와 타이밍이 미묘하게 어긋나게 되므로 상술한 연타를 활용할 수 없게 된다. 게다가 어빌리티 효율이 증가하더라도 기본적으로 게이지 충전을 위한 시전 횟수 자체가 많기 때문에 에너지 관리가 꽤 어렵다는 점도 운용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데 일조한다. 사족으로 메트로놈에 맞춰 어빌리티를 사용하면 관객들의 환호 소리가 들리는 사운드 효과도 존재하며, 메트로놈 소리도 실제로 들어볼 수 있다.
4.1. 파이로테크닉스
파일:Temple_Pyro.png | ||||
화염 피해를 가하는 기둥으로 목표한 적들을 폭파시킵니다. 백비트 타이밍: 더 많은 화염 기둥 생성. 리퍼즈 웨일이 피해를 입힐 때의 지속 시간 및 화염 피해 증가. 발동키: 숫자 1 | ||||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소모량[효율] | 25 | |||
랭크 | 0 | 1 | 2 | 3 |
피해[위력] ( | 550 | 700 | 850 | 1000 |
최대 기둥 수 | 3 | 3 | 4 | 5 |
사거리 | 25m | |||
범위[거리] | 20m | |||
리퍼즈 웨일 보너스[지속시간] | 3초 | 4초 | 5초 | 6초 |
- 템플이 바닥에서 불기둥을 뿜어 전방의 적들에게 피해를 줍니다.
- 플레이어 화면 기준으로 화면 내 적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 확정으로 화염 상태 이상을 발생합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사용 시 익절티드 솔로 탄약을 55만큼 충전시킵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사용 시 불기둥이 2배 더 생성됩니다.
- 이 어빌리티는 헬민스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시전시 조준선 주변 20m 내의 적들의 발 아래에서 무대 화염을 발생시켜 화염 피해와 상태이상을 입힌다. 어빌리티 거리 모딩으로 불기둥 생성 사거리는 늘릴 수 없지만 불기둥의 피해 범위 반경은 늘릴 수 있다. 시전 속도가 빠른데다 확정적으로 화염 상태 이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백비트 게이지 수급과 화염 상태이상 누적에 좋은 어빌리티다.
백비트 메트로놈에 맞춰 사용하면 생성되는 불기둥의 수가 2배로 늘고, 3번인 리퍼즈 웨일을 사용 중이라면 지속 시간을 늘리고 화염 피해 보너스 수치를 증가시킨다.
4.2. 오버드라이브
파일:Temple_OverDrive.png | ||||
확성기를 엄청난 디스토션으로 구동하여 화염 피해를 가하는 파동을 생성함과 동시에 적들의 치명타 확률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킵니다. 백비트 타이밍: 치명타 취약성 두 배. 리퍼즈 웨일이 피해를 입힐 때의 지속 시간 및 화염 피해 증가. 발동키: 숫자 2 | ||||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소모량[효율] | 25 | |||
랭크 | 0 | 1 | 2 | 3 |
피해[위력] ( | 300 | 450 | 600 | 750 |
치명타 확률[위력] | 10% | 15% | 20% | 25% |
거리[거리] | 14m | 16m | 18m | 20m |
지속 시간[지속시간] | 8초 | 12초 | 16초 | 20초 |
리퍼즈 웨일 보너스[지속시간] | 3초 | 4초 | 5초 | 6초 |
각도 | 100° |
- 치명타 확률은 다른 치명타 확률에 최종적으로 합연산 되어서 계산됩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사용 시 에너지 효율이 50% 증가하고, 익절티드 솔로 탄약을 55만큼 충전하며, 치명타 확률 보너스가 2배 증가합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사용 시 리퍼즈 웨일의 화염 피해 보너스가 증가합니다. 수치는 리퍼즈 웨일의 수치를 따릅니다.
시전시 템플의 좌우로 기타 앰프를 소환해서 바라보는 방향의 사거리 내에 있는 적들에게 화염 상태 이상과 피해를 입히고 치명타 확률 취약성 디버프를 걸어 치명타 피해에 취약하게 만든다. 해당 디버프는 어빌리티 효과가 계산되기 전이 아닌, 계산 후 합산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그냥 관통 상태이상의 어빌리티 버전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백비트 메트로놈에 맞춰 사용하면 치확이 2배로 증가하므로 어빌리티 위력 200%에서 백비트 시너지까지 받으면 치명타 확률을 100% 증가시킬 수 있다. 템플의 어빌리티들 중에서도 꼭 메트로놈에 맞춰서 사용해야 효율이 좋은 어빌리티.
4.3. 리퍼즈 웨일
파일:Temple_Ripper.png | ||||
기타를 연주할 시 템플이 잠시동안 무적 상태가 되며, 동시에 체력이 회복됩니다. 백비트에 맞춰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적에게 성공적으로 명중시킬 때마다 숙련도 공유 범위에 있는 아군의 무기에 추가 화염 피해가 부여됩니다. 백비트 타이밍: 무적 지속 시간 증가. 발동키: 숫자 3 | ||||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소모량[효율] | 50 | |||
랭크 | 0 | 1 | 2 | 3 |
화염 피해[위력] | 30% | 45% | 60% | 75% |
백비트 보너스[위력] | 2% | 3% | 4% | 5% |
화염 피해 최대치 | 750% | |||
초당 체력[위력] | 50% | |||
지속 시간[지속시간] | 15초 | 20초 | 25초 | 30초 |
최대 지속 시간 | 60초 | |||
무적 지속 시간 | 3초 | |||
무적 보너스 | 4초 |
- 어빌리티 사용 시 3초간 무적이 되며 템플이 체력을 재생합니다. 최대 체력을 넘어선 추가 체력은 50% 비율로 오버쉴드로 치환됩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사용 시 에너지 효율이 50% 증가하고, 익절티드 솔로 탄약을 55만큼 충전하며, 무적 지속 시간이 4초 증가합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템플의 어빌리티 사용 시 화염 피해 보너스가 증가하여 최대 750%까지 증가합니다. 지속시간 또한 증가하여 최대 60초까지 증가합니다.
시전시 무적 상태에서 기타 솔로를 연주해서 체력을 회복하고 화염 피해를 증가시키는 버프기다. 피해 증가는 최대 750%까지 60초 동안 지속할 수 있다. 어빌리티 시전 도중에 1, 2, 3번을 백비트 메트로놈에 맞춰 사용하면 화염 피해와 지속 시간이 증가한다. 사실상 템플의 피해량 뻥튀기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어빌리티 명칭의 "리퍼"는 템플의 프로토프레임인 플레어가 속해 있던 밴드인 "템플과 리퍼들"의 나머지 밴드 멤버들을 의미한다.
또한 생존기로서도 굉장히 좋다. 기본적으로 3초간의 무적이 주어지고 백비트에 맞춰 사용 시 4초간의 추가 무적 시간이 주어진다. 또한 시전 시 체력이 차는데 이때 체력을 넘어선 수치는 오버쉴드로 치환된다. 사실상 무적 + 풀피 능력인 것.[18] 다만 무적 시간은 모딩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 수치이며, 시전이 끝나기 전까지 시전 위치에서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고티어의 미션에서 운용할 때는 헬민스로 다른 생존기를 주입하는 것이 추천된다.
최근에 나온 워프레임답게 사거리가 모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숙련도 공유 범위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4.4. 익절티드 솔로
파일:Temple_Solo.png | ||||
백비트 메트로놈에 충전율이 쌓이면, 리지를 불타오르게 하여 적들을 화염으로 지져버립니다. 조준하는 동안 리지는 천둥과도 같은 원소 음파로 적들을 휩쓸며, 어빌리티 제어를 통해 원소 피해 유형을 바꿀 수 있습니다. 백비트 타이밍: 에너지 소모 없음. 발동키: 숫자 4 | ||||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소모량[효율] | 75 | |||
랭크 | 0 | 1 | 2 | 3 |
피해 증폭량[위력] | 1x | 1.08x | 1.15x | 1.25x |
웨이브 상태 이상 보너스 | 3 |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어빌리티 사용 시 익절티드 솔로의 탄약이 55 추가됩니다.
- 최소치 기준으로 5번의 어빌리티 사용으로 탄약을 가득 채울 수 있습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사용 시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습니다.
-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원소 음파 사용 시 충격 상태 이상 3회를 중첩시킵니다.
템플의 익절티드 무기인 리지(Lizzie)를 꺼내 주무기 대신 장비한다. 리지는 영미권의 여성 인명인 엘리자베스의 약칭인데, 그 이름대로 익절티드 무기이면서 동시에 자의식을 지닌 인페스티드 기타로 일렉트릭 기타의 연주 기능 뿐만 아니라 화염 방사기도 내장되어 있는 범상치 않은 무기이다. 다만 인페스티드답게 평범한 기타는 아니고 3현 발현악기인 샤진에 추가로 넥이 하나 더 달려서 6현 일렉 기타를 이룬 외형을 하고 있으며, 리지 본인이 직접 말을 할 때도 넥과 현을 발성기관처럼 사용해서 대화한다.
일반적인 익절티드 무기와는 달리 에너지 대신 백비트 메트로놈 게이지를 탄약으로 사용하며 탄약이 아예 없다면 리지를 꺼내 들 수도 없다.
4.4.1. 리지
리지 Lizzie | |||||
| |||||
리지는 테크병에 감염된 플레어의 피에서 태어났습니다. 단순한 악기가 아닌 그녀는 불을 뿜어내는 격노로 자신의 현을 울려 소리를 퍼뜨립니다. | |||||
기본 공격 | |||||
공격력 | 85 | 발사 방식 | 고정형 | ||
속성 피해 | | 85 | 치명타 | 35% | 3.5x |
빔 거리 | 10 m | 상태이상 | 35% | ||
소음 | 위험함 | 정확도 | 매우 높음 | ||
연사력 | 12.8 | 최대 차지 | 275 | ||
바이럴 웨이브 | |||||
속성 피해 | | 100 | 치명타 | 15% | 3.2x |
연사력 | 8.53 | 상태이상 | 25% | ||
두께 꿰뚫기 | 1.4 | 탄창 | 무한 | ||
마그네틱 웨이브 | |||||
속성 피해 | | 100 | 치명타 | 15% | 3.2x |
연사력 | 8.53 | 상태이상 | 25% | ||
두께 꿰뚫기 | 1.4 | 탄창 | 무한 | ||
콜드 웨이브 | |||||
속성 피해 | | 100 | 치명타 | 15% | 3.2x |
연사력 | 8.53 | 상태이상 | 25% | ||
두께 꿰뚫기 | 1.4 | 탄창 | 무한 | ||
코로시브 웨이브 | |||||
속성 피해 | | 100 | 치명타 | 15% | 3.2x |
연사력 | 8.53 | 상태이상 | 25% | ||
두께 꿰뚫기 | 1.4 | 탄창 | 무한 | ||
극성 슬롯 | | 엑실러스 극성 | 없음 |
- 리지는 주무기이며 엑실러스 칸과 주무기 아케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좌클릭 시 기본 공격이 나갑니다. 우클릭으로 조준 시 어빌리티 버튼이 원소 음파버튼으로 치환되며 웨이브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 웨이브 공격은 기본 공격과 다른 스펙을 지니고 있습니다.
- 웨이브 공격 시 웨이브 상태 이상과 충격 상태 이상을 확정적으로 부여합니다.
- 웨이브 공격은 모드랑 상호 작용이 됩니다.[상태이상][22]
- 웨이브 공격에는 쿨다운이 따로 없으며 기존 무기처럼 공격 가능합니다.
- 웨이브 공격은 히트스캔이 아니라 투사체가 있는 공격입니다.
- 백비트 맞춰 웨이브 공격 시 충격 상태 이상 3개가 확정적으로 부여됩니다.
- 해당 무기의 공격력 수치는 4번의 영향을 안 받은 상태입니다.
- 3랭크 기준 화염 피해는 106.2, 웨이브 피해는 125 입니다.
리지는 일반 공격으로 화염을 방사하고 보조 공격으로는 음파 웨이브를 발사하며, 모든 공격이 강제로 상태 이상을 부여하는 무기다. 기본 공격은 화염 상태 이상을 무조건 부여하고 나머지 웨이브들도 바이러스, 자성, 냉기, 부식을 부여한다. 충격 속성은 웨이브 전부 부여한다. 만약 모드로 다른 속성을 챙기면 웨이브 속성은 확정적으로 부여하고 모드로 챙긴 속성은 상태 이상 확률에 따라 부여된다. 냉기는 다른 속성과 달리 복합 속성이 아니라서 다른 속성과 합쳐질 수 있는데, 만약 독성 모드를 챙겼으면 상태 이상 확률에 따라 폭발 속성을 부여하고 냉기 상태 이상은 확정적으로 부여한다.
시스템 상 탄약 총량은 275인데 이는 리지를 사용하는 도중에도 백비트 타이밍에 맞춰 어빌리티를 사용하는 것으로 소모된 만큼 다시 채울 수 있다. 탄약이 아예 없으면 해당 익절을 들고 있을 수 없으며, 익절 무기 특성상 재장전 기능도 없기 때문에 사실상 무한탄창에 가깝다.
성능 외적인 측면에서는 테크병에 감염된 플레어의 DNA와 플레어 본인의 뮤지션으로써의 잠재 의식, 그리고 알브레히트 엔트라티의 헬민스 프로토프레임 혈청이 결합되어 탄생한 독립적인 인페스티드 개체라는 설정이며, 리지라는 이름답게 일반적인 인페스티드들과는 달리 인간 여성의 인격과 목소리를 지니고 있다. VA는 아만다 아첸(Amanda Achen)이라는 성우 겸 보컬리스트. 또한 플레어에게서 태어난 만큼 플레어와 의식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플레어의 몸을 조종하는 방식으로 키네마틱 인스턴트 메세지를 통해 리지와 채팅을 해볼수도 있다. 리지는 플레어에 대해 조금 과할 정도로 집착하는 발언을 자주 일삼는 것이 특징인데, 여기서 리지가 인페스티드라고 해서 대놓고 적대하거나 플레어와 갈라놓으려는 선택지를 잘못 선택할 경우 인게임에서 리지의 점프스케어가 등장하기도 하므로 주의하자. 깜놀주의
5. 스킨
- 템플 제미니 스킨(Temple Gemini Skin)
템플과 동시에 출시된 제미니 스킨. 템플의 외형을 헥스의 일원이자 프로토프레임 팀 "원탁"의 인물인 플레어 바를레온으로 바꿔준다. 구매 시 증정되는 플레어 제미니 감정 표현을 통해 미션 도중이나 릴레이에서 언제든지 템플과 플레어의 모습을 자유롭게 오갈 수도 있으며, 익절티드 무기인 리지의 외형도 템플과 플레어가 서로 달라진다.
6. 운용
파이로테크닉스는 광범위의 적들에게 정확한 조준 없이도 다수의 화염 상태이상을 빠르게 중첩시킬 수 있고, 오버드라이브는 치명타 확률 증가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템플은 어빌리티 딜러로 운용하되, 일반 어빌리티는 백비트 게이지의 충전에 목적을 두고 딜링 자체는 익절티드 솔로에 의존해야 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템플은 패시브를 잘만 활용한다면 추가 어빌리티 효율 +50%를 상시 적용받을 수 있으며, 이는 스트림라인 등으로 효율을 30%만 더 챙겨줘도 최대 효율 수치를 달성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익절티드 솔로조차 시전 시 소모하는 에너지를 제외하면 효율과 지속 수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백비트 게이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효율을 130%로 맞춰 놓고, 취향에 따라 어빌리티 위력 / 지속 / 범위를 맞추는 것이 추천된다. 익절티드 무기는 그 특성상 위력 수치에 상관 없이 자체 모딩만으로도 매우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보통은 어빌리티 지속과 범위를 주로 챙기는 편.
또한 리퍼즈 웨일에 완전 무적과 체력 회복 효과가 달려있긴 해도 추가 화염 데미지 버프를 제외하면 어빌리티 지속 시간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데다 기본적으로 무적 시간이 3초, 백비트 메트로놈 타이밍에 맞춰서 시전을 해도 7초 정도로 그다지 지속시간이 긴 편이 아니기 때문에 템플은 생각보다 생존기가 부실한 축에 속한다. 따라서 7초마다 리퍼즈 웨일을 사용해서 무적 효과와 백비트 게이지를 챙기는 것도 좋지만, 모딩이나 헬민스를 통해 생존력을 추가로 보강하는 것도 좋은 운용 방법이다.
7. 평가
템플의 특징은 높은 운용 난이도와 절륜한 익절티드 무기로 요약할 수 있다. 상술한 패시브로 인해 정신없는 난전 상황에서도 메트로놈을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시 필연적으로 반응 속도와 주변 환경의 대처가 늦어지고, 이는 생존의 문제로 직결되는 데다가 템플은 생존기마저도 지속시간이 짧고, 시전시 제자리에서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 주변 상황을 잘 살펴보고 사용해야 한다. 패시브를 무시하려 해도 패시브로 부여받는 추가 효과가 상당한 메리트를 제공하는 데다 익절티드 어빌리티의 유지력과 연관되기 때문에 이를 아예 포기할 수도 없는 노릇.한편 이러한 문제를 딛고 사용할 수 있는 리지의 성능은 과거 뉴비 삼신기의 일각으로 불리웠던 화염방사기 이그니스 레이스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태생이 익절티드 무기인지라 기본 성능 수치도 높고, 화염방사기 특유의 고정형 트리거 발사 방식 덕분에 사용감도 편한데다, 기본 공격 외에도 조준 시 어빌리티 사용키를 통해
성능 외적으로는 이전에 인게임에 추가되었던 Cyte-09 이상으로 프로토프레임과 원본 워프레임간의 서사와 연관성이 강화된데다, 무려 글램 락의 대부 데이비드 보위와 인페스티드의 하이브 마인드와 연결된 말하는 기타인 리지와의 페어라는 독특한 캐릭터성이 좋은 평가를 들었다. 일부 게이머들은 화염방사기와 기타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의 등장인물 두프 워리어를 연상하기도 했는데, 마침 기본 배색도 서로 붉은 색 위주인지라 묘하게 비슷한 편.
8. 기타
- 모티브는 티렉스와 데이비드 보위를 위시한 1970년대 글램 록 뮤지션. 그 중에서도 전위적인 퍼포먼스들이 특징인 리드 기타리스트들을 모티브로 했다. 일반 무대 방어 미션에서 방어 대상으로 등장하는 플레어는 1980의 실드와 38500의 체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각각 데이비드 보위가 스케어리 몬스터즈를 발매한 년도와 영국의 월간 음악 잡지 Record Collector에서 데이비드 보위를 특집으로 다루었던 제 385호를 의미한다.
- 템플 또한 코르벡스나 Cyte-09과 마찬가지로 알브레히트 엔트라티가 제작했거나 제작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워프레임인데, 플레어가 알브레히트를 만나 프로토프레임이 되기 이전부터 몸담고 있던 밴드의 이름이 "템플과 리퍼들(Temple and the Rippers)"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KIM 메신저로 플레어와 유대를 끝까지 쌓으면 진실이 밝혀지는데, 템플은 본래 발라스가 설계한 워프레임이었으나 모티브가 본질적으로 로커인 만큼 반역과 투쟁 본능이 내재되어 있었기에 이름도 없이 동결했던 프로젝트를 엔트라티가 빼돌려 플레어에게 이식했고, 플레어는 1999 사건 이후 어느 혜성에 잠들며 워프레임 템플로 완전 변이, 그대로 우주를 떠돌다 옛 전쟁 시기 옥타비아의 드럼 비트 소리와 함께 나타나 텐노와 함께 오로킨을 끝장냈다는 루프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자쿠에 이어 두번째로 등장한 논바이너리 워프레임이다. 자쿠의 경우 워프레임 3체의 잔해로 이루어져 성별을 갖지 않는다는 설정이지만, 템플은 중성적인 분장과 복장이 특징인 글램 록의 특징을 반영해 처음부터 남성이나 여성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다. 템플의 프로토프레임 플레어 또한 논바이너리 캐릭터이며 성중립적인 대명사 they/them으로 지칭된다.
- 물론 워프레임의 성별은 배경 설정일 뿐, 다른 워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어 자신과 텐노의 성별과 전혀 상관없이 자유롭게 플레이할 수 있다.
- 템플 또한 세바고스나 코우메이처럼 전용 테마곡이 존재하는 워프레임으로, 무대 방어 미션에서 플레어가 리지를 통해 직접 연주하는 Lamenting the Days를 들어볼 수 있다. 설정상 이 노래는 플레어가 소속되어 있던 밴드인 "템플과 리퍼들"이 작사 및 작곡한 것으로, 미처 신곡을 제대로 발표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밴드 멤버들을 추모하고 계엄 상황에서 고통받는 홀바니아의 시민들에게 격려와 희망의 메세지를 담고 있는 노래라고.
9. 둘러보기
[include(틀:워프레임 출시 순서, 순서=60, 이전워프레임=Warframe/워프레임/Cyte-09, 이전워프레임표기=Cyte-09, 워프레임=템플, 다음워프레임=Warframe/워프레임/오락시아, 다음워프레임표기=오락시아)][스포일러] 동시에 플레어 본인이기도 하다.[2] 로테이션 A에서 0.97%, B에서 1.98%, C에서 4.58%의 확률로 모든 각 부품과 설계도를 획득할 수 있다.[효율] 효율에 영향을 받습니다.[위력] 위력에 영향을 받습니다.[거리] 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지속시간] 지속시간에 영향을 받습니다.[효율] [위력] [위력] [거리] [지속시간] [지속시간] [효율] [위력] [위력] [위력] [지속시간] [18] 위력이 챙겨지지 않으면 체력은 많이 채울 수 없다. 하지만 템플 운영 특성상 위력을 낮게 맞추지 않는다.[효율] [위력] [상태이상] 콜드 웨이브를 사용할 때 독성 상태 이상 모드로 바이러스 상태 이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이때 냉기, 충격 상태 이상은 무조건 부여됩니다.[22] 빔 사거리를 늘리는 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