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19:21:56

The 애트머스피어


텐죠인 후부키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붉은 눈 · 메탈화
서브 에이스 에이스
GX
궁극의 무대 의상
코믹스
트라퍼스피어
GX
붉은 눈의 흑룡
코믹스
The 애트머스피어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GX
붉은 눈의 암룡
GX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코믹스
The suppression PLUTO
}}}}}}}}}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3.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TheAtmosphere-JP-Manga-GX-NC.png
한글판 명칭 The 애트머스피어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The, ruby=ジ)] アトモスフィア
영어판 명칭 The Atmosphere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바람 비행야수족 1000 800
3체 제물로 소환했을 때 상대 몬스터 1장을 장착하고 그 공·수력만큼 올린다.

유희왕 GX 코믹스에서 텐죠인 후부키가 사용.

작중에서는 짐 크로커다일 쿡과의 듀얼 중 처음 등장했으며, 3장 제물로 소환된 후 효과로 크로커다일의 스파운 앨리게이터를 장착한 다음, 파워리스피어의 효과로 공격력 0이 된 짐의 The tyrant NEPTUNE을 공격해서 결판을 내버렸다.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에서도 3장 제물로 소환된 후 비전 히어로 애더레이션을 흡수해서 비전 히어로 멀티플리 가이를 공격해 파괴했다. 다음 턴에는 트라퍼스피어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

공격명은 '템피스트 생크션즈(テンペスト・サンクションズ)'.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The アトモスフィ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The 애트머스피어,
일어판명칭=<ruby>The<rp>(</rp><rt>ジ</rt><rp>)</rp></ruby> アトモスフィア,
영어판명칭=The Atmosphere,
속성=바람, 레벨=8, 공격력=1000, 수비력=8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 2장과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제외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이 카드에 장착한다(1장만 장착 가능).,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의 각각의 수치만큼 올린다.)]

자체적으로 특수 소환할 경우 자신 필드의 몬스터 2장과 묘지의 몬스터 1장을 제외시킬 것을 요구하는 조건이 달려 있다. 소환권을 소비할 필요는 없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최상급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과 다를 게 없는 수준이라서 필드 어드밴티지 손실이 심각하다. 컨트롤을 뺏어온 몬스터나 토큰 양산 카드, 이블 손 등을 이용해서 코스트를 마련할 수 있지만, 이런 수고를 들인다면 같은 값으로 링크 소환이나 하는 편이 나은 경우가 많다.

굳이 쓰겠다면 제외를 메리트로 삼는 카드와 같이 써주는 것이 좋다. 제외되었을 경우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를 제외하면 바로 어드밴티지를 만회할 수 있으며, 수비벽으로 말고 쓸 데가 없는 히포 토큰을 제외하는 것도 좋다. 바람 속성 덱에서는 남정룡-템피스트와 서로 제외해서 나올 수가 있고, 환상수기 드래고사크로 생성시킨 환상수기 토큰도 이용할 수 있으니 공존하기도 쉬우며, 수호신-네프티스풍령매사 윈 등의 서치 수단도 있다.

①의 효과는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대상 지정해서 장착하는 기동 효과. 트랜스폼 스피어의 강화 버전으로, 표시 형식 안 가리고 흡수할 수 있는 데다가 기본적인 스탯도 있고 엔드 페이즈시 돌려줄 걱정도 없다. 새크리파이스처럼 장착 가능한 것은 1장 뿐이지만, 아공간 물질 회송장치 등을 이용해 필드에서 제외하고 귀환시키거나 달의 서 등으로 뒷면 수비로 돌리면 다시 효과를 쓸 수 있게 된다. 소생 제한만 채우면 얼마든지 되살릴 수 있으므로 이런 우려먹기 전법을 연구해볼 수 있다.

①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만큼 ②의 지속 효과로 자신의 능력치를 강화할 수 있다. 하급 어태커만 흡수해도 최상급 기준치는 찍고, 상급 이상을 흡수하면 전투력은 든든해진다. 다만 장착할 수 있는 몬스터가 없다면 단순히 약골 몬스터에 불과하니 주의.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9-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17-JP003 | LIMITED EDITION 17
2011-06-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6-KR018 | 프리미엄 팩 Vol.6
2013-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OTL-EN090 | JUDGMENT OF THE LIGHT

3. 관련 카드

3.1. 트랜스폼 스피어

3.2. 트라퍼스피어