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0:45:39

WARNO/아미 제너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ARNO
1. 개요2. Bruderkrieg (형제의 전쟁)
2.1. 바르샤바 조약2.2. NATO
3. Fulda Gap (풀다 갭)
3.1. 바르샤바 조약3.2. NATO
4. Airborne Assault (공수 강습)
4.1. 바르샤바 조약4.2. NATO
5. Left Hook (레프트 훅)
5.1. NATO5.2. 바르샤바 조약
6. Highway 66 (66번 고속도로)
6.1. NATO6.2. 바르샤바 조약

1. 개요

ARMY GENERALS. 캠페인. 스틸 디비전 2와 마찬가지로 협동전도 지원한다고 한다. 2024년 3월 말 패치로 캠페인 3인 협동전이 지원된다.

스틸 디비전 2때의 아미 제너럴보다 스케일은 좀 작아졌지만 대공/공군/피로도 등 전략요소는 좀 더 가다듬어졌다.

캠페인 전략목표를 확보해도 전투 교환비가 너무 낮으면 캠페인 결과상으로 비기거나 패배가 뜨며 업적이 안 깨지므로 주의하자.

전투 진입시 교환비가 우수해도 점령한 구역이 하나도 없어 적이 먼저 승리점수를 꽉 채워 버리면 패배로 판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방어를 한다고 해도 어느정도 구역을 확보해 놓아야 한다.

워게임과는 달리 전략지도가 섹터별로 딱딱 나누어져 있지 않으며 부대의 배치와 규모에 따라 유동적으로 전선이 변화한다. 포위되었는데 전투에서 패했다고 바로 부대가 섬멸되지는 않는다. 다만 워게임에 있었던 전투회피 기능은 없어졌고 일단 전투에 돌입 후 후퇴 명령을 내려야 한다. 이럴 경우 사기가 깎이고 피로도가 쌓인다.

부대는 액션포인트와 피로도가 존재하며 액션 포인트는 이동, 전투시 소모되며 피로도는 전투를 할 시 쌓이며 전투를 하지 않고 턴을 넘기면 차감된다. 피로도는 최대치가 6이며 전투에서 승리하면 피로도가 1, 패배할 시 4 쌓이게 된다.

그래서 피로도가 남아 있는 한 한 유닛으로 한 턴에 몇 번이고 전투를 걸 수 있으므로 캠페인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의 피로도가 상당히 높다. 끊임없이 전투를 거는 적 전투단 집단을 보면 언제 끝나나 싶어진다.

만약 피로도가 꽉 차있는데 공격을 받게 되면 그 부대는 지휘체계 붕괴로 인해 소멸하게 된다. 따라서 피로도가 남아 있다고 무작정 공격하지 말고 적당한 타이밍에 뒤로 빼 줘서 다른 부대와 교대를 해 주어야 한다. 또한 근처에 다른 아군 부대가 있을 경우 전투에 참여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부대를 AI가 지휘하게 할지 아니면 플레이어가 지휘하게 할 지 정할 수 있다.

정찰, 방공, 포병 등의 부대가 근처에 존재할 시 보조부대로 전투에 참여시킬 수 있다. 방공과 포병부대는 이동가능한 범위와는 별개로 각각 요격/포격 사거리가 따로 존재한다. 방공부대의 경우에는 해당 공역으로 적 전투기가 들어올 시 일정 확률로 적 전투기를 요격할 수 있다. 포병부대는 사거리 안에서 전투가 벌어 질 시 보조부대로 전투에 참여시킬 수 있다.

캠페인은 공자와 방자측을 모두 플레이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분량이 두배라고 보면 된다.

2. Bruderkrieg (형제의 전쟁)


1989년 6월 20일, 독일. 독일 내륙 국경을 가로지르는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전략적 공세는 나토를 크게 놀라게 했다. 나토의 CENTAG에 맞선 소련 제8근위군은 5시에 다각적인 공격을 시작했다.

목표는 주요 군사 목표이자 교통의 요충지인 제5군단이 있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이다. 최전방에서 제11기갑기병연대는 고립된 몇 개 대대와 함께 몇 시간 동안 격렬한 저항을 펼쳤다.

압도적인 화력으로 결국 소련군은 풀다에 돌파구를 마련한다. 기갑 선봉대가 프랑크푸르트로 진격했다. 북쪽으로는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이 주 침공군의 측면을 맡게 되었다.

그들은 바트헤르스펠트로 진격한다. 국가인민군은 더 진격하여 아스펠트를 점령하고 엄호 부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렇게 하면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공격 축을 독일 연방군 제5기갑사단의 반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것이다.

나토는 프랑크푸르트에 대한 소련의 공격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바르샤바 조약군의 알스펠트 점령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일련의 치열한 전투가 기다리고 있다.
  • 목표
    • 바트헤르스펠트(Bad Hersfeld): 소유자에게 5pt, 턴 당 3pt
    • 알스펠트(Alsfeld): 소유자에게 5pt, 턴 당 1pt

1989년 6월 20일, 바르샤바 조약기구가 동서독 국경을 넘으며 제3차 세계대전의 시작을 알린다.

유럽 중부전선에서 나토 중부집단군(CENTAG)과 마주한 소련 제8근위군은 5시를 기해 미 제5군단 본부가 있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을 목표로 다각적인 공세를 시작한다.

소련의 주공은 풀다 갭(Fulda Gap)에 집중되었으며, 이를 막아내던 미 제11기갑연대는 압도적인 화력을 버텨내지 못하고 불과 몇시간만에 풀다 갭을 돌파당한다. 소련군은 멈추지 않고 프랑크푸르트암마인으로 계속 진격한다.

소련군이 프랑크푸르트를 점령하는 동안 북쪽에 주둔한 서독 제5기갑사단이 반격을 가하지 못하도록 하기위해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이 소련 주공의 북쪽 측면에 배치되어 임무를 맡는다.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은 바트헤르스펠트(Bad Hersfeld)를 돌파한 후 알스펠트(Alsfeld)를 점령하고 서독 제5기갑사단의 공격을 막아내야한다.

아미 제너럴 캠페인 중 가장 규모가 작다. 얼리 액세스 시절에 나온 유일한 아미 제너럴인 것도 있고, 이 캠페인이 시험용으로 만들었다가 공개해버린 풀다 갭 캠페인의 맛보기 버전인 것 때문이기도 하다. 실제로 풀다 갭 캠페인 맵의 북부는 브뤼더크리크와 완전히 동일하다.

2.1. 바르샤바 조약

바우얼라인 소장: 4차량화소총사단은 프랑크푸르트 방향 공세의 북쪽 측면을 지키는 거다. 알스펠트를 점령하면 연방군 5기갑사단의 반격을 막을 수 있다. 지금 우리는 두 개 기갑여단을 상대하고 있다. 놈들을 가능한 한 오래 묶어두어야 한다. 3일 후 소련군이 전차와 포병대를 추가로 지원한다. 그 증원군이 있으면 계속해서 마르부르크로 나아갈 수 있다. 뮐러 소령?
뮐러 소령: 감사합니다, 장군 동지. 첫 번째 목표는 11기갑기병연대 3대대가 버티고 있는 바트헤르스펠트입니다. 기습이기에 우리가 수적으로 유리합니다. 이 미군 기갑부대가 알스펠트로 후퇴할 수 있을 만한 경로는 전부 차단해야 합니다. 소수 서독 예비군 부대만 알스펠트를 지키고 있습니다. 연방군이 우리 상대로 기갑여단을 투입하는 데는 최소 24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알스펠트를 빨리 점령할수록 적을 더 강하게 받아칠 수 있습니다. 도시를 23일까지 확보하십시오. 행운을 빕니다, 장군 동지.

[ 전투 서열 ]
* 바르샤바 조약 주독소련군집단
  • 동독 제3군구
    •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 게르슈퉁겐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동독 제4포병연대 3대대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 프리데발트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동독 제4포병연대 2대대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 필립슈탈
        • 동독 제4포병연대 1대대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동독 제4기갑연대 - 프리데발트
        • 동독 제4다연장로켓대대
        • 동독 제4기갑연대 1대대
        • 동독 제4기갑연대 2대대
        • 동독 제4기갑연대 3대대
      • 동독 제4정찰대대 - 프리데발트
      • 동독 제4지대공미사일연대 - 빌데크
      •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 본부 - 게르슈퉁겐 남서쪽
    • 동독 제2공병연대 일부 - 프리데발트
  • 소련 제16공군
    • 동독 제1방공사단
      • 동독 제37전투폭격항공단
      • 동독 제8전투항공단


2.2. NATO

리히터 대장: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이 바트헤르스펠트로 전진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네. 알스펠트를 확보할 생각이야. 우리가 소련군 공세에 맞서 반격하면 막기 아주 좋은 곳이지. 5기갑사단이 국가인민군보다 먼저 알스펠트에 도착해야 해. 베커 소령, 양키들과 연락은 되나?
베커 소령: 연락했습니다, 장군님. 11기갑기병연대 3대대가 바트헤르스펠트에 있습니다. 몇 시간 이상 버티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당장 알스펠트로 후퇴시켜 거기 있는 우리 예비군과 합류시키는 게 좋을지도 모릅니다. 우리 구역의 NATO 군은 적으며 증원이 올 때까지는 시간이 걸릴 겁니다. 슈바르첸보른의 152기갑척탄병대대가 즉시 합류할 수 있습니다. 저녁에는 142기갑척탄병대대가 도착할 겁니다. 나머지 14기갑여단 부대와 13기갑척탄병여단은 아무리 빨라도 내일에야 옵니다. 그때까지는 있는 부대로 싸워야 합니다. 위치를 사수해야 합니다!

[ 전투 서열 ]
* NATO 중부집단군
  • 서독 제3군단
    • 서독 제3방공사령부
      • 서독 제330방공연대 - 6턴에 키르히하인에 등장
      • 서독 제340방공연대 - 9턴에 게뮌덴에 도착
    • 서독 제5기갑사단
      • 서독 제13기갑척탄병여단 - 9턴에 게뮌덴에 등장
        • 서독 제134기갑대대
        • 서독 제135기갑포병대대
        • 서독 제131기갑척탄병대대
        • 서독 제132기갑척탄병대대
        • 서독 제133기갑척탄병대대
      • 서독 제14기갑여단
        • 서독 제142기갑척탄병대대 - 3턴에 슈발름슈타트에 등장
        • 서독 제141기갑대대 - 6턴째 슈타탈렌도르프에 등장
        • 서독 제143기갑대대 - 6턴째 슈타탈렌도르프에 등장
        • 서독 제144기갑대대 - 6턴째 슈타탈렌도르프에 등장
        • 서독 제145기갑포병대대 - 6턴째 슈타탈렌도르프에 등장
      • 서독 제15기갑여단
        • 서독 제152기갑척탄병대대 - 슈바르첸보른
  • 서독 남부영토사령부
    • 서독 제44방위지구사령부
      • 서독 제442방위지역사령부 - 4턴에 알스펠트에 등장
  • 미국 제5군단
    • 미국 제11기갑기병연대
      • 미국 제11기갑기병연대 3대대 - 바트헤르스펠트
  • 미국 제4연합전술공군
    • 서독 제2항공사단
      • 서독 제74전투항공단 1대대



2턴에는 증원군을 요청할 수 있지만 바르샤바 조약측의 전자전으로 제22로켓포대대와 제5정찰대대 중 하나만 선택해야한다. 선택한 대대는 홈버그에 등장한다.

5턴에는 풀다에서 폭탄을 투하하지 않고 귀환하는 미군 F-111 편대를 이쪽을 거쳐가게 할 수 있다. 이러면 5턴 단 한 턴 동안만 F-111 편대를 쓸 수 있게된다. 지원을 받지 않을 경우 대신 승점을 받는다.

초반 바트헤르스펠트에서 버티고 있는 미군 제11기갑기병연대 3대대를 바르샤바 조약군이 물고 늘어지는데, 두세 번 정도 수동전투를 돌려 병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알스펠트까지 쭉 후퇴하면서 서독 지원군, 특히 9턴째에 등장하는 제5기갑사단 휘하 병력이 올 때까지 버티기만 하면 어지간하면 메이저 빅토리, 못해도 마이너 빅토리 정도는 띄울 수 있다.

3. Fulda Gap (풀다 갭)


  • 목표
    • 게데른(Gedern): 소유자에게 5pt, 턴 당 0pt
    • 겔른하우젠(Gelnhausen): 소유자에게 5pt, 턴 당 0pt
    • 알스펠트(Alsfeld): 소유자에게 5pt, 턴 당 0pt
    • 라우테르바흐(Lauterbach): 소유자에게 3pt, 턴 당 2pt
    • 슐리히테른(Schlüchtern): 소유자에게 3pt, 턴 당 2pt
1989년 6월 20일, 독일. 동서독 국경 전역에서 벌어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전략 공세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를 불시에 덮쳤다. NATO의 중부집단군(CENTAG)을 상대하는 소련 제8근위군은 오전 5시 정각에 전방위적 공격을 시작했다. 목표는 미 제5군단의 본부인 프랑크푸르트으로, 주요 군사 목표이자 물류 허브였다. 최전방에서는 제11기갑기병연대와 몇몇 외딴 곳의 대대들이 시간을 벌기 위해 맹렬한 저항을 벌였다. 소련 제8근위군은 풀다를 향한 공세에 앞장섰다. 미 제11기갑기병연대는 가능한 오랫동안 버텨야 한다. 한편, 소련 및 동독의 사단들은 공세를 늦출 여유가 없다. 바르샤바 조약은 프랑크푸르트를 점령하길 원한다. NATO는 재집결과 반격을 필사적으로 시도한다. 양 쪽의 싸움은 시간 싸움이다. 주도성, 병력 절약, 속도가 승리의 열쇠가 될 것이다.

3.1. 바르샤바 조약

보로닌 장군: 우리들의 전쟁이 시작됐다네, 장군 동무. 우리는 독일 사회주의자 전우들의 도움을 받아 프랑크푸르트를 점령할 거야. 국경 지역의 풀다, 바트헤르스펠트, 바트키싱겐을 오늘 저녁까지 확보하기로 되어 있네. 독일군은 알스펠트 인근에 있는 독일 연방군 제5기갑사단을 막아 동무의 북쪽 측면을 지킬 걸세. 미 11기갑기병연대와 국경 부대부터 제거하도록. 반드시 풀다에 돌파구를 열어야 하네. 미 제3기갑사단과 다른 NATO 증원군이 프랑크푸르트 전방에 방어선을 구축하지 못하게 막게나. 동무는 예비대를 포함한 충분한 병력을 지원받을 걸세. 소령 동무?
자이체프 소령: 제8근위군이 선봉입니다. 풀다의 적 기갑부대를 압도하려면 제39근위차량화소총사단의 보병대가 필요할 겁니다. 돌파에 병력을 아끼지 마십시오. NATO 방어선이 무너지면 킨치히 계곡을 통해 전진하십시오. 알스펠트와 바트오르프의 측면도 확보해야합니다. 하지만 우선, 풀다 남동쪽의 적 대대를 처리해야 합니다. 행운을 빕니다, 장군 동지.

[ 전투 서열 ]
* 바르샤바 조약 주독소련군집단 본부
  • 동독 제3군구
    •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전투 (4/5), 2턴 째에 필립슈탈에 등장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전투 (4/5), 2턴 째에 필립슈탈에 등장
        • 동독 제4포병연대 3대대 - 포병 지원 (3/3), 프리데발트 남쪽
        • 동독 제22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전투 (4/5), 2턴 째에 필립슈탈에 등장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전투 (5/6), 프리데발트 남쪽
        • 동독 제4포병연대 2대대 - 포병 지원 (2/2), 게르슈퉁겐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전투 (5/6), 프리데발트 남쪽
        • 동독 제23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전투 (5/6), 프리데발트 남쪽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 동독 제4포병연대 1대대 - 포병 지원 (2/2), 2턴 째에 필립슈탈에 등장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전투 (4/5), 게르슈퉁겐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전투 (4/5), 게르슈퉁겐
        • 동독 제24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전투 (4/5), 게르슈퉁겐
      • 동독 제4기갑연대 - 프리데발트 북쪽
        • 동독 제4다연장로켓대대 - 포병 지원 (5/3)
        • 동독 제4기갑연대 1대대 - 전투 (7/7)
        • 동독 제4기갑연대 2대대 - 전투 (7/7)
        • 동독 제4기갑연대 3대대 - 전투 (7/7)
      • 동독 제4정찰대대 - 보조 (1/1), 프리데발트 남서쪽
      • 동독 제4지대공미사일연대 - 보조 (0/0), 4턴 째에 빌데크에 등장
      •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 본부 - 보조 (2/3), 4턴 째에 빌데크 동쪽에 등장
    • 동독 제3포병연대 - 포병 지원 (5/6), 4턴 째에 헤링겐에 등장
    • 동독 제3전투헬리콥터항공단 - 보조 (5/4), 4턴 째에 마르크줄 서쪽에 등장
    • 동독 제3군구 본부 - 보조 (1/2), 5턴 째에 마르크줄 남동쪽에 등장
    • 동독 제2공병연대 일부 - 보조 (5/4), 게르슈퉁겐 서쪽
  • 소련 제8근위군
    • 소련 제39근위차량화소총사단
      • 소련 제15근위전차연대 - 2턴 째에 부틀라어 북쪽에 등장
        • 소련 제15근위전차연대 1대대 - 전투 (12/11)
        • 소련 제15근위전차연대 2대대 - 전투 (12/11)
        • 소련 제15근위전차연대 3대대 - 전투 (12/10)
        • 소련 제87포병연대 4대대 - 포병 지원 (5/3)
      • 소련 제172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소련 제172근위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전투 (9/8), 에렌베르크 서쪽
        • 소련 제172근위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전투 (8/8), 에렌베르크 서쪽
        • 소련 제172근위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전투 (8/8), 에렌베르크 서쪽
        • 소련 제87포병연대 3대대 - 포병 지원 (3/3), 타이덴 서쪽
      • 소련 제117근위차량화소총연대 - 라스도르프
        • 소련 제117근위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전투 (9/8)
        • 소련 제87포병연대 1대대 - 포병 지원 (3/3)
        • 소련 제117근위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전투 (9/8)
        • 소련 제117근위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전투 (8/8)
      • 소련 제120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소련 제120근위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전투 (6/7), 타이덴 서쪽
        • 소련 제120근위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전투 (6/7), 타이덴 서쪽
        • 소련 제87포병연대 2대대 - 포병 지원 (3/3), 에렌베르크 북서쪽
        • 소련 제120근위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전투 (6/7), 타이덴 서쪽
      • 소련 제11정찰대대 - 보조 (3/3), 휜펠트 북동쪽
      • 소련 제23근위독립전차대대 - 전투 (12/11), 3턴 째에 슐라이트 남동쪽에 등장
      • 소련 제915방공로켓연대 - 보조 (0/1), 3턴 째에 슐라이트 남서쪽에 등장
      • 소련 제39근위차량화소총사단 본부 - 보조 (6/6), 3턴 째에 슐라이트 서쪽에 등장
    • 소련 제57근위차량화소총사단
      • 소련 제241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소련 제241근위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소련 제241근위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소련 제128포병연대 3대대
        • 소련 제241근위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소련 제51근위전차연대
        • 소련 제51근위전차연대 1대대
        • 소련 제51근위전차연대 2대대
        • 소련 제51근위전차연대 3대대
        • 소련 제128포병연대 4대대
      • 소련 제170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소련 제128포병연대 1대대
        • 소련 제170근위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소련 제170근위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소련 제170근위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소련 제174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소련 제174근위차량화소총연대 1대대
        • 소련 제128포병연대 2대대
        • 소련 제174근위차량화소총연대 2대대
        • 소련 제174근위차량화소총연대 3대대
      • 소련 제113정찰대대
      • 소련 제29근위독립전차대대
      • 소련 제901방공로켓연대
      • 소련 제57근위차량화소총사단 본부
    • 소련 제18방공로켓여단
      • 소련 제519독립방공로켓대대
      • 소련 제520독립방공로켓대대
      • 소련 제526독립방공로켓대대
      • 소련 제923독립방공로켓대대
    • 소련 제390근위포병여단 1제대 - 포병 지원 (4/5), 3턴 째에 슐레비트 동남쪽에 등장
    • 소련 제134정찰대대 - 보조 (4/4), 빌마르스 북쪽
    • 소련 제390근위포병여단 2제대 - 포병 지원 (4/5), 4턴 째에 타이덴 남동쪽에 등장
    • 소련 제336독립헬리콥터연대 - 보조 (7/6), 오베르바이트 서쪽
    • 소련 제486독립헬리콥터연대 - 보조 (7/6), 에렌베르크
    • 소련 제8근위군 본부 - 보조 (3/3), 4턴 째에 빌마르스에 등장
  • 소련 제16공군
    • 소련 제16근위전투항공사단
      • 소련 제85근위전투항공연대
      • 소련 제968전투항공연대
    • 소련 제368독립공격항공연대
    • 소련 제931독립정찰항공연대


3.2. NATO

제퍼슨 장군: 장군, 소련 제8근위군 선봉이 몇 시간 내로 풀다에 도착한다. 병력수를 보아 이곳이 바르샤바 조약의 주 전진축인게 확실하다. 저들의 전쟁 목표가 뭘 것 같나? 킨치히 계곡을 따라 프랑크푸르트를 노리는거다. 11기갑기병연대와 국경 부대는 적을 잠시 동안만 묶어둘 수 있다. 공세를 늦출 수 있다면 뭐든지 해라. CENTAG 증원군이 전방으로 오고 있지만 나중에야 배치될 수 있다. 오늘 저녁에 미 제3기갑사단 선봉대가 겔른하우젠에 도착한다. 독일 연방군은 알스펠트로 전차를 보냈다. 하지만 국가인민군이 그걸 망칠 생각이다. 소령?
몬타나 소령: 그렇습니다, 장군님. 동독 제4차량화소총사단이 바트헤르스펠트 코앞에 있습니다. 놈들이 11기갑기병연대 3대대를 포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독일 제5기갑사단이 제 시간에 알스펠트-라우테르바흐에 도착할 수 있다면 풀다를 향한 공세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미 우리 병력이 풀다 남동쪽에서 적과 교전을 시작했습니다. 힘든 싸움이 되겠지만 가능한 오래 버텨야 합니다. 증원군이 더 도착하면 우리가 공세를 막을 수도 있습니다. 행운을 빕니다, 장군님.

[ 전투 서열 ]
* NATO 중부집단군
  • 서독 제3군단
    • 서독 제12기갑사단
      • 서독 제35기갑척탄병여단
        • 서독 제355기갑포병대대 - 포병 지원 (2/3), 게르스펠트 서쪽
    • 서독 제3방공사령부
      • 서독 제340방공연대
    • 서독 제5기갑사단
      • 서독 제14기갑여단
        • 서독 제141기갑대대
        • 서독 제143기갑대대
        • 서독 제144기갑대대
        • 서독 제145기갑포병대대
        • 서독 제142기갑척탄병대대
      • 서독 제15기갑여단
        • 서독 제152기갑척탄병대대
  • 서독 남부영토사령부
    • 서독 제44방위구역사령부
      • 서독 제442방위지역사령부
  • 미국 제32방공단
    • 미국 제52방공포병연대 3대대 - 보조 (1/1), 아이헨첼 동쪽
  • 미국 제5군단
    • 미국 제130공병여단
      • 미국 제54공병대대 - 보조 (2/2), 게르스펠트
    • 미국 제18전투경찰여단
      • 미국 제709전투경찰대대
      • 미국 제93전투경찰대대
    • 미국 제3기갑사단
      • 미국 2여단
        • 미국 제82포병연대 2대대
        • 미국 제8기병연대 3대대
        • 미국 제8기병연대 4대대
        • 미국 제18기계화보병연대 5대대
      • 미국 3여단
        • 미국 제36기계화보병연대 1대대
        • 미국 제67기갑연대 2대대
        • 미국 제67기갑연대 4대대
        • 미국 제82포병연대 4대대
      • 미국 제23공병대대
      • 미국 제7기병연대 4대대
      • 미국 제3기갑사단 항공여단
      • 미국 제3기갑사단 본부
    • 미국 제8보병사단
      • 미국 1여단
        • 미국 제68기갑연대 1대대 - 전투 (16/14), 포펜하우젠
    • 미국 제11기갑기병연대
      • 미국 제11기갑기병연대 1대대
      • 미국 제11기갑기병연대 2대대 - 전투 (19/17), 바트키싱겐
      • 미국 제11기갑기병연대 3대대 - 전투 (19/17), 바트헤르스펠트
      • 미국 제11기갑기병연대 4대대
  • 미국 제4연합전술공군
    • 서독 제2항공사단
      • 서독 제74전투항공단 1대대
    • 미국 제17공군
      • 미국 제36전술전투비행단
      • 미국 제50전술전투비행단
      • 미국 제52전술전투비행단


4. Airborne Assault (공수 강습)


1989년 6월 20일. 전쟁의 유령이 떠도는 늦은 밤, 바르샤바 조약군 주력이 몇 시간 뒤에 있을 침공을 준비하는 가운데 NATO의 약점인 CENTAG와 NORTHAG 경계를 노린 비밀 작전이 시작된다. 목표는 카셀이다. 소련과 동독의 정예 특수부대는 핀란드에서 이륙한 전세기를 현대의 트로이 목마삼아 카셀칼덴 공항을 확보해 NATO 후방 깊은 곳에 교두보를 만들고, 지상군은 특수부대와 합류하기 위해 질주한다. 기습 공격의 목표는 NATO 사령부 사이에 감당할 수 없는 쐐기를 박아넣는 것이다.

4.1. 바르샤바 조약

보로닌 장군: 장군 동무, 카셀 전력 공세의 목적은 두 개일세. 첫번째 목적은 빌레펠트와 도르트문트 사이에 쐐기를 박아넣어 CENTAG와 NORTHAG의 협력을 방해하는 걸세. 두번째 목적은 마르부르크로 가는 주요 도로를 점거해 독일 연방군 제2기갑척탄병사단을 고립시키고 파괴하는 걸세. 이 작전은 위험할 수밖에 없네. 중요한건 우리 공수부대가 카셀칼덴 공항에 벌이는 기습 작전이야. 소령 동무, 상황은 어떤가?
자이체프 소령: 좋은 소식입니다, 장군 동지. 우리 특수부대가 성공적으로 비행장을 점거했습니다. 도박은 성공했지만 안심하기는 이릅니다. 카셀칼덴을 잃으면 교두보에 공중강습대대를 추가 배치할 수 없게 됩니다. 기갑부대가 증원군으로 가고 있습니다. 카셀의 통제권을 얻으면 남쪽의 프리츨라어나 북쪽의 바르부르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서독 제3군단이나 NORTAHG의 영국-벨기에군의 증원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적의 대규모 항공 지원에 대비하십시오.

4.2. NATO

리히터 대장: 장군, 소련과 동독의 특수부대가 카셀칼덴 공항을 점거했네. 지금 이 순간에도 적 기갑부대가 동서독 국경을 넘고 있어. 카셀과 괴팅겐은 국경으로부터 30km도 떨어져있지 않아. 바르샤바 조약이 우리 깊숙한 후방에 대담한 공수작전을 벌이며 전쟁을 시작한 거야. 적이 돌파할 위험은 크지만 우리가 동원할 수 있는 NATO 병력은 얼마 되지 않네. 소령?
베커 소령: 장군님, 확실히 주도권은 적이 쥐고 있습니다. 서독 제2기갑척탄병사단은 분산된 상태입니다. 재집결한 뒤에야 카셀 방어에 동원할 수 있습니다. 카셀칼덴 공항을 탈환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적 공수부대 증원이 계속 밀려들어올 겁니다. 우리가 카셀을 잃는다면 바르샤바 조약은 NORTHAG와 CENTAG의 경계를 노리고 디멜슈타트로 계속 나아갈 겁니다. 벨기에 1군단과 영국군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항공 지원 외에는 우리가 가진 걸로 싸울 수 밖에 없습니다.

5. Left Hook (레프트 훅)


5.1. NATO

5.2. 바르샤바 조약

6. Highway 66 (66번 고속도로)

1989년 6월 26일, 유럽은 전쟁에 더욱 깊숙이 빨려들어가고 있다. 바르샤바 조약군이 풀다에서 돌파구를 마련한 지 일주일이 지나고 소련과 동독이 마침내 프랑크푸르트의 관문에 도착했다. 나토의 전방 부대는 침공을 상당히 지연시켜 새로운 증원군이 배치될 시간을 벌었다.

바르샤바 조약기구는 작전 목표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대부분의 최전선 병력이 소진되었다. 이 중요한 마지막 공세를 위한 예비 병력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한편 북대서양 조약기구는 반격을 위해 병력을 모으고 있지만 언제 어디서 공격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6.1. NATO

6.2. 바르샤바 조약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